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활력 넘치는『50만 자족 ․ 특례도시』
< 단기적으로 >
가칭)당진시 미래기획위원회 구성․운영과 연계
기 수립하였거나 수립예정인 국가 및 지역발전 계획과 연계 검토
⇨ 광역경제권, 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국가 및 충청남도 종합계획 지역특성 및 정책목표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사업 선정 및 국도비확보 추진
< 중기적으로 >
⇨ 10대 비전의 큰 틀에서 미래 먹거리 창출 및 지속 가능과제 발굴
당진항 중심의『허브 항만도시』
국토해양부 타당성 검토 결과(2011년) : 추가 B/C 분석 필요 입장
2020년 한국 건설산업 신상품으로 전망 ⇨ 한중 해저터널 실현 가능 전망 (2020년 한국 건설산업의 주요 이슈 및 트렌드 예측 보고서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석인 연구위원외 3명)
- 공사비(120조 이상) 등 관계로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2020년 이후) ⇒ 앞으로 대중국 교두보 선점 차원의 논리개발 및 공약으로 제시
사통팔달 도로망 확충 *국도지선 등 간선도로 조성 (5개노선 65km)
- 당진-대전간 고속도로 개통과 철강,클러스트,고대부곡공단,석문국가공단의 본격적인 개발로 교통 및 물동량 폭증으로 조기 도로개설 ※ 국도38호선, 송산산단 진입도로, 국지도70호선, 당진∼면천간 내부순환도로, 지방도619호선(순성∼기지시∼송악∼부곡공단) *당진∼천안간 고속도로 등 동서간 연결도로 확충(3개노선 87km)
- 충남 서북부 지역(당진,서산)의 대규모 산업지대와 천안,아산 신도시를 연결하는 간선도로망 구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당진∼천안간 고속도로, 신평∼합덕∼내포신도시간(국도40호), 당진∼대산간 고속도로
추진 전략 *단기적 추진 (2012 ~ 2015년) - 국도38호, 국지도70호, 송산-산단진입도로 개설공사 추진 ⇨ 국도38호선 연장 23.6km/2,858억 원/기투자 2,125억 원/잔여사업비 733억 원 ⇨ 국지도70호선 연장 8.96km/1,084억 원/기투자 687억 원/잔여사업비 397억 원 ⇨ 송산산단진입도로 연장 7.58km/1,203억 원/기투자 219억 원/잔여사업비 984억 원 *장기적 추진 (2016 ~ 2050년) - 국도지선, 당진-천안간, 당진-대산간 도로개설 추진 ⇨ 당진-면천IC간 도로구간을 국지도 사업(70호)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방문건의 ⇨ 순성-기지시-송악부곡공단 진입도로 추진을 위한 사업비 확보 건의 ⇨ 당진-천안간 고속도로개설사업이 조속 추진될 수 있도록 국토부 방문 건의 ⇨ 당진-대산간 고속도로개설을 서산시와 병행하여 국토부 방문 건의 ⇨ 신평-합덕-내포 신도시간(국도40호선) 도로확장 국토부 방문 건의
활력 넘치는 『50만 자족·특례도시』
1.중심권, 남부권, 해안권 거점도시로 광역도시권 구축
*중심권 : 당진시 중추기능을 담당할 행정, 업무, 경제, 교육의 중심지 육성 ⇨ 수청1지구, 수청2지구, 송악지구 도시개발사업 성공적 마무리 (2014) ⇨ 당진도시~송악도시지역의 단계별 중심도시권 육성 (2020)
*남부권 : 중심권의 기능분담, 당진항 및 도청이전에 대비한 지원기능 육성 ⇨ 추진 중인 합덕산단, 합덕·순성테크노, 합덕 인더스파크 마무리 (2014) ⇨ 합덕 역세권 개발 및 복합환승센터 구축 (2020)
*해안권 : 산단배후 및 해안관광기능을 충족할 자족기능 육성 ⇨ 석문국가산단 성공적 분양완료 (2014) ⇨ 도비도(당진팜) 성공적 조성 (2020)
2.대덕·수청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8개지구 [약 350만㎡]
시승격 및 경제발전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으로 쾌적하고 살기좋은 신시가지 개발사업 추진
- 신청사 주변 고품격 도시개발사업 추진 ⇨ 2012. 3. : 대덕·수청지구 기반시설공사 완료 ⇨ 2012. 12. : 수청1지구, 수청2지구 구역지정 추진
- 도시확장에 따른 신시가지 개발 ⇨ 2012. 2. : 당진 송악지구 도시개발사업 공사 추진 ⇨ 2012. 6. : 당진1지구, 송악반촌지구 도시개발사업 기반공사 준공
- 산업발전에 따른 유입인구 수용을 위한 도시기반시설 확충 ⇨ 당진1지구, 송악반촌지구, 우강송산지구, 대덕·수청지구, 송악지구 (2014) ⇨ 수청1지구, 수청2지구, 신평금천지구 (2020)
3.군부대(2대대)이전 및 도시공간 확충
당진시내 중심성 강화 및 시가지 확장 등 지역발전의 융통성 확보 ⇨ 지자체의 대체시설 제공 (2020) ⇨ ‘기부 대 양여’방식의 협력사업 추진 (2020)
4.내부 순환도로 등 도심 인프라 구축
인구증가에 따른 수요를 고려한 생활권별 기반시설 확보 구축(2030) 50만 자족도시에 걸맞은 사회, 문화, 복지 등 기초시설 확보 ⇨ 방사환상형의 대중교통체계 구축 (2014) ⇨ 합덕 전철역과 연계한 대중교통체계 구축 (2020) ⇨ 당진~천안간 고속도로 등 광역교통체계 확보 (2020)) ⇨ 생활권별 사회, 문화, 복지시설 확충 (2030)
5.당진시 2030 구상(안) (기준연도 2010년, 목표연도 2030년)
*토지이용계획 ⇨ 주거용지 : 9.26k㎡ → 21.96k㎡ : 증 12.7k㎡ ⇨ 상업용지 : 1.17k㎡ → 1.55k㎡ : 증 0.38k㎡ ⇨ 공업용지 : 42.99k㎡ → 55.01k㎡ : 증 12.02k㎡ ⇨ 제2종지구단위 계획 : 10.03k㎡ → 35.67k㎡ : 증 25.64k㎡ *계획인구설정 ⇨ 자연인구 증가 : 144,903명 → 152,220명 : 증 7,317명 ⇨ 사회적인구 증가 : 260,000명(2025년) → 350,000명 : 증 90,000명 ⇨ 2030년 총 인구 : 약 50만명
사통팔달의 『교통·물류 중심도시』 수도권, 세종시, 내포신도시 등 광역·도시철도 교통망 확충 서해안권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육성 시내·시외버스, 전철역, 항만 등 교통 수단간 환승체계 구축 - 시내·시외버스·철도․항만 등 교통 수단간 환승체제 구축 - 터미널, 전철역, 항만 등 복합물류환승센터 개발
추진 전략 *단기적 추진(2012~2015년)
- 세종시, 내포신도시 등 시외버스 노선 신설 등 광역 교통 연계망 구축 - 서해안권 대중교통 환승센터 유치를 통한 광역 교통의 중심으로 육성
*장기적 추진(2016~2050년)
- 수도권 ~ 당진(합덕) ~ 내포신도시간 복선전철 개통(2018년) - 합 덕 ~ 고대부곡공단 ~ 대산간 산업철도 건설(대안노선 건의)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서해안 산업철도노선 변경필요 • 대안노선(55.5km) : 합덕(서해선) ~ 부곡국가공단 ~ 고대국가공단 ~ 송산산업단지 (현대제철) ~ 석문국가산단(1단계 37.3km) ~ 대산공단(2단계 55.5km)
※ 상업·문화·업무 등이 결합된 복합 환승센터 조성 서해안『교통·물류 중심도시』
《 비전 : 매력있고 특화된『관광휴양도시 당진!』》
기본 구상
해양(레저) 관광 단지 조성
* 해양레저 단지 조성 (2020년)
- 위 치 :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리, 교로리, 난지도리 일원 - 내 용 : 섬과 연계한 해양레저단지 조성을 위한 산학(대불대) 자문 추진 왜목마을~장고항간 모래포설을 통한 해수욕장 조성 당진시 해양레저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
* 도비도 블루팜 리조트 개발 (2020년)
- 위 치 :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일원 - 개발면적 : 350ha (건강휴양 63ha, 농어촌체험 84ha, 생태교육 203ha) - 사업비및기간 : 4,800억원(민간자본유치), 2013~2016 (4개년) - 사업추진 방식 : 민간사업자 제안공모를 통한 BOT방식(한국농어촌공사 주관)
서해 휴먼투어랜드 조성
삽교호 생태습지공원(무명섬 포함)조성 : 18,400백만원(2014) - 하천생태습지 복원(농경지→습지) : 1식 - 무명섬 생태습지공원 조성(탐방로,전망테크등) : 235,390㎡ → 서해 휴먼투어랜드 조성사업중 삽교호 생태습지공원에 집중 투자하여 조기 가시화
바다주변 국공유지(하천부지)를 활용한 야영․캠핑장 조성 : 7,000백만원(2014) - 국공유지 활용, 공원(야영장) 조성 : 2,780㎡ / 200백만원 - 삽교호 캠핑장 조성 : 69,688㎡ / 6,800백만원
당진항 중심 『허브 항만도시』
❍ 대한민국 제2의 국제무역항 당진항 육성
1.39선석, 1억6천만톤 물동량 처리 (사업비 약 5,000억원) ⇨ 접안시설 확충 : 34선석 건설(2014), 25만톤급 원료부두등 총 39선석 건설(2020) ⇨ 물동량 확대 : 7,700만톤(2010) ⇒ 9,500만톤(2011) ⇒ 12,000만톤(2014) ⇒ 16,000만톤(2020) ⇨ 정부재정부두 2공구 : 5만톤급 1선석 건설 (2013) ⇨ 서부두 진입도로 확장 (2014) / 항계선 확장 (2015) ⇨ 항만시설설치예정지역, 석문지구 부두 개발 : 송산지구 3선석, 석문부두 3선석(2020)
2.신평 ~ 내항간 연결도로 건설 (사업비 약 2,200억원) ⇨ 제3차 항만기본계획(2011~2020) 반영 (2011) ⇨ 총 5.9㎞ (교량 3.7㎞, 연결도로 2.2㎞) ⇨ 예비타당성조사 실시 (2013) ⇨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등 제반 행정절차, 기본 및 실시설계 (2014) ⇨ 건설 공사 시행 (2015~2018)
3.당진항 항만운영 지원센터 건립 (사업비 약 100억원) ⇨ 연면적 5,870㎡ (지하1층 ~ 지상5층) ⇨ 협약체결(도 ⇔ 현대), 설계 (2012. 4) ⇨ 부지(국토해양부 소유 / 16,387㎡)사용허가 (2012. 5) ⇨ 건축공사 (시공 및 감리 : 현대제철) 실시 (2012. 6 ~ 2013. 4) ⇨ 공유재산 (도 ⇔ 현대제철) 교환 (2013. 6) ⇨ 도유재산 관리 협약체결 (도 ⇔ 당진시) 및 위임 (2013. 7)
4.항만배후 컨테이너 기지 건설 (사업비 약 4,000억원) ⇨ 석문국가산업단지 전면해상 :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개발사항 반영 (2015) ⇨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5천 TEU급, 2선석) 건설 (2018) ⇨ 배후 매립지 100만㎡ 개발, 및 자유무역지대 지정, 중부권 컨테이너 허브 (2020) ⇨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1만 TEU급, 4선석) 건설 (2025)
5.당진항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사업비 약 1,000억원) ⇨ 석문국가산업단지 전면해상 :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개발사항 반영 (2015) ⇨ 對 중국 위그선 전용터미널 건설 및 취항 (2016) ⇨ 국제여객터미널(연면적 5천㎡) 및 여객부두(3만톤급 2선석) 건설 (2020) ⇨ 對중국 5개항로, 對일본2개항로 호화 국제 크루즈 취항 (2025)
매력있고 특화된 『관광 휴양도시』
❍ 마리나 리조트 - 복합 레저공간을 갖춘 리조트형 마리나 개발 (사업비 약 9,000억원) ⇨ 제1차 마리나항만기본계획(2010~2019 / 총 497,358㎡) 반영 (2010) ⇨ 사업자 선정 및 실시계획(해상 400척 규모) 승인 (2013) ⇨ 수역시설, 계류시설, 요트정비소, 전시관 및 리조트 건립 (2015) ⇨ 중국 부호를 위한 전용클럽 운영, 세계요트대회 개최 (2020)
활력 넘치는『50만 자족·특례도시』
1.첨단복합 제3세대 산업단지 조성 - 산업, 주거, 복지, 문화, 교육 공간이 어우러진 복합형 산업단지 조성 ⇨ 추진중인 산업단지 조기 마무리 : 6개소 / 2천3백만㎡ / 28,100억원 (2014) ⇨ 신규 산업단지 조성 추진 : 11개소 / 2천5백만㎡ / 37,500억원 (2020)
2.고부가 우량기업 유치 - 철강산업과 지식기반, 물류유통 등 첨단기업 조화 ⇨ 기업규제 완화 : 개별입지 제한 완화, 철강업체 도장․탈사 허용 (2012) ⇨ 수도권 이전기업 및 신․증설기업 입지․투자보조금 지원강화 (2012) ⇨ 철강클러스터와 연계한 철강 R&D센터 구축 (2020)
사통팔달의 『교통·물류 중심도시』
서해안 최대 물류단지 조성 - 신개념 복합 물류단지 개발로 서해안 시대의 물류거점 확보 ⇨ 30만평 단계별 개발〔1단계 10만평(2014), 2단계 10만평(2020), 3단계 10만평(2025)〕 ⇨ 물류시설(물류터미널 공동켄테이너장치장 등), 상류시설(대규모 점포), 지원시설(금융,의료,주거,호텔 등) 등이 입주한 신개념 복합 물류단지로 개발 1개소 / 1백만㎡ / 1,000억원(2025)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일류 교육도시』
1.산학협력 인증제 도입 실천 - 현장실습 등 산학협력에 적극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기업 인증 ⇨ 기업의 대학 투자 유인 확대 (2014) ⇨ 산학 공동 연구성과물 도출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추진(2020) ⇨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고용연계형 인력양성(2030)
당진항 중심의 『허브 항만도시』
1.황해경제자유구역(송악지구) 조성(601만㎡/1조8000억원) - 첨단산업, 국제업무, 상업, 주거 등이 복합된 자족도시 기능 수행 ⇨ 사업시행자 조기 선정 개발 착수 : 송악읍 중흥리 일원/6,017천㎡(182만평) (2020) ⇨ 자동차 부품, 전자정보, R&D, 유통물류 등 첨단산업 유치(2025)
2.자유무역지역 조성(300만㎡/5천400억원) - 외국인 투자유치, 무역진흥, 원활한 국제물류 및 지역개발의 촉진 ⇨ 관련 제 규정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충남도 협의) (2015) ▶ 입주관리계획, 토지이용계획, 기반시설계획, 재원조달계획 등 수립 ▶ 개발진행지 및 신규 대상지중 최적지 선정 및 사업시행자 선정 ⇨ 관련기관(중앙행정기관 및 충남도)협의 및 지식경제부 지정 요청(2015) ⇨ 기본시설 인프라 구축 및 SOC 시설확보(2025)
3.외국인 투자지역 조성(100만㎡/1천800억원) - 물류, 관광산업 외자유치등 동북아 최적 국제비지니스 요충지 건설 ⇨ 산업단지 내·외 분야별 외국인 투자지역 조성계획수립(충남도 협의) (2015) ▶ 외국인 투자지역 최적지 여건분석 및 기본계획 수립 ▶ 외국인 투자유치 수요조사 및 사업시행자 선정 ⇨ 외국인투자위원회심의 및 충청남도 지정 요청(2015) ⇨ 사회간접자본 구축 및 투자지역 조성(2020)
** 시장공약사항 추진현황 **
합덕일반산업단지 및 의약전문산업단지 지속추진
위 치 : 합덕읍 소소리ㆍ석우리 일원 사업규모 : 합덕일반산단 988,984㎡, 의약전문단지 636,793㎡ 그동안 추진상황 - 2006.11.30 : 합덕일반산업단지 지정 - 2008. 7 : 합덕일반산업단지 보상 및 착공 - 2011. 9.22 : 합덕인더스파크 산업단지 지정 2012년 추진계획 - 합덕일반산업단지 준공 - 합덕인더스파크 보상 및 착공(6月) - 2014년 완료 예정
출처 : "당진시 201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보고서" 중 |
첫댓글 추진은되는건가요??자세한 계획듣고싶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