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은 인류 생활과 문화 속에서 함께 해 왔다. 색으로 사람들은 다양한 심리적인 변화를 나타냈고, 예술과 문화 속에서 색채는 사물에 대한 표현 이전에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대로부터 색깔들은 풍유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필로는 흰색을 땅의 상징으로, 자주색을 바다의 상징으로 삼았고, 신약에서는 붉은 색은 전쟁의 대학살(계6:4)을 상징한 반면 흰색은 의인의 싱징(계19:8)으로 나타냈다. 또한 검정은 전쟁의 대학살로 인한 슬픔과 죽음을 의미한다(슥6:2, 6)고 보았다.
국기색의 숨은 이야기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를 보아도 색체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 각 민족마다
색깔의 의미를 달리하고 있다. 현대인들도 고대인과 마찬가지로 색채의 특징을 통해 여러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아시아에서 붉은 색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에서 붉은
색은 하늘과 땅을 상징하고 일본은 아침해, 공산국가인 중국과 북한, 베트남 등은 혁명과 승
리를 상징한다.유럽 국기의 특징은 문양이 없는 3색기(트리코롤)가 많다는 것이다.대체로 청
색은 자유, 백색은 평등, 적색은 박애를 의미한다. 북구의 5개국 국기에서 백색.청색.황색은
자유를 상징하는 색으로 쓰인다.남미의 많은 국가들이 백색과 하늘색을 사용하는데 평화와
자유를 의미한다. 그밖의 국기에서 녹색과 황색을 기초색으로 쓰는데 풍부한 푸른 들판과
황금을 대표하는 광물 자원을 상징한 것이다.무지개는 몇 개의 색을 가졌을까 무지개는 천
상적 기적이었고 사물과 결합되지 않은 색으로 좁게는몇 개의 색에서 넓게는 수천가지의 색
에 이른다. 그러나 사람들이 무지개 속에 구분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한 색의 숫자는 대개 특
정한 상징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17세기경 뉴턴은 무지개가 11개 색으로 되어 있
다고 보았다. 그 뒤에는 5개의 색 그리고 18세기초‘광학이론’에서 무지개에는 7개의 색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현대는 그의 주장에 따라 무지개가 7색으로 귀착되어 있다. 그러나 문
학가 괴테는 무지개가 6개의 색으로 이루어졌다고 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3원색에 따라 3
개의 무지개 색만을 언급했다.우주의 모든 존재가 4원소(물, 불, 공기, 흙)에서 성립되었다고
믿었던 그리스에서는 4원소의 이론에 따라 무지개의 색이 노랑(흙), 초록(물),파랑(공기), 빨
강(불) 4개의 색이라고 보았다. 4원소 대신 5원소가 있었던 중국에서는 5개 색으로 보았다.
기독교 미술에서는 가끔 무지개를 삼위일체에 맞게 3색이라고 제시하기도 했다
색의 기원과 상징적 의미
천지 창조 이전의 우주는 무슨 색으로 되어 있을까. 색으로 비유한다면 천지창조는 어둠과
빛 곧 검정과 흰색으로부터 시작되었다. 7일 창조로 인해 우주는 총천연색의 다양한 빛의
세계가 됐다고 말한다. 색은 인종이나 문화, 성별 등을 모두 초월하여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
인 무의식의 상징을 갖고 있다. 10가지 기본 색채 속에 담겨 있는 기독교적 상징적 의미는
어떤 것일까.
① 붉은 색은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피(속죄의 은혜)와 사도들에게 강림했던 불, 신앙의
열의 사랑, 순교 등을 상징한다.
② 주황색은 기쁨과 정열의 색으로 위엄과 외부로 향한 내재적 에너지인 믿음을 상징한다.
불꽃, 불 등으로 상징되는 주황은 동양에서 사랑과 행복을 뜻한다.
③ 노랑 색의 밝은 색은 신성, 계시된 진리, 신앙을 지킨 성도를 상징하고 어두운 색은 배신
과 기만, 이단자, 유대인을 뜻한다. 불교에서는 무욕과 겸허를 상징한다.
④ 초록색은 생명을 나타내는 싱싱함과 영생(죽음에서의 승리)을 상징하고 젊음과 희망, 환
희, 낙원, 봄, 번영을 뜻한다.
⑤ 푸른색은 진실, 계시, 지혜, 충성, 정결, 경건, 평안 등을 뜻하며 하늘과 하늘의 진리, 하
나님의 은총을 상징한다.
⑥ 자주색은 왕권, 황제, 고위 성직자의 권력과 위풍, 자존심, 진실,겸허와 죄에 대한 참회
등을 상징한다.
⑦ 보라색은 지성과 지식, 종교적 헌신, 향기, 신성, 참회, 고위 성직자의 권위를 상징한다.
⑧ 흰색은 초월적인 완전성과 성별, 속죄, 성스러운 생활, 처녀성, 정결함, 빛을 상징한다.
⑨ 검정 색은 창조 이전의 원초적 암흑과 공허, 절망, 무(..), 죽음, 비애를 상징한다.
⑩ 금색은 영광과 태양, 신의 힘, 광명의 불과 창조 이전의 빛으로서의 신 등을 상징한다.
색의 수수께끼 첫번째 - 생사의 지배자‘빨강’
일반적으로 붉은 색 자체는 피를 연상시키는데 피는 생명이다. 고대히브리 언어학자들은 붉
은 색을 뜻하는‘아돔’과 피에 해당하는‘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성경은
피에 생명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다. 구약성경 창세기에서 인간 아담은‘아다마’즉 붉은 황
토 흙으로 빚어졌다고 말한다. 또한 과거에는 아름다운 붉은 색 옷을 주교나 왕과 법관만이
입을 수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생과 사 그리고 유한과 무한을 다스리는 지배자였다. 온 인
류가 예수 그리스도의 붉은 피로 인해 구원을 얻었다는 것을 통해서도 붉은 색은 생명을 상
징한다. 그러나 붉은D색이 흰색과 함께 사용되면 죽음을 나타낸다.한편 붉은 색은 초자연적
인 힘과 성스러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고대유럽에서는 붉은 색이 마력과 동일한 의미를 갖
는다고 보았는데, 마력이란 단어가 고대 노르웨이나 앵글로 색슨어의 붉은 황토(아담토)와
연관되어 있다. 이집트인들은 붉은 색이‘생명의 마력을 가졌다’고 믿었고, “빨갛게 만든
다”는 것은 죽인다는 것을 의미했다.중세 교회에서는 빨강 머리와 빨강 눈은 마귀의 상징
으로 보았고, 이사야에서는 죄의 농도를 표현했다(사1:18). 그러나 이교도적 풍습에서 붉은
색은 마귀를 퇴치하는 도구로 간주되었고, 모든 사악한 마술을 선(..)으로 꺾을 수 있는 것으
로 보았다. 악마를 대처하는 많은 부적을석류석.홍옥수.루비.홍옥 같은 붉은 색을 띤 보석들
로 만들었다.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 문설주의 붉은 피는 부정과 죽음의 그림
자를 막는 것이었다. 예수 십자가의 붉은 피는 속죄의 은혜로 보혈의 피를 상징한다(마
27:46, 벧전1:18-19). 하나님의 말씀처럼 어둠 속에서 빛나는 붉은 홍옥은 예수의 상징이 되
었다.게르만의 전쟁신인 도나르와 보탄은 빨강 머리를 하고 있어 게르만 족들은 전쟁에 나
갈 때 항상 머리를 붉게 염색했다. 요한계시록에서는 붉은 말이 전쟁의 상징이며, 지상 모든
죄악의 어머니인 음녀 바벨론은‘자주와 붉은 빛’옷을 입고, 음행과 죄악이 가득 찬 잔을
들고 있다(계17:1-5).붉은 색에 대한 심리적 분석은 갈등과 공격성의 색으로 다분히 자극적
이고 호전적이며 흥분하는 성격의 성향을 나타낸다. 불을 상징하는 것으로 위협적인 요소
앞에 놓인 두려움이나 우려의 표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