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삼룡 (작고) |
→ |
이명철 (작고) |
→ |
김한순 (상쇠) |
엄정섭 (작고) |
→ |
김병기 (징) | ||
조성현 (작고) |
→ |
이용식 (장고) | ||
정윤화 (작고) → |
정우수 (대북) | |||
|
김종대 (벅구) |
2. 특색
(1) 음력 정초에 집집마다 돌며, 풍물을 치며 고사를 지내고 복을 빌어주는 형태의 직업적인 걸립굿이다. 1970년대 말까지만 해도 부산에서 시작하여 동해안 일대를 떠도는 직업적인 걸립패였다고 한다. 따라서 성주풀이가 발달되어 있고 개인적인 기량이 뛰어나다.
(2) 호남우도권 (정읍, 김제, 부안, 이리, 영광, 광산 등)의 풍물이 서로 대동소이(大同小異)하듯이 부산 아미 매구놀이는 경북지역 풍물권 (경북 금릉 빗내, 경북 청도 차산, 대구 날뫼<비-날비, 산-뫼산으로 현재의 비산동>, 부산 아미)에 속한다.
(3) 대북 (부산 아미에서는 북을 대북이라 부른다)의 기능이 딴 지역에 비해 우수하며 북춤이 돋보인다. 경상도 지역에선 치배의 순서로 북이 쇠, 징 다음에 서고, 북 다음에 장구, 벅구가 선다.
(4)경상도 가락의 특징인 덧배기 장단이 잘 발달되어 있다. 다른 풍물에 비해 박자가 느린 굿거리장단이 많고 춤이 많이 들어가 있다. 웃다리 가락과 부산 아미 풍물의 구성 원리가 서로 비슷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3. 치배의 짜임새
태평소--- |
1명 |
기수 ---- |
농기 1명, 농기 수행원 2명 (농기에 늘어뜨린 흰천을 양쪽에서 잡고 따라간다.) 영기 2명 |
쇠 ------ |
상쇠 1, 종쇠 1(보통 다른 지역의 부쇠를 경상도에선 종쇠라고 한다.) |
징 ------ |
수징1, 징1 |
북 ------ |
수북1, 북3 |
장구 ---- |
수장구1, 장구3 |
들벅구 -- |
8명 |
벅구 ---- |
수벅구1, 벅구7 |
양반 ---- |
1명 |
포수 ---- |
1명 |
각시 ---- |
1명 |
하동 ---- |
1명 |
치배는 태평소 - 농기 - 영기 - 쇠 - 징 - 북 - 장구 - 들벅구 - 벅구 - 포수 - 양반 - 각시 - 하동 의 순 |
4. 치배의 옷차림과 상모의 움직임
(1) 공통
위 - 흰 저고리, 짙은 남색조끼에 채복(빨강, 파랑, 노랑의 삼색띠)을 두른다.
아래 - 흰바지, 행건, 짚신
허리 - 채복에 짚신 한켤레를 매단다. ꡔ군악ꡕ의 영향인 듯하다.
파랑색
노랑색
빨강색
(2) 태평소, 농기, 영기
- 머리에 흰꽃이 달린 고깔을 쓴다.
꿩장목
흰종이를 오려서 늘어뜨림
빨강, 파랑, 노랑의 삼색띠
흰 천
검은 천
(3) 쇠
머리 - 검은 두건을 두르고 그 위에 흰꽃을 달고 그 위에 종이부포가 달린 상모를 쓴다. 종이 부포상모를 북상, 또는 짧은 상모라고도 한다.
징자(진자) 적자(구슬) 종이 종이부포
물채
전립
턱끈(흰끈)
(4) 징, 북, 장구
상모를 돌리는 기능이 있으면 상모를 쓰고, 없으면 고깔을 쓴다. 같은 악기라도 고깔치배는 앞에 서고 상모를 쓴 치배는 고깔치배 뒤에 선다.
징자(진자) 적자 물채 생피지(종이)
전립
턱끈
(5) 들벅구 : 머리에 고깔을 쓴다. 들벅구는 일반 소고보다 큰 소고를 들고 다니는 사람을 말한 다.
(6) 벅구 : 머리에 상모를 쓴다. 벅구는 단체와 지방에 따라 버꾸, 채상, 소고, 띠쟁이(남사당 은 어) 등의 이름을 쓰고 있다. 여기서는 벅구란 표기로 통일하였다.
(7) 포수 : 머리에 짐승가죽 형상의 조끼를 입고, 머리에 남바우를 쓰고, 등에 꿩을 매단 망태를 매고 목총을 든다.
(8) 양반 : 푸른 도포를 입고 머리에 정자관을 쓰고 손에 담뱃대와 부채를 든다.
(9) 각시 : 빨간 치마에 노란저고리를 입고 머리에 고깔을 쓴다. 지금은 고운빛깔의 치마저고리, 머리에는 고깔 대신 가발을 쓰기도 한다.
(10) 하동 - 반소매에 색동이 달린 붉은 창옷을 입고 허리에 주머니를 단다.
- 상모의 움직임 : 무슨무슨 상이란 말과 사라는 말이 함께 쓰인다.
첫박은 항상 오른발이 나가고, 오른쪽(고개는 첫박에 왼쪽을 보는 자세)부터 상모 를 돌린다.
① 외상(외사) : 한쪽으로만 돌린다.
② 양상(양사) : 오른쪽 두번, 왼쪽 두번씩 번갈아 돌린다.
③ 꼭지상 : 첫박에 오른쪽으로 돌리고, 두번째 박에 세우고, 세 번째 박에 떨어뜨리고, 네 번째 박에 물채를 왼쪽으로 넘긴다.
④ 일사 : 오른쪽 한번, 왼쪽 한번씩 번갈아 가며 빨리 돌린다. 시선은 좌우로 본다.
⑤ 찍음상 : (1) 일사로 돌리다가 이마 앞에서 찍어 올리는 동작이다.
(2) 오른쪽 외상(외사) 두 번을 한 뒤에 이마 앞에서 한번 찍어 올리는 동작이 다.
5. 읽어 두기
(1) 가락 악보를 쓰기 위한 원칙
흔히 쇠의 그라(그랑)나 장구의 구궁, 기덕은 꾸밈음의 개념으로 기본박을 칠 때의 기본박자에 꾸며서 표기하였다. 구음과 실제로 치는 것 사이의 차이나, 연음 되어서 애매모호한 경우에는 기본박에 가깝게 처리하였다.
쇠의 표기 : 다드래기 도입 부분의 보기임
당 그 |
당 그 |
당 그 |
당 그 |
입 장 단 |
당 |
그랑 |
그랑 |
그랑 |
실제로 치는 소리 |
(2) 치는 사람에 따라, 치는 순간에 따라 기본 한 배는 같으나 세부적인 가락이 다른 경우도 있 다.
(3) 풍물(쇠)소리의 입장단(장구, 북, 징은 다른 지역과 같으므로 생략하였다.)
1) 당, 다 - 꽹과리를 한번 치는 것, 뒤에 따라오는 소리의 간격에 따라, 치는 강약에 따라 당 또는 다, 따로 들리기도 한다.
2) 그라, 그랑 - 장구의 기덕에 해당한다. 역시 뒤에 따라오는 소리의 간격에 따라 그라 또는
그랑으로 들린다.
3) 읏 : 치지는 않으나 음가(音價)를 가진다.
4) 즙, 딱. 닥 - 꽹과리를 잡은 손으로 꽹과리의 뒤나 전체를 막고 치는 소리이다. (판을 막고 치는 소리 이다.)
5) 양장구, 즉 넘겨치는 장구표시는 ‘궁’으로 나타낸다.
(4) 용어 풀이
1) 단마치 : 한번 치는 걸 단마치라고 한다.
2) 다드래기 : 휘모리를 경상도에서 다드래기라고 한다. 이채(웃다리의 자즌가락)에 해당한다.
3) 덧배기 : 넓게는 굿거리(늦은덧배기 또는 그냥 덧배기)나 자진모리(자즌덧배기) 장단 중 춤추는 장단을 일컫고, 좁게는 굿거리나 자진모리 장단 중 다른 악기들과 신호를 준 뒤, 다 같이 일정하게 맞추는 장단(북 장단의 원박에 다른 악기들이 맞추어 치는 것이 많다.)을 일컫는다. 이 때 이 부분을 배기는 장단 또는 배기기라고 하는데, 이러한 덧배기 장단은 경상도 가락의 특징으로 가장 신나는 가락중 하나이다.
4) 몇몇 가락의 이름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쫓음굿(다른 지역의 일채, 난타), 다드래기(휘모리, 이채). 늦은 덧배기(덧배기, 굿거리), 빠른 덧배기(덧배기, 자진모리, 삼채) 등을 함께 쓰고 있다. 이는 풍물의 전국적인 현상이다.
6. 가락보와 진풀이
이 자료는 부산 아미농악단의 상쇠 김한순 어른의 가락을 중심으로 여러 어른들의 말씀을 듣고 부산 아미농악 쇠 전수자 박종환이 수년간의 전수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치는 사람이나 상황, 시간에 따라 가락이나 진풀이들이 조금씩 유동적일 수 있다는 걸 밝혀 두며, 틀린 부분이 있어도 이후에 아미농악을 배우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정리하여 보았다.
1) 모듬굿
흩어져 있던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상쇠가 단마치 일채가락을 울리면 모든 치배가 모이게 된다. 모두 다 모이면 다드래기(이채)를 짧게 치다가 끊고 길굿을 치며 한줄로 나간다. 이때 상모는 돌리지 않는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가락보 1 - 1 쫓음굿(난타, 일채) ꠐ
ꠐ 쇠 - 딱 당 당 당 당 당 당당········· 딱 ꠐ
ꠐ 징 - ○ ○ ○ ○ ○ ○ ○○········· ꠐ
ꠐ 북 - 쿵 쿵 쿵 쿵 쿵 쿵 쿵쿵········· ꠐ
ꠐ 장구 - 덩 덩 덩 덩 덩 덩 덩덩·········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가락보 1 - 2 다드래기 (이채)
쇠 ꠨당 ꠝ 그ꠐ랑 ꠝ 그ꠐ랑 ꠝ 그ꠐ랑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징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x 되풀이 (둘째 장단부터는 첫박도 ‘그랑’이 된다.)
북 ꠨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ꠛ
장구 ꠨덩 ꠝ ꠐ덩 ꠝ 따ꠐ쿵 ꠝ기닥쿵
쇠 ꠨당 ꠝ ꠐ당 ꠝ ꠐ당 ꠝ 그ꠐ랑 ꠝ ꠛ x 되풀이(임의대로 몇 차례 되풀이 함)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당 ꠝ 그ꠐ랑 ꠝ ꠐ당 ꠝ 그ꠐ랑 ꠝ ꠛꠏꠏꠈ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ꠐ한쌍 x 되풀이, “모여라 모여라 다 들 모여라.”
꠨당 ꠝ ꠐ당 ꠝ ꠐ당 ꠝ 그ꠐ랑 ꠝ ꠛꠏꠏꠎ (구음 장단)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당 ꠝ ꠐ당 ꠝ ꠐ당 ꠝ 그ꠐ랑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징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쿵 ꠝ 따ꠐ쿵 ꠝ 따ꠐ쿵 ꠝ 따ꠐ쿵 ꠝ 따ꠛ
쇠 ꠨당 ꠝ 그ꠐ랑 ꠝ ꠐ당 ꠝ 그ꠐ랑 ꠝ ꠛ x 되풀이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징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ꠐ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쿵 ꠝ 따ꠐ쿵 ꠝ 따ꠐ쿵 ꠝ 따ꠐ쿵 ꠝ 따ꠛ
가락보 1 - 3 다드래기 맺음가락
※ 다드래기 끝에 자진모리 두장단을 이어 친다.
쇠 ꠨ 다 ꠝ 당 ꠝ ꠐ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쿵 ꠝ 따 ꠝ 쿵 ꠐ 쿵 ꠝ 따 ꠝ 쿵 ꠐ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쇠 ꠨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기 ꠐ 다 ꠝ 당 ꠝ ꠐ 즙 ꠝ ꠝ ꠛ 당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 ꠝ ꠝ ꠐ ꠝ ꠝ ꠛ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쿵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따 ꠝ쿠쿵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따 ꠝ쿠쿵ꠝ ꠐ 덩 ꠝ ꠝ ꠛ 덩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2) 길굿
※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길을 가면서 치는 행진굿이다. 원래 길굿가락이 따로 있었으나 지금은 쓰이지 않고 자진모리로 대신한다. 벅구는 외사이며 한 장단에 소고의 앞면, 뒷면, 앞면, 뒷면을 연속하여 친다. 판을 벌일 마당에 들어가서 원진으로 서서 자진모리를 끊고 인사하는 경우와 본부석 앞에서 3열 횡대로 서서 자진모리 넘김가락을 치고 다드래기로 넘어가서 인사하는 경우가 있다.
본부석에 인사가 끝나면 다시 자진모리를 치고 원진을 만든다.
(1) 가락보 2 - 1 본부석에 인사하지 않고 구경꾼에게 인사하는 경우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ꠐ 덩 ꠝ ꠝ ꠐ 덩 ꠝ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ꠛ x 1 (머리장단)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따 ꠝ쿠쿵ꠝ 따 ꠐ쿠쿵ꠝ 따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보 2 - 2
쇠 ꠨ 따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기 ꠐ 다 ꠝ 당 ꠝ ꠐ 즙 ꠝ ꠝ ꠛ 당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상모는 돌리지 않거나 외상을 돌린다.
(2) 본부석에 인사하는 경우
자진모리를 치다가 3열 횡대로 서서 다드래기로 넘어가서 끊고 인사굿을 친다.
상모는 외상, 다드래기로 넘어가면 양상(양사)을 친다.
가락보 2 - 3 맺음가락
쇠 ꠨ 당 ꠝ ꠝ그당ꠐ ꠝ ꠝ그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ꠝ그당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ꠝ그당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 2-3을 되풀이 하다가 점점 빨리 몰 때는 가락 2-4를 친다.
가락보 2 - 4
쇠 ꠨ 당 ꠝ ꠝ ꠐ그당ꠝ ꠝ ꠐ그당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x 되풀이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그당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ꠐ 덩 ꠝ ꠝ ꠐ 덩 ꠝ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ꠛ x 1 (시작만)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구 ꠐ 쿵 ꠝ 따 ꠝ 구 ꠐ 쿵 ꠝ 따 ꠝ ꠛ 가장 기본가락 여러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따 ꠝ 쿵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구 ꠐ 쿵 ꠝ 따 ꠝ 구 ꠐ 쿵 ꠝ 따 ꠝ ꠛ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보 2 - 5 자진모리에서 다드래기로 넘어갈 때 치는 ꡔ자진모리 빨리 모는 가락ꡕ
쇠 ꠨ 당 ꠝ ꠝ 다 ꠐ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따 ꠐ구쿵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구쿵ꠝ 따 ꠝ 따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보 2 - 6 다드래기
가락보 1-2, 1-3과 같음
농기와 영기는 그림 2-2에서 본부석 맞은 편에 서 있고 치배들만 3열 횡대로 서서 가락을 친다.
가락 2-3, 2-4, 2-5, 2-6
3) 인사굿
가락보 3 - 1
쇠 ꠨ 당 ꠝ ꠝ ꠐ 딱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당 ꠝ ꠝ 다 ꠛ 당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쿵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덩
제자리에서 인사굿 4장단에 맞춰 인사를 한다. 첫째 장단에 밖으로 향하고, 둘째 장단에 절, 셋째 장단에 고개를 들고, 넷째 장단에 원위치로 선다. 경상도 특유의 인사굿으로 절도가 있다. 군악적인 요소가 나타난다.
4) 길굿 : 인사굿 뒤에 자진모리를 치며 진행하다가 맺고(맺음가락 가락보 2-2), 일채(난타)가락을 치고 맞춤굿에 들어간다.
자진모리를 치면서 전체적으론 원진을 만드나 치배의 움직임은 갈지(之)자로 나아간다.
5) 맞춤굿
잊채(난타)로 연풍대를 돌다가 맞춤굿으로 들어간다.
본격적인 판굿을 하기전에 동작을 맞추어 보는 굿이다.
상모는 돌리지 않는다.
가락보 5 - 1
쇠 ꠨ 당 ꠝ ꠝ 당 ꠐ ꠝ그라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되풀이 ꠏꠈ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 따 ꠝ 다 ꠝ 당 ꠐ ꠝ그라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신호가락 ꠐ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 당 ꠝ ꠝ 당 ꠐ ꠝ그라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되풀이 ꠐ x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ꠝ ꠝ ꠛ ꠐ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장구 ꠨ 덩 ꠝ ꠝ 덩 ꠐ ꠝ따쿵ꠝ ꠐ 덩 ꠝ ꠝ 덩 ꠐ ꠝ ꠝ ꠛ ꠐ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ꠏꠎ
가락보 5 - 2 맺은 가락
쇠 ꠨ 다 ꠝ 당 ꠝ ꠐ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ꠐ 딱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쿵 ꠝ ꠐ 쿵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ꠐ 딱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더 ꠝ 덩 ꠝ ꠐ 더 ꠝ 덩 ꠝ ꠐ 덩 ꠝ ꠝ ꠐ 딱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쇠의 맞춤굿 첫장단을 듣고 뒤로 돌아 원의 반대 방향(그림5-2)으로 진행한다.
쇠가 신호가락(가락보 5-1의 신호가락)을 치면 다시 방향을 바꾸어 진행한다. 진행 방향을 바꿀 때는 항상 자기 몸의 왼쪽으로 돈다.
그림 5-4
검은 부분은 오른쪽 팔다리
1 2 3 2 2 3 3 2 3 4 2 3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당 당’에 양팔을 뒤로 젖히며 오른발을 든다. 벅구는 외사를 친다.
그림 5-5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그라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그당 당 당’에 양 팔이 앞으로 나오며 왼발을 든다.
‘그라’는 입장단으로 ‘그당’으로 볼 수 있다. 벅구는 ‘그라(그당) 당 당’에
소고의 뒷면 앞면 뒷면의 순서로 연속하여 소고를 친다.
6) 빠른(자즌) 맞춤굿
여기부터가 본격적인 판굿의 시작이다. 보통 그냥 맞춤굿이라고 하나 5)맞춤굿가락과 구분하기 위하여 음악적인 특성상 빠른 맞춤굿가락이라 하였다.
① 쫓음굿 : 보통 난타를 일채라고도 하고 쫓음굿이라고도 한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ꠈ
ꠐ 가락보 1 - 1 일채(난타, 쫓음굿) ꠐ
ꠐ 쇠 - 딱 당 당 당 당 당 당당········· 딱 ꠐ
ꠐ 징 - ○ ○ ○ ○ ○ ○ ○○········· ꠐ
ꠐ 북 - 쿵 쿵 쿵 쿵 쿵 쿵 쿵쿵········· ꠐ
ꠐ 장구 - 덩 덩 덩 덩 덩 덩 덩덩········· ꠐ
ꠌ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상쇠가 일채를 치면 모든 치배가 뛰다가 연풍대를 돈다.
상쇠와 부쇠(종쇠)는 원 안으로 들어와 연풍대를 돈다.
벅구는 연풍대를 돌다가 자반뒤집기를 한다.
② 빠른 맞춤굿가락
가락 6 - 2
쇠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변형장단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ꠐ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덩 ꠝ ꠝ 덩 ꠐ 따 ꠝ 쿵 ꠝ 따 ꠐ 쿵 ꠝ 따 ꠝ쿠쿵ꠐ 따 ꠝ 쿵 ꠝ ꠛꠏꠏꠈ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ꠐ 변형장단
꠨ 따 ꠝ ꠝ쿠쿵ꠐ 따 ꠝ 쿵 ꠝ ꠐ 따 ꠝ ꠝ쿠쿵ꠐ 따 ꠝ 쿵 ꠝ ꠛꠏꠏꠎ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 6-3 넘기는 신호가락
쇠 ꠨ 다 ꠝ 다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1
가락 6 - 4
쇠 ꠨ 웃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4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덩 ꠐ ꠝ 덩 ꠝ ꠐ 덩 ꠝ ꠝ 덩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가락 6-2, 6-3, 6-4의 순서로 모두 3번 되풀이 한다.
가락 6-2를 칠 때는 상모(벅구, 버꾸), 들벅구, 징은 위의 5)맞춤굿의 그림 5-4, 5-5와 같은 동작을 취하고, 다른 악기(북, 장구)는 가락에 맞춰서 그냥 걸어간다.
상쇠와 종(부)쇠는 가락 6-2를 치면서 쇠놀음을 한다.
쇠놀음 첫 번째 ① 처음 상쇠와 부쇠는 뒤로 물러나 거리를 조정한다.
③ 자리를 바꾼 뒤 제자리에서 느린 연풍대(돌사위)를 치며 외상을 친다.
제자리에서 좌우의 방향을 바꾸어 외상을 치면서 있다가 가락 6-3을 치며 앞으로 뛰어나가면서 신호
④ 가락 6-4에 맞춰 늦은 자반뒤집기로 엇갈린다.
두 번째 ① 상쇠 부쇠가 똑같이 본부석을 보며 옆(게)걸음을 치면서 다가감
③, ④ 위의 것과 같음
세 번째 앉아서 마주 보고 전진
네 번째 ③번 반복이 끝나면 중간에서 만나 다음 가락으로 넘어간다.
이때 상쇠의 종이부포는 꼭지상모(하나에 오른쪽으로 둘에 퍼 올리고 셋에 살짝 내리고 넷에 뒤로 내린다), 이마 위에 세워서만 꼭지, 외상의 세 개가 주로 쓰인다. 벅구는 외상을 돌린다.
※ 가락 6-4 일 때
① 쇠, 징, 장구는 3번 다 늦은 자반뒤집기를 한다. 그러나 악기 특성상 북이나 벅구처럼 허리를 완전히 굽히진 않는다.
② 북은 첫박만 힘차게 치고 나머지 박에는 동작을 크고 멋있게 취한다. 아래의 ③에 풀이된 벅구의 몸동작처럼 3번 다 늦은 자반뒤집기를 한다. 이는 경상도(경북 금릉 빗내, 경북 청도 차산, 대구 날뫼) 매구굿의 특징적인 동작 가운데 하나이다.
③ 벅구, 들벅구 - 첫 번째는 첫 박에 오른발을 들고, 둘째 박에 오른발을 디디며, 세 박 째에 왼발을 들고 허리를 숙이지 않는 연풍대에 가까운 자반뒤집기를 한다. 두 번째는 느린 자반뒤집기를 한다. 자반뒤집기의 느린 동작이기 때문에 늦은 자반뒤집기라 한다.
세 번째는 발로 소고 차고 도는 사위를 한다.
그림 6-3-① 그림 6-4-②
※ 늦은 자반뒤집기-첫박에 허리를 숙이고 오른발을 들고 왼발을 땅에 디디고 누운 상태에서 오금(굴신)을 주어 순간적으로 왼쪽으로 한 바퀴 회전한다. 소고 치배는 넷째 박에 소고의 뒷면을 친다.
그림 6-4-① 그림 6-4-②
※ 발로 소고 차고 도는 사위
※ 첫 박에 오른발을 올려 소고의 옆면을 찬다. 둘째 박, 셋째 박에는 첫 박에 찬 오른발을 바닥에 디디면서 왼발을 들고 소고를 머리 위에서 돌리면서 왼쪽으로 돈다. 넷째 박에 소고의 뒷면을 친다.
※ 일반적으로 벅구들이 첫 박에 오른발 걷기로 나가면, 첫 박에 소고를 발로 차는 것이 자연스러우나, 반대로 첫 박에 왼발 걷기로 나가면 첫 박에 소고를 소고 채로 치고, 둘째 박에 발로 소고를 차는 것이 자연스러운 자세이다.
③ 넘기는 가락
가락 6-5
쇠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점점빨리 ―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되풀이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ꠐ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ꠛ
쇠 ꠨ 다 ꠝ ꠝ 다 ꠐ ꠝ 다 ꠝ ꠐ 다 ꠝ ꠝ 다 ꠐ ꠝ 다 ꠝ ꠛ x 되풀이 ―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ꠝ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 따 ꠝ ꠝ ꠐ 쿵 ꠝ ꠝ 따 ꠐ ꠝ 따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ꠛ x 되풀이 ― ③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 ④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ꠐ그랑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 ⑤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웃 ꠝ ꠝ 다 ꠐ 웃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⑥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또는꠨ 웃 ꠝ ꠝ 다 ꠐ 당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3 ― ⑦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ꠐ 덩 ꠝ ꠝ ꠐ 덩 ꠝ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딱 ꠝ ꠝ ꠛ x 1
ꡅ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ꠙ
※ 가락 6-5-①을 점점 빠르게 연주하여 가락 6-5-②가 되면 모두 연풍대를 돌다가(가락 6-5-③의 빠르기까지), 가락 6-5-④와 ⑤를 신호로 하여 가락 6-5-⑥에서 첫박에 앉았다 일어나는 춤사위 2장단, 가락 ⑦에서 늦은 자반뒤집기를 4회 하고, 맺은 뒤에 자진모리로 넘어간다. (그림 6-2 참조) 이어 다드래기로 넘어간다.
※ 다드래기 속에 7)찍음상 동작이 들어간다. 단 이때 벅구와 들벅구는 가락 6-5-⑥에서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하지 않고 경상도 특유의 앉은 사위를 한다. 즉 연풍대를 돌다가 가락 6-5-④의 신호를 듣고 가락 6-5-⑤와 ⑥에서 앉은 사위 동작 가, 나를 하고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 1번, 늦은 자반뒤집기를 4번 한다.
그림 6-6 앉은사위 가
※ 앉은사위 가: ① 첫 박에 오른발을 딛고 왼발을 들면서 소고를 머리 뒤로 한바퀴 돌려 둘째, 셋째 박에 소고를 옆구리에 끼우면서 왼쪽으로 돈다.
② 넷째 박에 소고의 뒷면을 치면서 주저앉는다.
앉은사위 나: ① 첫 박에 소고의 앞면을 치고 오른발을 들면서 둘째 셋째 박에 소고를 왼쪽 어깨에 걸머지고 오른쪽으로 돌면서 동시에 일어난다.
② 넷째 박에 소고의 뒷면을 치면서 주저앉는다.
7) 찍음상 - 벅구의 상모 돌리는 모양을 따서 찍음상이라고 한다.
앞의 6)빠른 맞춤굿에 이어 자진모리 가락을 빠르게 몰아서 다드래기로 간다. 찍음 상놀이는 이러한 다드래기의 변형 장단으로 짜여져 있다.
6)빠른 맞춤굿의 자진모리를 점점 빠르게 쳐서 다드래기(찍음상)로 넘어갈 때,
벅구는 가락 2-3, 2-4 일 때 외상을 치고, 가락 2-5 일 때는 양상(양사)을 친다.
가락 7 - 1
쇠 ꠨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다드래기 도입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징 ꠨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 덩 ꠝ ꠐ 덩 ꠝ 따 ꠐ 쿵 ꠝ기닥ꠐ 쿵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x 1 쇠신호 : 가락을 바꾸는 장단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ꠈ
쇠 ꠨ 다 ꠝ ꠐ그당ꠝ ꠐ 다 ꠝ ꠐ그당ꠝ ꠛ ꠐ 찍음상의 본가락
①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 당 ꠝ ꠐ 당 ꠝ ꠐ그다ꠝ ꠐ그당ꠝ ꠛ ‘다그당’은 ‘다다그’에 가깝게 들린다.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징 ꠨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 덩 ꠝ ꠐ 덩 ꠝ 따 ꠐ 쿵 ꠝ기닥ꠐ 쿵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② ꠨ 당 ꠝ ꠐ 다 ꠝ 다 ꠐ 당 ꠝ ꠐ 다 ꠝ 다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x 되풀이
징 ꠨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 쿵 ꠝ ꠐ ꠝ ꠐ 쿵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 덩 ꠝ ꠐ 따 ꠝ 따 ꠐ 쿵 ꠝ기닥ꠐ 쿵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 딱 ꠝ ꠛ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③ ꠨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x 되풀이
징 ꠨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 쿵 ꠝ기닥ꠐ 쿵 ꠝ 따 ꠐ 쿵 ꠝ기닥ꠐ 쿵 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신호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④ ꠨ 당 ꠝ ꠐ 당 ꠝ ꠐ그다ꠝ ꠐ그당ꠝ ꠛ x 되풀이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따 ꠝ 따 ꠐ 읏 ꠝ ꠐ그다ꠝ ꠐ그당ꠝ ꠛ 한쌍-쇠 북, 장구는 가락 ①과 같음.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징 ꠨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ꠐ 쿵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장구 ꠨ 덩 ꠝ ꠐ 덩 ꠝ 따 ꠐ 쿵 ꠝ기닥ꠐ 쿵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ꡆ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쇠 ⑤ ꠨ 당 ꠝ ꠐ 다 ꠝ 다 ꠐ 당 ꠝ ꠐ 다 ꠝ 다 ꠛ x 되풀이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북, 장구는 가락 ②와 같음.
꠨ 당 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 딱 ꠝ ꠛ x 1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⑥ ꠨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x 되풀이 북, 장구는 가락 ③과 같음.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당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ꡆ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 가락 7-1의 ①, ④번은 그냥 걸어간다.
상모는 오른쪽 외상 두 번에 이마 위에 세우는 꼭지상 1번
상모는 일사(오른쪽, 왼쪽, 오른쪽) 이마 위에서 세우는 것 2번
※ 가락 7-1의 ②, ⑤번이 되면 맨앞의 징수부터 따져서 홀수줄과 짝수줄로 나누어 홀수줄이 2장단 안으로 들어가면 짝수줄은 2장단 밖으로 나가고, 반대로 홀수줄이 밖으로 나가면 짝수줄은 안으로 들어온다.
그림 7-2
가락 7-1의 ③번이 되면 다시 원진을 만든다.
상모는 외상
가락 7-1의 ⑥에 다시 원진을 만들고 악기는 연풍대, 벅구는 자반뒤집기를 한다.
8) 엎어배기
역시 벅구의 동작에서 나왔다. 2장단을 연풍대로 돌고 2장단에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엎
어배기라 한다.
가락 8-1
쇠 ① ꠨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다 ꠝ 다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②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딱 ꠝ ꠝ ꠛ x 맺음가락
ㅇ 쇠, 장구, 북은 가락 8-1-①에서 연풍대 2장단
가락8-1-②에서 첫장단에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 2장단을 반복한 다.
ㅇ 처음 시작할 때에는 쇠의 신호를 한 장단을 듣고 시작한다.
ㅇ 벅구는 8-1-①번가락 두번째 장단 8-1-②번 가락의 첫번째 장단에서 앉을 사위 동작을 한다. ꡔ그림 6-5 참조ꡕ 즉 연풍대 1장단-앉을사위 동작 2장단 -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 1장단이다.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할 때는 꼭지상모를 친다.
9) 문굿
※ 걸립굿(풍물)에서 남의 집 대문에 들어서기 전에 영기잽이 두 사람이 영기를 X자로 엮은 채 세워놓고 치는 굿이다.
※ 처음에는 점호굿을 한다. 즉 상쇠가 쫓음굿을 치면서 원래의 원대형에 합류하여 원주상을 뛰다가 가락을 맺으면 동시에 모든 치배가 제자리에 앉는다. 쫓음굿을 칠 때 악기는 연풍대, 벅구는 자반뒤집기를 한다. 그리고 상쇠가 치배들 사이를 돌아가면서 앉아있는 치배를 하나 하나씩 달고 나오는 식의 인원 점검을 한다. 이때 상쇠는 중간 중간에 상쇠의 채벌림을 가끔 한다. 큰원이 만들어지면 일정한 지점에서 상쇠, 부쇠별로 나눔진에 의한 2열 종대를 만들어 앞으로 나가 영기 앞에 선다.
가락 9-1
쇠 ꠨ 당 ꠝ ꠝ 다 ꠐ 당 ꠝ ꠝ 다 ꠐ 다 ꠝ 당 ꠝ 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웃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따 ꠝ 쿵 ꠝ ꠐ 덩 ꠝ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당 ꠝ ꠝ 다 ꠐ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ꠏꠏ
쇠 ꠨ 당 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x 되풀이 - ③
다드래기꠨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도입부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당 x 1 -쇠 신호가락
"주인 주인 문 여소 만복이 들어갑니다."(다드래기를 계속 치다가 끊고 할 수도 있다.)
다드래기로 짜여짐 ꡔ가락 1-2, 1-3ꡕ
쇠 ꠨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ꠐ그랑ꠝ ꠛ 한쌍으로 되풀이 ‘주인 주인 문여소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당 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만복이 들어갑니다.‘라는 입장단 - ④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그랑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 딱 ꠝ ꠛ x 1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 당 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ꠐ그랑ꠝ ꠛ x 되풀이 - ⑤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ꠏꠏꠏꠏꠏꠏ
쇠 ꠨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ꠐ그랑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⑥
꠨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딱 ꠝ ꠐ 딱 ꠝ ꠐ 딱 ꠝ ꠐ 딱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ꠝ ꠐ 당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ꠝ ꠐ 당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ꠝ ꠐ 당 ꠝ ꠐ 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 당 ꠝ ꠐ 당 ꠝ ꠐ그랑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당 ꠝ ꠐ그랑ꠝ ꠐ 당 ꠝ ꠐ그랑ꠝ ꠛ
꠨ ꠝ ꠐ ꠝ ꠐ ꠝ ꠐ ꠝ ꠛ
※ 점호굿 - 상쇠가 가락 9-1-①을 치면서 앉아있는 치배들의 주위를 돌며 몇사람씩 짝을 맞추어 이끌어내는 놀이이다. 이때 벅구는 앉아있을 때는 양사를 치다가 일어설 때는 외사로 연풍대를 치며 뒤를 따라간다.
※ 사물의 뒤를 따라 다닐 때는 첫째 장단에 허리를 숙이고, 둘째 장단에 팔을 위로 들어 하나둘에 왼쪽, 셋, 넷에 오른쪽으로 흔들어준다
군악적인 요소로 「 숨고 적진을 염탐하고 」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 가락 9-1-①을 치며 원진으로 만든다. 이 어 다시 2열 종대를 만들어 영기 앞에 양쪽으로 선다.
이때 영기는 X자로 엮어져 있다.
※ 대형이 만들어지면 9-1-①에서 ②로 넘어가서 다드래기(③) 도입가락을 치다가 쇠 신호에 맞춰 가락을 끊고 소리를 한다.
“주인 주인 문여소 만복이 들어갑니다”라는 소리를 한 뒤, 동시에 가락 9-1-④를 치다가, 상쇠는 9-1-⑤를 치면서 줄 안으로 들어간다. 이때 치배는 모두 안쪽을 바라본다.
※ 이후 9-1-⑥을 치며 상쇠는 자유롭고 다양하게 가락을 내며 흥을 최대한 올린다. 이때 치배는 서로 마주 보며 놀고, 벅구는 좌우 발을 옆으로 한 발씩 밖으로 굴리기를 하며 외사를 돌린다. 상쇠가 쇠를 안 치고 북상놀음을 할 때 징수도 징을 치지 않는다. 가죽 소리만 들리게 하는 형식은 다른 지역의 판굿과 비슷한 형식이다. 이어 상쇠가 쇠가락을 내면 징수도 징을 쳐준다.
※ 상쇠, 부쇠 순으로 개인가락을 치면서 마음껏 개인기(연풍대, 북상놀음, 쇠가락 변주, 앉은사위 등)를 뽐낸다. 다드래기 맺음가락(가락1-3)으로 맺는다.
그림 9-4
10) 오방진굿
문굿에서의 두 줄을 살려서 진풀이로 들어간다. 군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동서남북(상쇠줄 과 부쇠줄로 따로따로 다른 곳에서 멍석말이진을 그림) 그리고 중앙(한줄로 만들어 진을 만 듬)의 다섯 곳에 멍석말이진을 감는다.
이 때 벅구는 첫장단에 허리를 숙이고 두번째 장단에 팔을 들어 하나 둘에 왼쪽으로, 셋 넷 에 오른쪽으로 흔들어 준다. 모든 진에서 영기가 맨앞에 선다. 상모는 이동 할 때에는 돌리지 않으나 진을 말아갈 때는 수벅구가 돌리는 것을 신호로 다 함께 외사를 돌린다.
가락 10-1
쇠 ꠨ 당 ꠝ ꠝ 다 ꠐ 당 ꠝ ꠝ 다 ꠐ 다 ꠝ 당 ꠝ 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웃 ꠝ 쿵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고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따 ꠝ 쿵 ꠝ ꠐ 덩 ꠝ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맺음가락꠨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딱 ꠝ ꠝ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ꡆ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ꠙ
그림 10-1
라 마
② 진을 다 감았으면 중앙으로 자연스럽게 모여든다.
상쇠 : ꡔ용술레ꡕ
치배 : 예이
상쇠 : ꡔ용술레 각단 진지 대령하였느냐ꡕ
치배 : 예이
징 : 징을 천천히 3번 친다.
빠른 덧배기(자진모리)를 치면서 천천히 멍석말이진을 풀고 나온다. 요사이는 맞춤가락을 치기 도 한다.
맞추는 가락
가락 10-2
쇠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① 쇠신호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딱 ꠝ ꠝ ꠛ x 1 ③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맞춤가락으로 연결할 때는 가락 ①의 쇠 신호를 한 장단 듣고, 가락 ②의 당에 몸을 움추렸다가 즙에 옆으로 한 걸음 뛴다. 가락③에서 늦은 자반뒤집기를 한다. 맞추는 가락 뒤에 빠른덧배기(자진모리)를 치고 풀어 나온다. 진을 풀어 원진으로 만든 뒤 자진모리를 맺고, 쫓음굿으로 몰아 굿거리로 간다.
11)굿거리
상쇠가 싸움에 이겨 입성하는 것처럼 굿거리 가락에 덧배기 춤을 추며 논다.
상쇠가 쫓음굿(난타, 일채)을 치면서 상쇠 부쇠가 원 안으로 들어가면서 모두 연풍대를 돌다가 끊고 굿거리를 친다. 굿거리 첫 장단에 맞추어 모든 대원이 추임새를 넣어 흥을 살린다.
가락 11-1
쇠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당 ꠐ 당 ꠝ ꠝ그랑ꠐ그랑ꠝ ꠝ 딱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읏 ꠝ 당 ꠝ ꠐ 읏 ꠝ 당 ꠝ ꠐ 읏 ꠝ 당 ꠝ ꠐ그랑ꠝ 당 ꠝ 당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당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 당 ꠐ그랑ꠝ다다ꠝ읏다ꠐ그랑ꠝ 당 ꠝ그랑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랑당ꠝ 당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 당 ꠐ그랑ꠝ다다ꠝ읏다ꠐ그랑ꠝ 다 ꠝ 딱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읏 ꠝ 당 ꠝ 당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당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그랑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랑당ꠝ 당 ꠝ그랑ꠐ그랑당ꠝ 당 ꠝ그랑ꠐ그랑당ꠝ ꠝ다다ꠐ그랑ꠝ 당 ꠝ그랑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랑당ꠝ다다ꠝ다다ꠐ그랑ꠝ 당 ꠝ 당 ꠐ그랑ꠝ다다ꠝ읏다ꠐ그랑ꠝ 당 ꠝ그랑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랑당ꠝ다다ꠝ다다ꠐ다다ꠝ다다ꠝ다다ꠐ그랑당ꠝ ꠝ다다ꠐ그랑ꠝ 다 ꠝ 딱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굿거리 ꠨ ꠝ 무슨 가락이든 치다가 ꠐ그랑당ꠝ ꠝ다다ꠐ그랑ꠝ ꠝ 딱 ꠛ 둘중에 어느 하나로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맺는가락꠨ ꠝ ꠝ ꠐ ꠝ ꠝ ꠐ그랑ꠝ다다ꠝ읏다ꠐ그랑ꠝ ꠝ 딱 ꠛ 맺으면 됨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이 가락은 김한순 상쇠 어르신의 가락을 녹음한 것을 그대로 채록한 것이다.
원래 입장단과 실제로 치는 것과는 미묘한 차이가 나는데, 입장단(구음)에 따르기 보다는 치시는 대로 그대로 기록했다.
가락 11-2 굿거리 배기는 장단 - 북이 위주가 되고 쇠나 장구는 북에 맞춰 준다.
쇠 ꠨ 당 ꠝ 당 ꠝ ꠐ 당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그랑ꠝ 당 ꠝ 딱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쿵 ꠝ ꠐ 쿵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읏 ꠝ 딱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덩 ꠝ ꠐ 덩 ꠝ 덩 ꠝ ꠐ 덩 ꠝ ꠝ 덩 ꠐ 읏 ꠝ기덕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ꡃ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
쇠 ꠨다다ꠝ다다ꠝ 당 ꠐ다다ꠝ다다ꠝ 당 ꠐ그랑당ꠝ ꠝ다다ꠐ그랑ꠝ 당 ꠝ 당 ꠛ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쿠쿠ꠝ쿠쿠ꠝ 쿵 ꠐ쿠쿠ꠝ쿠쿠ꠝ 쿵 ꠐ 쿵 ꠝ ꠝ 쿵 ꠐ 읏 ꠝ 딱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더더ꠝ더더ꠝ 덩 ꠐ더더ꠝ더더ꠝ 덩 ꠐ 덩 ꠝ ꠝ 덩 ꠐ 웃 ꠝ기덕ꠝ 따 ꠛ
ꠏꠏꠏꠏꠏꠏꠏꠏꡆ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가락 11-3 장구 맞추는 가락
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ꠈ
장구 ①꠨ 덩 ꠝ ꠝ 덩 ꠐ 덩 ꠝ ꠝ 덩 ꠐ 덩 ꠝ ꠝ 덩 ꠐ 덩 ꠝ따따ꠝ따따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②꠨ 쿵 ꠝ 쿵 ꠝ 따 ꠐ쿠쿵ꠝ 쿵 ꠝ 따 ꠐ쿠쿵ꠝ 쿵 ꠝ 따 ꠐ쿠쿵ꠝ기덕ꠝ따따ꠛ
ꡅ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 상쇠와 부쇠가 굿거리 가락을 치면서 춤을 추면서 논다.
(잡색들은 자리를 바꾸어 가며 춤을 추고, 치배들은 제자리에서 장단을 치며, 어깨춤을 추며 논다.)
※ 상쇠가 북앞에 가서 배기는 신호를 주면 굿거리 배기는 장단(가락 11-2)을 친다.
이 때 북은 북끼리 장구는 장구끼리 벅구는 벅구끼리 둥글게 작은 원을 만들어 배기는 장단을 친다.(그림 11-2)
※
그림 11-3
그림 11-4
가락 11-3-②의 가락을 치며, 우로 1장단, 좌로 1장단씩 제자리에서 천천히 돈다.
계속 가락을 치다가 끝맺고 삼채배의 빠른덧배기 가락을 낸다.
12) 덧배기굿
경상도 가락의 특징이고 가장 흥이 많이 나는 부분이다.
가락 12-1 :
※ 상쇠는 윗놀음으로 북상놀음 다양하게 연출하며, 개인 가락을 자기 나름대로 신나고 흐드러지게 친다.
※ 쇠를 비벼 치다가 배기는 가락을 친다. 비벼치다, 비비다 등은 쇠가락을 상쇠 개인 능력에 맞 게 잘게 뽑아지는 의미이기도 하다.
가락 12-2 배기는 가락
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ꠈ
쇠 ꠨ 따 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라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ꠐ그라ꠝ 당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랑ꠝ그랑ꠝ그랑ꠐ그랑ꠝ그랑ꠝ그랑ꠐ그랑ꠝ그랑ꠝ그랑ꠐ그랑ꠝ그랑ꠝ그랑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그라ꠝ 당 ꠝ ꠐ 따 ꠝ 당 ꠝ ꠐ그랑ꠝ 따 ꠝ ꠐ ꠝ 즙 ꠝ ꠛ x 1 배기는 신호가락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또는꠨ 따 ꠝ 당 ꠝ ꠐ 당 ꠝ ꠝ 따 ꠐ 읏 ꠝ 따 ꠝ ꠐ 즙 ꠝ 따)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따 ꠝ 당 ꠝ ꠐ그랑ꠝ 따 ꠝ ꠐ ꠝ 즙 ꠝ ꠛ x 배기는 가락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쿠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ꠝ ꠝ ꠛ x 2 북이 위주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쇠는 신호를
꠨ 쿵 ꠝ ꠝ 쿵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쿵 ꠐ 쿵 ꠝ ꠝ ꠛ x 1 해준 다음 장구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와 같이 북에
꠨ 쿠 ꠝ 쿵 ꠝ ꠐ 쿠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ꠝ ꠝ ꠛ x 1 맞춰 친다.
ꡅ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가락 12-3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쇠 ꠨ 당 ꠝ ꠝ 다 ꠐ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되풀이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ꠛ x 되풀이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ꠐ그랑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읏 ꠝ ꠝ 따 ꠐ 읏 ꠝ ꠝ 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3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다 ꠝ 다 ꠝ 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즙 ꠝ ꠝ ꠛ x 1 - 맺음가락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몇번 배기면서 놀다가 자진모리를 빨리 모느 가락(빠른 삼채류) (가락 12-3-①, 가락 2-5)을 친다. 다음에 상쇠의 신호에 맞춰 연풍대(12-3-②가락)를 돌다가, 2번 앉고 4번 자반뒤집기 하는 동작(가락 6-5-③, ④, ⑤, ⑥, ⑦)을 한다.
덧배기굿의 배기는 장단을 칠 때에는 굿거리 배기는 장단을 칠 때와 마찬가지로 북은 북, 장구는 장구, 벅구는 벅구끼리 모여서 친다. 덧배기굿의 마지막으로 다드래기(가락 1-2)를 치다가 가락 1-3으로 맺는다.
13) 호호굿
가락 13-1
쇠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그랑ꠐ ꠝ그랑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1 -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따 ꠝ 다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따 ꠝ 다 ꠝ 당 ꠐ ꠝ 당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따 ꠝ 당 ꠝ ꠐ 따 ꠝ 당 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ꠐ 딱 ꠝ ꠝ 딱 ꠐ ꠝ ꠝ ꠛ x 1 -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덩 ꠐ ꠝ ꠝ ꠐ 딱 ꠝ ꠝ 딱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ꠝ ꠐ 딱 ꠝ 딱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입 ꠨ 호 ꠝ ꠝ 호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점점 빨라져서 다드래기의 빠르기로 올라간다. 쇠‘당 당’을 치면서 ‘호호’를 외친다.
가락 13-2
쇠 ꠨ 호 ꠝ ꠝ ꠐ 호 ꠝ ꠝ ꠐ 딱 ꠝ ꠝ ꠐ 딱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그랑ꠝ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딱 ꠝ ꠝ ꠐ 딱 ꠝ ꠝ ꠐ 딱 ꠝ ꠝ ꠐ 딱 ꠝ ꠝ ꠛ x 되풀이 - ①
가락 13-3 13-2 가락을 빠르게 몰아서 다드래기의 빠르기까지 간다. 상쇠는 다드래기 개 인 가락을 신나게 친다.
가락 13-2을 치면서 홀수줄과 짝수줄로 지그재그로 두개의 원이 왔다갔다 교차되는 모양이 되게 한다.
가락 13-2를 몰아쳐서 다드래기의 빠르기까지 올라가면 다시 원을 만들고 다드래기로 놀다가 상쇠가 가락 13-2-①을 빠르게 치면서 연풍대를 돌면 모든 치배가 연풍대를 돈다.
이어 연풍대를 맺고 다드래기의 개인가락 부분을 친 뒤 다드래기 맺음가락(가락 1-3)으로 끝낸다.
14) 우물굿
가락 14-1
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ꠇꠏꠏꠏꠏꠈ
쇠 ꠨ 당 ꠝ ꠝ 당 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1 신호장단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ꠕ
쇠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1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x 3 -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ꠛ
장구 ꠨ 덩 ꠝ ꠝ ꠐ 덩 ꠝ ꠝ ꠐ 덩 ꠝ ꠝ 따 ꠐ ꠝ ꠝ ꠛ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ꠛ
쇠 ꠨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따 ꠝ쿠쿵ꠐ 따 ꠝ 쿵 ꠝ ꠐ 덩 ꠝ 따 ꠝ쿠쿵ꠐ 따 ꠝ 쿵 ꠝ ꠛ x 3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1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ꠝ ꠝ ꠛ x 1 - ②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ꠐ 덩 ꠝ ꠐ 덩 ꠝ ꠝ 따 ꠐ ꠝ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그랑ꠝ ꠝ그랑ꠐ ꠝ그랑ꠝ ꠐ그랑ꠝ ꠝ그랑ꠐ ꠝ그랑ꠝ ꠛ x 6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ꠐ 쿵 ꠝ ꠝ 쿵 ꠐ ꠝ 쿵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따 ꠐ 쿵 ꠝ 따 ꠝ 쿵 ꠐ 따 ꠝ 쿵 ꠝ 따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ꠏꠏꠈ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ꠐ x 되풀이 - ③
꠨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ꠐ 당 ꠝ ꠝ그랑ꠐ ꠝ 당 ꠝ ꠛꠏꠏꠎ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ꠝ ꠐ 당 ꠝ ꠝ ꠐ 당 ꠝ ꠝ 당 ꠐ ꠝ ꠝ ꠛ x 1 - ④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당 ꠝ 그라 당 ꠝ ꠝ따따ꠐ 당 ꠝ 당 ꠝ그라ꠐ 당 ꠝ ꠝ따따ꠛ x 되풀이 - ⑤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쿵 ꠝ 쿵 ꠐ 쿵 ꠝ ꠝ ꠐ 쿵 ꠝ 쿵 ꠝ 쿵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당 ꠝ그라ꠐ 당 ꠝ 즙 ꠝ ꠐ 당 ꠝ 당 ꠝ그라ꠐ 당 ꠝ 즙 ꠝ ꠛ - ⑥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 ꠝ ꠝ ꠐ ꠝ ꠝ ꠛ x 되풀이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쿵 ꠝ 쿵 ꠐ 쿵 ꠝ ꠝ ꠐ 쿵 ꠝ 쿵 ꠝ 쿵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ꠐ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ꠛ
ꠌ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 가락 14-1-①과 ②를 순서대로 해서 모두 3번 친다. (②의 ㉠을 6장단 칠 때 상쇠는 제자리에서 돌며 종이북상으로 외사를 친다.) 이때 벅구는 상모를 돌리지 않으며 소고만을 치고 따라 다닌다.
그림 14-1
그림 14-2
상쇠가 가락 14-1-⑥ 가락을 치면서 원진에 합류하여 치배들을 이끌고 시선을 구경꾼이 있는 바깥방향으로 맞춘, 채 옆걸음으로 뛰며 진풀이를 한다.
다 라 마
이 때까지도 상모를 돌리지 않으며, 한 장단에 소고를 앞,뒤,앞,뒤로 치며 다닌다.
가락 14-2
쇠 ꠨ 다 ꠝ 다 ꠝ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ꠛ x 되풀이 - ①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다 ꠝ 다 ꠝ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ꠐ 다 ꠝ 다 ꠝ 다 ꠛ x 1 - ②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다 ꠝ 당 ꠝ ꠐ 당 ꠝ ꠝ ꠐ그랑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1 - ③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ꠐ 쿵 ꠝ 따 ꠝ 따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읏 ꠝ ꠝ 다 ꠐ 읏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④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또는꠨ 읏 ꠝ ꠝ 다 ꠐ 당 ꠝ ꠝ 다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ꠐ 쿵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따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쿠 ꠐ 쿵 ꠝ 따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당 ꠝ ꠝ ꠐ 즙 ꠝ ꠝ 따 ꠐ 당 ꠝ ꠝ그라ꠐ 다 ꠝ 당 ꠝ ꠛ x 2 - ⑤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징 ꠨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북 ꠨ 쿵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ꠐ ꠝ ꠝ ꠛ
장구 ꠨ 덩 ꠝ ꠝ ꠐ 덩 ꠝ ꠝ ꠐ 덩 ꠝ ꠝ 따 ꠐ쿠쿵ꠝ 따 ꠝ ꠛ
ꡂ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ꠊꠏꠏꠏꠏꠖ
쇠 ꠨ 다 ꠝ 다 ꠝ다 ꠐ 당 ꠝ ꠝ ꠐ그라ꠝ 당 ꠝ ꠐ 즙 ꠝ ꠝ ꠛ x 1
ꡅ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ꠍꠏꠏꠏꠏꠎ
※ 원이 만들어지면 가락 14-2-①을 치면서 연풍대를 돌다가 두번 앉았다가 (가락 14-2-④) 2번 늦은 자반뒤집기(가락 14-2-⑤)를 한다. 이어 덧배기 가락을 친다. 덧배기 가락을 빠르게 몰아, 다드래기(가락1-2)로 넘겨 치다가 다드래기 맺음가락(가락 1-3)으로 끝낸다.
15) 개인놀이
※ 우물굿의 뒷부분으로 빠른덧배기(자진모리)를 치고 가서 ㄷ자형 모양으로 선다. 이어 빠른덧배기(자진모리)를 빠르게 몰아 다드래기를 치다가 다드래기 맺음가락(가락 1-3)으로 끝낸다. 자연스럽게 개인놀이의 대형을 만든다.
상쇠가 난타를 치고 나와 벅구와 들벅구들을 불러내어 농사풀이를 한다.
이어 상쇠의 상쇠놀음, 각시춤, 들벅구, 벅구, 대북춤, 장구춤, 열두발 상모의 순으로 개인놀이를 한다.
16) 벅구들의 농사풀이(보통 개인놀이 대형에서 농사풀이가 이루어진다.)
※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낸 것으로 ①씨뿌리기, ②모찌기, ③모심기, ④김매기, ⑤벼베기, ⑥타작, ⑦벼쓸어모으기, ⑧볏단쌓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다.
벅구는 양쪽으로 나누어 서로를 마주 보는 상태로 서며, 상쇠는 양쪽 벅구 사이의 한 가운데에 자리를 잡고 선다. 이때 난타를 치며 자리를 잡는다.
맨 처음 빠른 덧배기를 치면 벅구는 제자리에서 양사를 치다가 상쇠의 ‘다당 다당 당 닷’을 신호로 가락을 쫓음굿으로 바꾸면 벅구들이 외사를 치며 뛰어나오다가 돌아간다. 두번째 상쇠가 빠른덧배기(자진모리)를 치다가 다시 쫓음굿을 치면 벅구는 외사를 치며 나와서 털썩 주저앉는다. 앉아서 덧배기 장단에 맞추어 양사를 친다.
상쇠의 신호에 맞춰 외사를 돌리며 왼쪽으로 한 바퀴 휙 돌고, 다시 오른쪽으로 한 바퀴 휙 돈다. 다시 제자리에 앉아 덧배기에 맞춰 양사를 치다가 앞에 한 것을 다시 한 번 되풀이 한다.
이어서 바로 발을 들고 뒷걸음 치며 찍엄상을 하며 뒤로 나간다. 맨 처음의 위치로 간다.
빠른 덧배기 가락(삼채)에 제자리에서 양사를 다시 친다. 가락을 바꾸면 씨뿌리기 자세로 들어간다.
①씨뿌리기 : 외사를 친다. 옆걸음으로 들어온다. 한 장단에 한걸음씩 옮기며 손으로 씨를 두번 뿌린다. 벅구 둘씩 한 조가 되어 서로를 마주 보며 옆걸음으로 다닌다. 소고를 씨를 담은 바구니로 연상케 하고 소고에서 씨를 집어 뿌리는 모양을 나타낸다. ‘다다다 다다다 다당 닷’(농사풀이에 나오는 동작을 바꿀 때의 상쇠 신호 장단으로 쓰임)을 치면 오던 방향을 바꾸어 밖으로 나오며 앞의 몸짓을 다시 한 번 한다.
②모찌기 : 소고를 바닥에 놓고 주저앉은 자세로 걸어나오며 두 손을 앞뒤로 바쁘게 움직이며 모찌는 흉내를 낸다. 외사를 친다.
③모심기 : ‘당 닷 다 당 그라 닷 다’(한 장단에 상모를 앞으로 두 번을 찍음)를 치면 몸을 앞으로 수그렸다 일어서며 앞으로 오른발을 내밀고 걸어간다. 소고채를 모로 연상하여 바닥에 소고채(모)를 심는 흉내를 낸다. 상모는 찍엄상을 친다. 첫박에 찍고 둘째박에 퍼올린다.
④김매기 : 소고를 바닥에 놓고 허리를 약간 굽힌 자세로 걷는다. 한 장단에 한 발씩 옮긴다. 두 손으로 김매는 흉내를 낸다.
⑤벼베기 : ‘당 다당 다 다당 닷’ 가락에 맞춘다. 한 장단에 빠른 외사를 2번, 찍엄상을 1번을 치며 장단의 마지막 박자에 소고채로 소고를 힘차게 때린다. 이는 마치 상모 돌아가는 모습이 칼로 벼를 베는 듯하고, 마지막 박자에 벼를 옆으로 착 쓰러뜨려 쌓는 듯한 느낌을 준다. 바닥에 털썩 주저 앉아서 걸어 나간다. 가던 방향을 바꿀 때는 왼쪽으로 돈다.
⑥타작 : ‘당 다당 다 다당 닷’가락에 맞춘다. 오른발을 들었다 놓았다 하여 기계를 돌리는 흉내를 내고, 두 손으로 벼를 터는 모습을 나타낸다. 넷 동작에 타작한 볏단을 왼쪽으로 집어던지는 흉내를 낸다. 외사를 친다.
⑦벼쓸어모으기 : 외사를 친다. 허리를 약간 수그리고 양 팔을 앞뒤로 흔들며 걷는다. 벅구들은 원을 만들어 돈다.
⑧볏단쌓기 : 벅구들이 다 함께 느린 자반뒤집기로 돌다가 수벅구부터 소고를 한가운데 놓고 나아가며 돈다. 벅구들이 쌓아놓은 소고가 마치 벼를 쌓아놓은 것같은 모양이다. 끝벅구는 쌓아놓은 소고를 뒤집어 놓는다. 이어 연풍대(상쇠 : 다다그 가락)와 느린 자반뒤집기(읏 당 당 다 당그라다당)를 하며 수벅구부터 소고를 하나씩 집어서 원래 있던 자리로 돌아간다. 끝벅구까지 소고를 다 집으면 모든 벅구들이 연풍대를 치고 빠른 자반뒤집기(상쇠 : 다다그 가락)를 하며 제자리로 돌아간다. 보통 8벅구들로 짠다.
17) 인사굿
※ 개인놀이가 끝나면 자진모리를 치면서 농기를 앞세우고 모든 대원이 원진을 만든다. 원진이 만들어지면 상쇠가 가락(가락보 2-1)을 끊고, 구경꾼에게 인사굿(가락보 3-1)을 친다.
※ 다시 빠른덧배기(자진모리)를 치고 판 밖으로 빠져나와 빠른 가락(빠른삼채)으로 몬 뒤, 다드래기로 몰아서 다드래기 맺음가락(가락보 1-3)으로 끝낸다.
<도움 받은 자료>
박진주 ꡔ부산아미농악ꡕ 부산지방 무형문화재 지정보고서
정병호 ꡔ농악ꡕ 열화당 1986
봉천놀이마당 ꡔ민속교육자료집ꡕ 우리교육 1994
부산대 풍물패 백의 ꡔ부산아미농악 전수 자료집ꡕ
사단법인 부산아미농악보존협회 ꡔ공연팜플렛ꡕ
부산아미농악 공연 비디오테이프 ꡔ1993, 8. 21 서울놀이마당 찍은이 : ꡕ
부산아미농악 상쇠 김한순 선생님 쇠가락 촬영 비디오TAPE, 1994. 7 찍은이 : 최 진
부산아미농악 공연 비디오테이프 ꡔ1990,』
부산아미농악 공연 비디오테이프 ꡔ1992,ꡕ
부산아미농악 공연 비디오테이프 ꡔ1994,ꡕ
99. 11. 28 봉천놀이마당 풍물교육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