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태양계(7) - 해왕성
해왕성(海王星, Neptune)
해왕성 - 나무위키 참조
해왕성은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8번째 행성이다. 명왕성이 해성에서 제외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에서 유래가 됐고, 중국에서 포세이돈을 번역한 것을 한자 문화권에서 쓰고 있다.
천왕성과 닮은 점이 많은데, 반지름이 천왕성보다는 약간 작은데, 거의 비슷한 크기이고,
대기에 포함된 메탄에 의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도 비슷하다.
목성에 대적반이 있다면, 해왕성에는 표면에 대흑점이 있고, 크기는 지구 지름정도로 상당히 크다.
그리고 토성처럼 뚜렷한 고리가 있다.
발견자는 논란이 있는데,
영국의 수학자 서머빌이 천왕성의 궤도를 방해하는 가상의 행성에 관한 논문을 써서 해왕성의 존재를 추정하였으나,
추론에 그쳤고, 서머빌의 추론을 바탕으로 존 쿠치 애덤스이 프랑스의 수학자인 르레이에와 비승한 시기에 해왕성의 위치를 계산했고,
케임브리지 천문대의 천문학자들에게 설명을 했지만, 워낙 간략하게만 설명을 해서 찾지는 못했다고 한다.
후에 프랑스의 수학자 르베리에가 정밀하게 위치를 계산하였고, 독일인이 관측에 성공하면서 해왕성을 인정받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영국에서 발끈하여 프랑스 학계에 태클을 걸었지만,
애덤스가 쿨하게 알아먹지 못하게 설명한 나의 잘못이라면서 르베리에와 독일인의 공을 세워져서 정리가 되었다고. 한다.
- 대단한 성격이네요.. 여러분이라면??
천왕성보다 크기는 약간 작지만, 질량은 크다.
(천왕성은 지구의 14배, 해왕성은 지구의 17배) 그래서 중력도 크다.
(지구가 1G이면 해왕성은 1.14G) 해왕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지름으로 따지면 4번째로 크며, 질량으로 태양계 3번째로 크다.
밀도와 대기압은 가스 행성 중 가장 크고, 색도 천왕성에 비해 훨씬 더 진한 푸른색을 띠고 있다.
이는 해왕성의 대기 중 메탄의 함량이 천왕성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푸른색과 대흑점 때문에 매우 아름답게 보인다. 그렇다고 육안으로는 관측불가능하고, 망원경으로 봐야 한다.
보이저2호가 찍은 대흑점 사진 - 나무위키 참조
해왕성 표면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고체와 액체, 기체의 형태가 서로 뒤섞인 슬러시 형태의 메탄으로
이루어진 바다가 끝없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면, 대기와 표면 성분 특성상 상륙여부는 알 수 없다.
또 지구보다 대기압이 약 1000배가량 높아서 아주 활발한 대기를 가지고 있고,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대기층 아래는 햇빛과 별빛을 관측할 수 없는 아주 완벽에 가까운 암흑일 것으로 보인다.
또 거대하게 출렁이는 메탄 바다에는 초속, 수백미처 이상의 태풍과 번개가 끊임없이 치고,
고체와 액체, 기체가 마구 섞여 있는 두꺼운 대기로 지구에서 수심 만 미터에 해당하는
무지막지한 압력이 사방에서 짓누르는 끔찍한 환경이 아닐까? 예상되네요~~
해왕성에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데, 다만 데이터가 워낙 모자라다 보니 이게 얼음인지 물인지, 플라스마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내핵에 액화된 다이아몬드가 존재한다는 연구발표가 있다.
그리고 태양에서 가장 먼 행성답게 두꺼운 구름층 상부 온도가 섭씨 -218도(55 K)인데,
해왕성의 열권은 477도(750K)까지 올라간다.
내핵의 온도는 섭씨 약 5,100도 정도로 예측되며, 자전축도 28도가량 기울어져 계절의 변화도 있다.
마지막으로 해왕성의 자전주기는 약 16시간이고, 공전주기는 약 164년이네요.
해왕성에서 1년이 지구에서 164년 이라니... 상상이 안되네요~~~ 엄청난 시간이잖아요~~
해왕성에는 위성이 현재까지 14개가 발견이 되었고, 그 중 네소라는 위성은 해왕성에서 무려 4900km 떨어진 곳이다.
이는 태양계 위성중 모행성과 가장 거리가 먼 위성이다.
위성중 가장 큰 위성은 트리톤이고, 나리아드라는 위성과 탈리사라는 위성은
서로 거리가 가까운데 충돌하지 않고 해왕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지그재그로 움직여서라네요^^
해왕성의 위성들 - 나무위키 참초
이상 해왕성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늦게 올려저 죄송하고요, 이제 남은 건 화성이네요~~~
화성은 적을 것이 많아서 정리를 하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가져온 글 우리가 사는 태양계(7) - 해왕성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