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툰'미생'>
tvn드라마 '미생'에서는 중국의 '꽌시'문화로 인해서 중국회사에 의해 휘둘리게 되기도하고, jtbc드라마 '이태원클라쓰'에서는 꽌시뜻을 제대로 모르고 사용하는 직원을 나무라기도 한다. 도대체 꽌시란 무엇일까? 꽌시와 관련해서, 조동성 서울대 명예교수는 어느 중국 경영전략 관련 세미나에서 "이른바 '연줄'이라는 문화가 없는 외국 사업가들은 중국인들이나 기업들과 꽌시를 맺는데 매우 신중한 편이지만 연줄 문화에 익숙한 한국 사업가들은 꽌시를 연줄 문화와 비슷한 것으로 오해했다가 더 자주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곤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조 교수는 "꽌시는 혈연, 지연, 학연처럼 이미 맺어져 있는 과거지향적인 우리의 연줄 문화와는 달리 삼국지의 도원결의처럼 미래지향적인 것"이라며 "연줄 문화에선 과거가 있기 때문에 실수가 용납되기도 하지만 과거가 없는 꽌시에선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다“고도 했다.
꽌시는 연줄과 출발점부터 다르기 때문에 늘 살얼음판을 걷듯이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사회시스템이 급속한 경제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데서 비롯된 중국의 독특한 문화로도 보는 꽌시는 한마디로 '안 되는 일도 되게 만들고, 되는 일도 안 되게 만든다'고 한다.
'꽌시가 뭐냐?'는 질문에 대해 중국 사정에 밝은 듯한 네티즌은 '중국에서 사업을 할 때 필요한 각종 허가증을 발급받는데 보통 6개월이 걸리지만 꽌시로 해결하면 1개월이면 받을 수 있다'고했다.
그 다음엔 한국의 A회사가 중국 B회사의 소개를 받아 중국 C회사와 제휴를 맺게 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이때 중국의 C사는 당연히 중간에 소개해준 B사를 포함한 A, B, C 3사 제휴를 생각하지만, 한국의 A사는 'B사가 중간에 끼면 수익이 줄어드는데 그럴 필요가 있느냐'며 B사를 뺀 A, C 2개사 제휴를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라 한다.
이 경우, 중국의 C사가 쉽게 양해해준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A사는 B사를 배제한 A+C사 제휴를 고집했다간 일이 틀어져 결과적으로 소탐대실하게 된다고 했다. 중국에선 꽌시가 개인 간에만 있는 게 아니라 단체나 회사 간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는 또 우연한 기회에 가진 술자리에서 '우리는 이제 친구'라느니,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얘기하라!'는 의례적인 대화를 주고 받는 것으로 꽌시를 텄다고 오해하면 안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꽌시는 몇 번 얼굴을 마주치고 만나고 밥 먹고 얘기를 나눴다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진정한 교류 끝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꽌시關係는 중국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문화다. 중국에서 사업이라도 하려면 ‘꽌시’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이유다. 하지만 한번 믿음을 주면 어떻게든 도와준다는 꽌시는 긍정적인 의미 외에도 부정부패의 원인으로 종종 등장한다. 중국에서는 뇌물도 아는 사람한테만 받는다는 것이 바로 그들이 말하는 ‘꽌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고 보면 꽌시는 중국에서만 통용되는 문화가 아니다. 따지고 보면 우리나라도 학연ㆍ지연 등 인맥 중시 풍조가 사회 저변에 깔려 있다. 어떻게든 잘나가는 사람 편에 줄을 대보려고 하는 우리의 ‘연줄’과 중국의 꽌시는 다를 바가 없다.
→ 최근 수업과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꽌시'라는 단어는 무엇이고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 '꽌시'가 필요로 하지만 꽌시만으로 기업활동을 하려고 한다면 옳바르지 못한 기업활동이 될것입니다. 국제화시대에 중국의 영향력이 커져가고 있는것은 사실이지만 오직 '꽌시'가 기업활동의 본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업의 역량이나 제품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배우고, 현지인들을 이해하려고 한다면 그들도 마음을 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 http://www.thescoop.co.kr
출처 : https://blog.naver.com/shinhwaifood01?Redirect=Log&logNo=221725054722
첫댓글 조교수는 "꽌시"를 양념을 쳐서 포장해 말하는구나 ㅋ
중국의 "꽌시" 문화는 봉건 왕조시대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폐단의 하나로, 한마디로 말하면 비정상적인 시스템이 정상적인 시스템을 훼손하는 걸 당연하게 인정하는 불공정 문화란다. 조폭처럼 실수나 배신은 용납되지 않지.. 우리나라 조선조 중기이후부터 유교 바탕의 주자학 성리학 등의 훌륭한 인본주의 사상이 사대부의 지배논리와 기득권 논리로 변질되어 오히려 철저한 사회 계급화와 권력과 부의 독점을 추구하는 파벌싸움으로 치닫는 모습을 보거라. 한마디로 변질된 "허울좋게 포장된 인간관계"로 우리 정치/사회에도 곳곳에 여전히 잔재하고 중국과 차이는 숨어서 쉬쉬하는 ㅠ
설명이 잘 되어서 도움이 됐습니다! 저도 책에서 읽었는데 꽌시도 처음 시작할 때 무척 힘들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거의 중국에서는 없으면 안되는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중간시험 평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