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식물 3675번째! 조팝나무! 장미과에 속한 낙엽(잎지는) 활엽 관목
식물명: 조팝나무 (----)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門(Magnoliophyta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綱(Magnoliopsida 목련강) 이판화군 장미目(Rosales) 장미科(Rosaceae, バラ科, 蔷薇科) 조팝나무屬(Spiraea, シモツケ属, 绣线菊属)
학명: Spiraea prunifola for. simpliciflora Nakai 이명: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 Nakai.,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영명, 일명, 중명 Bridal wreath, Simple bridalwreath spiraea, ヒトヘノシジミバナ(Hitoheno-shijimibana, -蜆花, 히토헤노-시지미바나), 笑靨花(소엽화), 绣线菊(-),
기타 이름, 異名- 인가목조팝나무와 만첩조팝나무, 작살나무의 이명으로도 사용. 조밥나무, 홑조팝나무.
이름 기원, 유래- 목상산(木常山), 압뇨초(鴨尿草), 소엽화(笑靨花). 계뇨초(鷄尿草), 단화이엽수선국, 수절국 [어원] 조ㅎ[粟]+밥[飯]+나모[木]. 조밥나모->조팝나무로 변화(어원사전). 꽃핀 모양이 튀긴 좁쌀을 붙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조팝나무(조밥나무)라고 한다.
전설, 설화, 성경,
꽃말: 단정한 사랑, 노력,
노래, 시화 소재 -
특징: 높이가 1.5 ~ 2m이다. 줄기는 밤색이며 능선이 있고 윤채가 난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나와 큰 포기를 형성하며 곧게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호생)하며 달걀형에서 긴 타원형이며, 첨두예저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발달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길이와 폭은 각 2.5 ~ 4cm× 1.5 ~ 2cm이다. 꽃은 우상모양꽃차례로 윗부분의 짧은 가지에서 4 ~ 6개의 꽃이 달리고 4월 말 ~ 5월 말에 핀다. 작은꽃대 길이는 1.5cm로 털이 없으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첨두이고 안쪽에 면모가 있으며, 꽃잎은 백색으로 5개이고 거꿀달걀형 또는 타원이며 길이가 4 ~ 6mm이고 암술대는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3~4mm이고 털이 없으며 8월 말 ~ 10월 초에 성숙한다. 우리나라의 여러 조팝나무 중 가장 전통적인 것이다. 꽃잎이 겹으로 되어 있는 기본종은 일본산으로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분포 한국 함경남북도를 제외한 전국 분포. 주로 논뚝, 밭가, 숲가, 산기슭, 산록의 양지, 돌밭 등에서 잘 자란다. 중국 중부에서 남부에 분포;
원산지 -
이용(도) 군집생활을 좋아하고 10-15일간이나 개화하므로 생울타리, 차폐용으로 식재하거나 첨경수로 단식하면 좋으며, 조경수나 절화용으로도 이용된다. 가는 줄기가 많이 벋어나와 수형이 전체적으로 자유로우면서도 균형이 잡혀 있고, 가지마다 송이송이 피어나는 순백색의 아름다운 꽃은 백설의 설화처럼 눈부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조팝나무, 당조팝나무, 가는잎조팝나무의 根(근)을 소엽화라 하며 약용한다. 소엽화-약효: 解熱(해열), 收斂(수렴)의 효능이 있다. 咽喉腫痛(인후종통), 학질, 感冒發熱(감모발열), 신경통, 설사,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참고문헌-한국 식물명의 유래(이우철 지음-2005, 일조각),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