안녕하세요 교수님~!
문풀 6회 5번에서 질문드립니다~
#1.
(1)Engage와 (3)Guided practice가 lesson에 사용되지 않았다가 답입니다~
(1): input processing instruction에서는 engage단계에서, explicitly explaining the rule하지 않고, 학습자가 의미에 먼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설해주셨습니다~
(3): comprehension이 아니라 passive form 연습할 수 있는 guided practice가 와야한다고 해설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문제에 제시된 글을 근거로 문제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해설해주신 것처럼 제 배경지식을 가지고 풀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주어진 자료에서만 답을 찾으려고 노력했어가지구요 ㅎㅎㅎㅎ
그리고 (기입형이 아닌 주관식) 임용고시에서도 이렇게 주어지지 않은 내용으로 답을 맞추는 문제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2.
(3)에서 cloze test를, 해주신 해설처럼 guided practice라고 볼 수는 없나요~?
없다면 목적이 passive form이 아니라 comprehension of the text이기 때문인가요~?
#3.
요기서 노란색 형광펜 prompt가 '조언', '촉진하는 것'이라는 사전적 뜻인가요~?
아니면 요 사진에서 초록색 형광펜과 같은 것으로 쓰인건가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1)(2) 제가 아마도 보충설명을 좀 부족하게 쓴것 같습니다. 시험에서는 나와있는 내용을 근거로 하여 답을 찾아가면 되겠습니다. 여기에서 input processing 은 structured input 을 중심으로 학생이 rule을 익혀가는 것이라 T중심의 설명수업은 틀린 것이고, passive를 배우는 수업에서 active 중심 수업은 오류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3) cloze test는 integrative test의 역할을 하므로 input processing 의 form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4) 제가 보았을 때 둘 다 비슷한 개념입니다. 어떤 도움이나 단서로 과업을 완성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아래 피드백도 자주 이용되는 개념은 아니지만 그러한 의미로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매우 큰 도움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