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1월 30일 “오늘의 말씀 묵상 편지”
‘성막의 모든 역사를 마치되 – ‘뜰의 막들’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하나님의 말씀은 출 39 : 37 – 43입니다.
“순금 등잔대와 그 등잔들 곧 가지런히 놓인 등잔들과 등잔대의 모든 기구와 등잔 기름과 금제단과 붓는 기름과 향기로운 향과 성막 문에 거는 막과 놋 제단과 그 놋 그물과 채들과 모든 기구와 물두멍과 그 받침과 뜰의 막들과 그 기둥들과 받침들과 뜰 문의 막과 그 줄들과 말뚝들과 회중의 장막을 위하여 성막에서 섬기는 일에 쓸 모든 기구와 성소에서 섬길 때에 입는 예복들과 제사장 직분으로 섬길 때에 입는 제사장 아론의 거룩한 의복과 그의 아들들의 의복이더라. 주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모든 것에 따라 이와같이 이스라엘 자손이 모든 역사를 마치매 모세가 그 마친 모든 것을 본즉 주께서 명령하신 대로 되었으므로 모세가 그들을 축복하였더라.”
(the pure gold lamp stand with its lamps (the lamps set in order), all its utensils, and the oil for light ; the gold altar, the anointing oil, and the sweet incense; the screen for the tabernacle door ; the bronze altar, its grate of bronze, its poles, and all its utensils; the laver with its base ; the hangings of the court, its pillars and its sockets, the screen for the court gate, its cords, and its pegs; all the utensils for the service of the tabernacle, for the tent of meeting ; and the garments of ministry, to minister in 막 곧 휘막 the holy place: the holy garments for Aaron the priest, and his sons' garments, to minister as priests. According to all that the LORD had commanded Moses, so the children of Israel did all the work. Then Moses looked over all the work, and indeed they had done it; as the LORD had commanded, just so they had done it. And Moses blessed them.)“
임마누엘!!
오늘도 우리는 성막의 모든 기구들과 그 의미를 말씀을 통하여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제 ‘성막 뜰의 막들’이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합니다.
본문의 ‘뜰’은 히브리어 'chatser(하체르)'이고 그 뜻은 ‘안뜰’, ‘궁전(court)’, ‘울로 둘러 막은 땅(enclosure)'을 뜻합니다.
1. 하체르(명남)는 '하차르(chatser)'에서 유래했으며, '안뜰(court)’, 울타리로 둘러싼 담‘, ’구내(enclosure)'를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45회 나옵니다.
근동에서는 뜰 주변에 집을 지었습니다. 이런 뜰에는 우물도 있었습니다(삼하 17:18). 개구리 재앙 때, 개구리들이 집, 마당(KJV, "마을" village), 그리고 밭에서 죽었습니다(출 8:13, H9).
뜰에 대한 대부분의 언급들은 거룩한 건물이나 왕의 건물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수사에 있던 아하수에로의 궁에는 "바깥"뜰과 "안"뜰이 갖추어져 있었습니다. 하만은 "바깥"뜰에서 기다렸습니다(에 6:4). 왜냐하면, 왕의 허락 없이는 어느 누구도 "안"뜰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에 4:11).
출애굽기와 민수기에 나오는 많은 언급들은 성막의 뜰에 관한 것인데, 이곳은 너비 100규빗 길이 50규빗이나 되는, 큰 직사각형의 공간이었습니다. 오늘 본문에 있는 말씀은 그곳의 바깥 주위에 있는 커튼과 기둥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뜰은 기능상 예배자들이 모여 짐승을 죽이고 그것을 먹을 수 있도록 허용된 공간이었습니다. 이것은 예배자들이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가지만 하나님은 성전 자체와는 구별되어진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솔로몬의 건물 복합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들어 있었습니다. 즉 성전의 "안"뜰(왕상 6:36, 왕상 7:12), 궁전 뜰(왕상 7:8), (Qere에 의하면) 아마도 왕하 20:4의 "중간"뜰, 그리고 복합체 전 지역을 다 덮는 "큰" 뜰(왕상 7:9, 왕상 7:12)을 볼 수 있습니다.
에스겔이 환상에서 본 성전에는 바깥뜰과 안뜰이 있었습니다(겔 40:17-19). 백성들은 30칸의 방으로 둘러싸인 바깥뜰에 모였습니다(겔 40:17). 안식일과 월삭에는 안뜰의 문을 열어 놓았기 때문에 왕은 그 문지방에서 예배드릴 수 있었습니다ㄱ별한 공간ㅇ
비록 많은 학자들이 솔로몬의 성전에 오직 하나의 뜰만이 있었다고 주장하였지만, 에스겔의 환상과 다른 언급들(왕상 6:36, 왕상 7:1
2, 왕하 21:5, 왕하 23:12, 대하 4:9, 대하 33:5)은 첫 번째 성전에 제사장들의 안뜰과 바깥뜰이 있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습니다. 신약성경 시대의 제 2성전에는 이방인들의 뜰과, 여인들, 이스라엘 그리고 제사장의 뜰로 세분된 안뜰이 있었습니다.
구약성경 시대에 시편기자는 열방들에게 여호와의 뜰에 들어가도록 권유하였습니다(시 96:8). 시편 기자는 자기가 여호와의 뜰(궁정)을 사모한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시 84:2). 왜냐하면 그의 뜰에서 보낸 하루는 그 외의 곳에서 보낸 천 날보다 더 낫기 때문입니다(시 84:10).
왜 그렇까요? 주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2. 하체르(명남)는 '정착지, 촌락, 마을'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43회 나옵니다.
하체르는 베두인 족의 천막 거주지(촌)를 의미했던 것 같습니다(창 25:16, 사 42:11). 도시와는 달리 촌락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았습니다(레 25:31). 여호수아서에서 땅 분배 시에, 부속된 위성 마을들과 함께 114개의 성읍들이 유다에 배당되었습니다(수 15:32, 수 15:36, 수 15:41, 수 15:44).
성막에 뜰이 있고, 또 휘장이 있었다는 것은 쉼과 하나님을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특히 제사장들이 직업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제사장이 되라는 하나님의 배려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에서
이 우복 목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