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는 많은 신규 사업을 펼쳐 왔다.
성공한 만큼 실패한 경우도 많았는데,모든 경우에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
다. 사업 성공이나 돈을 벌려는 목적이 우선한 경우 대부분 실패를 한 반면 고객
의 불편을 발견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비즈니스가 시작된 경우에는 대부분 성
공의 결과를 낳았다. 이 원리는 매우 간단하고 쉬운 것이다.
예컨대 '나를 돈벌이 대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좋아하겠는가,아니면 진심으로
도와주려는 사람을 좋아하겠는가'의 문제다.
답은 간단하다. 자기 잇속 챙기기보다 나를 염려하고 도우려는 사람을 좋아하고
자주 찾게 될 것이다. 전자는 지불하는 값에 비해 누리는 가치가 적을 것이고 후
자는 가격에 비해 가치가 우월하기 때문에 성공할 수밖에 없다.
고객은 누구나 이기적이다. 그래서 사업을 하는 사람은 이타적 공급자가 되어야
만 성공할 수 있다. 며칠 전 5천원을 주고 남성전용 이발 체인점에서 머리를 다
듬었다. 깨끗하고 빠르게 깎아 주는데다 뒷머리를 거울로 비춰주며 고칠 곳이 없
는지 확인까지 해 주는 서비스에 반해 앞으로도 이곳을 이용하기로 맘먹었다. 사
실 지난 20여년 동안 이발할 곳이 마땅치 않아 미장원에서 거북하게 앉아 있거
나 비위생적인 낡은 이발소를 이용했기 때문에 이발할 때가 되면 이번에는 어디
로 가야 하나 하는 부담을 가졌었다.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새
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이 이발 체인점은 근래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이렇듯 신규 사업은 많은 고객들의 불편을 진정으로 해결해 주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나는 이발 체인점에서 큰 불편 한가지를 해결했다. 이 가치를 제공받는
한 계속해서 애용할 것이고,나 같은 사람이 많다면 이 사업은 앞으로도 번창할
것이다.
얼마 전 신규 사업을 담당하는 중역에게 많은 사람이 고통받는 분야를 얘기하고
이것을 해결하는데 우리의 지식을 사용해 달라고 부탁했다. 많은 사람들이 금융
기관에서 적은 돈조차 빌리기 어렵다고 하고,사금융 업자는 연 60% 이자로도 수
익 내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런데 퇴직금 1억~2억원을 가진 사람들은 연 4%의 낮
은 이자수입으로 생활이 어려워 고통받는 이 모순을 해결하는 게 직업이고 신규
사업이 아니겠는가. 누가 되었든 혁신을 통해 이 사회적 고통을 해결하고 사업
에 성공하길 바라는 마음이다.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