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주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 바울의 증거대로(마 5:18; 요 10:35; 갈 3: 16; 딤후 3:16),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의 신앙과 행위에 있어서 정확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라는 고백은 우리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진술대로(1:8), 우리는 성경의 원본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기록되었고 그 본문이 “그의 독특한 배려와 섭리로 모든 시대에 순수하게 보존되었다”고 믿는다. 이것은 교회의 전통적 견해이다. 그러므로 구약성경은 야곱 벤 카임이 편집한 제2 랍비 성경(봄버그판)을 표준적 마소라 본문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성경은 성도 개인의 신앙생활뿐 아니라, 교회의 모든 활동들에도 유일한 규범이다. 오늘날처럼 다양한 풍조와 운동이 많은 영적 혼란의 시대에, 우리는 성경으로 돌아가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지 묵상하기를 원하며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모든 뜻을 알기를 원한다.
성경을 가지고 설교할지라도 그것을 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말씀의 기근이 올 것이다(암 8:11). 오늘날 하나님의 말씀의 기근이 오고 있다. 많은 설교와 성경강해가 있지만, 순수한 기독교 신앙 지식과 입장은 더 흐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요구되는 성경 해석과 강해는 복잡하고 화려한 말잔치보다 성경 본문의 바른 뜻을 간단 명료하게 해석하고 적절히 적용하는 것일 것이다. 사실상, 우리는 성경책 한 권으로 충분하다. 성경주석이나 강해는 성경 본문의 바른 이해를 위한 작은 참고서에 불과하다. 성도는 각자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며 성경을 읽어야 하고, 성경주석과 강해는 오직 참고서로만 사용해야 할 것이다.
제목차례
[1-4장, 광야 생활의 회고]
1장: 호렙부터 가데스 바네아까지
2장: 가데스부터 헤스본까지
3장: 바산 왕 옥을 멸함
4장: 이스라엘에게 주신 하나님의 특별계시
[5-28장, 율법의 재강론]
5장: 십계명
6장: 하나님 사랑과 말씀 순종
7장: 가나안 일곱 족속을 다 멸하라
8장: 광야 생활의 교훈
9장: 이스라엘의 실패를 기억하라
10장: 하나님의 요구하시는 것
11장: 말씀 순종에 대한 상
12장: 하나님의 택하신 곳으로 나와 섬길 것
13장: 이단을 제거하라
14장: 깨끗한 생물과 십일조
15장: 안식년과 면제
16장: 절기들
17장: 왕에 대한 명령
18장: 거짓된 신비주의를 경계할 것
19장: 도피성, 지계표, 위증자
20장: 전쟁에 대한 법
21장: 패역한 아들에 관한 법
22장: 의복, 씨뿌림, 음행 등에 대한 법
23장: 총회에서 제외될 자들
24장: 이혼, 신혼, 가난한 자들 배려
25장: 공의, 수혼(嫂婚) 제도
26장: 첫 열매, 제3년 십일조
27장: 저주들
28장: 복과 저주
[29-34장, 언약의 재확인과 마지막 권면]
29장: 언약에 참여함
30장: 생명과 복을 택하라
31장: 모세가 율법책을 기록함
32장: 교훈적 노래
33장: 열두 지파에 대한 축복
34장: 모세의 죽음
서론
신명기의 히브리어 명칭은 엘레 핫데바림 (이것들은 그 말씀들이다)이다. 신명기(Deuteronomy)라는 말은 헬라어 70인역의 명칭에서 왔는데, ‘두 번째 율법’이라는 뜻이다. 신명기는 출애굽기부터 민수기까지 나오는 율법들을 다시 강론하는 내용이다.
신명기의 저자는 모세이다(1:1-5; 31:9). 신명기의 모세 저작성에 관해 다음 몇 가지 점들을 말할 수 있다.
1. 신명기의 구조는 주전 2천년대(2000년부터 1000년까지) 후반 헷 족속이 피지배국 영주들과 맺은 영주권 조약(suzerainty treaty) 형식과 같다. 그것은 신명기 구조와 같이 (1) 서문, (2) 역사적 서언, (3) 법 조항들, (4) 저주와 축복, 혹은 조약의 비준, (5) 조약 계승을 위한 조치 등의 형식을 가진다. 이러한 사실은 신명기가 모세 시대의 것임을 잘 증거한다.
2. 신명기에 자주 나오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라는 표현은 주전 8세기나 그 후의 글들에서 자주 나오는 명칭들과는 구별된다. 또 신명기에는 포로 전후의 선지서들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너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라는 표현도 나온다.
3. “요단 저편[이편]”(베에베르 하이야르덴)이라는 표현은 요단 동쪽을 가리키는 경우가 여섯 번이고(1:1, 5; 4:41[두 번], 47, 49) 요단 서쪽을 가리키는 경우도 몇 번 나온다(3:20, 25; 11:30). ‘요단 저편[이편]’이라는 명칭이 요단 동쪽을 가리키는 경우, 그것은 고유명사와 같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이러한 표현은 이스라엘 자손들이 가나안 땅의 진입을 앞두고 모압 평지에 있었을 때에 모세가 그들에게 말한 상황에 맞다.
4. “오늘날과 같으니라”는 표현(2:30 등 여섯 번 나옴)은 모세 시대 이후 많은 기간이 지난 때를 가리키지 않고 광야 40년이 지나서 모압 평지에 도착한 때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신명기의 주요 내용은 율법의 재강론과, 언약의 갱신이다. 1-4장은 광야 생활의 회고이다. 본서에는 ‘기억하라’는 말이 14회, ‘잊지 말라’는 말이 12회 나온다. 5-28장은 율법의 재강론이며, 29-34장은 언약의 재확인과 마지막 권면이다.
본서의 특징적 진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에 순종하라는 것이다. 신명기 5:32-33, “그런즉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명령하신 대로 너희는 삼가 행하여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말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명하신 모든 도를 행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삶을 얻고 복을 얻어서 너희의 얻은 땅에서 너희의 날이 장구하리라.” 신명기 10:12-13,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요구하시는 것이 무엇이냐? 곧 네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여 그 모든 도를 행하고 그를 사랑하며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고 내가 오늘날 네 행복을 위하여 네게 명하는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를 지킬 것이 아니냐?”
본문 혹은 각주에 자주 사용된 약어
KJV | 영어 King James Version |
NASB | 영어 New American Standard Version |
NIV | 영어 New International Version |
LXX | 고대 헬라어 70인역 |
Syr | 고대 수리아어역 |
It | 고대 라틴어역 |
Vg | 고대 라틴어 Vulgate역 |
BDB | Brown-Driver-Briggs, Hebrew Lexicon of the O. T. |
Poole | Matthew Poole, A Commentary on the Holy Bi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