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겹받침이 있는 단어만 발음할 때에는 7개의 대표음중 하나로
발음을 해야 합니다.
ㄳ, ㄺ --> ㄱ / 몫 [목], 삯 [삭], 넋 [넉], 닭 [닥]
ㄵ, ㄶ --> ㄴ / 앉(다) [안], 많(다) [만]
ㄻ --> ㅁ / 삶 [삼], 젊(다) [점]
ㄽ, ㄾ, ㅀ --> ㄹ / 곬 [골], 핥(다) [할], 끓(다) [끌]
ㄼ --> ㄹ / 넓(다) [널]
ㄼ --> ㅂ / 밟(다) [밥]
ㄿ, ㅄ --> ㅂ / 읊(다) [읍], 값 [갑]
2. 겹받침 'ㄳ','ㄵ','ㄼ','ㄽ','ㄾ','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
각 [ㄱ,ㄴ,ㄹ,ㅂ]으로 발음합니다.
예: 넋[넉] 넋과[넉꽈] 앉다[안따] 여덟[여덜] 넓다[널따] 짧다
[짤따]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없다[업:따]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합니다.
밟다[밥:따] 밟소[밥:쏘] 밟지[밥:찌] 밟는[밥:는/밤:는] 밟게
[밥께]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예외 넓지[널찌] 넓디넓은[널띠널븐]
3. 겹받침 'ㄺ','ㄻ','ㄿ'은 어말 또는 자음앞에서 각각 [ㄱ,ㅁ,ㅂ]
으로 발음합니다.
닭[닥] 흙과[흑꽈] 맑다[막따] 읽다[익따] 늙지[늑찌] 삶[삼:] 젊다[점:따] 읊고[읍꼬] 읊다[읍따]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ㄺ'은 'ㄱ'앞에서 [ㄹ]로 발음합니다.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4.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의 것만을 뒤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합니다.
넋이[넉씨] 앉아[안자] 닭을[달글] 젊어[절머] 곬이[골시] 핥
아[할타] 읊어[을퍼] 값을[갑슬]
없어[업:써]
5. 받침 뒤에 모음 'ㅏ,ㅓ,ㅗ,ㅜ,ㅟ'들로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합
니다.
밭 아래[바다래] 늪 앞[느밥] 젖어미[저더미] 맛없다[마덥다]
겉옷[거돋] 헛웃음[허두슴] 꽃위[꼬뒤]
다만, '맛있다, 멋있다'는 [마싣따], [머싣따]로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붙임) 겹받침의 경우에는 그 중 하나만을 옮겨 발음합니다.
넋없다[너겁따] 닭 앞에[다가페] 값어치[가버치] 값있는[가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