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례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흰 국화다.
고인을 추모하는 경건한 자리에
수많은 꽃 가운데 유독 국화가 헌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장례식에 국화꽃이 사용된 것은 100여년 전 구한말 개화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당시엔 장례식에 꽃이 아니라 향을 피우며 추모하였다.
하지만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흰 국화와 검은색 상복이 장례식장에 등장했다.
서양에선 국화가 '고결''엄숙'을, 검정색은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장례식에 국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국화가 죽음을 기리는 뜻도있고
꽃말도 고결과 정조로 장례식과 어울리만한 꽃말이라 그런것 같다
이는 유럽지역에서 먼저 유래 된 것인데 유럽지역에서는 국화가 죽음을 뜻한다
서양에서 국화를 저승에가서는 평화롭게 쉬기를 바라 마음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국화는 순결과 죽음 고결 뜻으로 통하는것 같다
장희주 한국화훼협회 회장은 "개화기 이후
서구 기독교문화가 들어와 복식 간소화 등 실용적인 장례문화가 시작됐다"며 "
흰색 상복과 삼베옷을 입는 한국 전통 장례문화에 어울리는
흰 꽃은 국화밖에 없어 조화로 사용하게 됐다"고 한다
국화의 꽃말은 청순, 정조, 평화, 절개, 고결을 상징하며,
특히 백색의 국화는 성실, 진실, 감사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건하고 엄숙한 장례식장에서는 흰국화을 사용하며
간혹 장례식장 입구에 세워진 근조화환에는 흰색과 노란색이 섞여있는것을
볼수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흰색을 좀더 경건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
참고로 국화중 원색인 황색은 실망, 짝사랑이라는 뜻이,
적색은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라는 꽃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