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나무는 잎에서 윤이 반짝반짝 난다. 그래서 광(光)나무다. 광나무의 잎은 겨울에 오히려 더 푸르고 열매도 겨울에 익는데 열매에서도 반짝반짝 빛이 난다. 검정콩알처럼 생긴 열매는 속은 칠흑(漆黑)처럼 검지만 표면은 하얀 밀납으로 덮여 있다. 겨울철에 잘 익은 광나무 열매를 살펴보면 표면에 얇게 붙어 있는 밀납 성분 때문에 겉만 약간 희끄름하게 보일 뿐 밀납 성분을 닦아내면 먹물처럼 새까만 열매가 반짝반짝 빛을 낸다.
광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딸린 늘푸른 떨기나무다. 정목(貞木), 또는 여정목(女貞木)이라 부르며 그 열매를 여정실(女貞實), 또는 여정자(女貞子)라고 한다. 정절을 지키는 여자처럼 매서운 추위 속에서도 고고하고 푸른 자태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6-12g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여정실은 간장과 신장을 보해주며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해준다. 임상에서 여정실 단방을 사용해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을 감소시킨 사실이 확인되었다. 동맥경화증도 경감시킨다.
신장허약과 이명증에 효과 탁월
광나무 열매는 맛은 별로 없지만 오래 먹을수록 몸이 좋아진다. 광나무는 남녀노소(男女老少) 누구든지 안심하고 오래 먹을 수 있는 약초이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협심증(狹心症), 동맥경화(動脈硬化) 같은 심장병과 혈관계통의 질환이 없어지며, 눈 앞에 헛것이 왔다갔다 하는 증상, 이명(耳鳴), 가슴이 두근거리는 심계(心悸), 현기증(眩氣症), 신경쇠약(神經衰弱), 근육과 뼈가 쑤시고 결리는 것,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시큰거리는 증상 등이 차츰 없어지고 살결이 깨끗해진다.
노인이 광나무열매를 오래 복용하면 흰머리가 검은머리로 바뀌면서 젊었을 때의 기력을 되찾게 되고, 여성이 광나무 열매를 오래 먹으면 몸에서 향기가 나고 피부가 고와지며 대하증(帶下症)이나 냉증(冷症), 손발이 시린 증상 등도 없어진다. 특히 여성이 광나무 열매를 늘 복용하면 음란한 마음과 질투심이 사라지고 정숙(貞淑)한 사람으로 바뀐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여정목이라는 이름을 여성을 정숙하게 만드는 나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몸과 마음이 다 편안하고 건강하게 되면 저절로 정숙한 여인이 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바람난 여자들이 광나무를 먹으면 요조숙녀(窈窕淑女)가 될 수 있지 않겠는가.
광나무는 암 치료제로도 효과가 좋다. 서산에 사는 한 할아버지는 산야에 자라는 약초로 암 치료약을 만들어 수많은 암환자를 고쳤는데, 그 암 치료약에 들어가는 중요한 약초들 중에 한 가지가 광나무 줄기였다. 광나무 줄기를 종잇장처럼 얇게 썰어서 방안에 널어서 잘 말린 다음 종이봉지로 싸서 벽장에 넣어 두고 조금씩 꺼내어 암치료약을 만드는 데 썼다. 그 할아버지는 광나무가 암 뿐만 아니라 기침이나 당뇨병 등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광나무 열매가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실험 결과도 나와 있다. 중국이나 북한에서는 암 치료에 광나무 열매를 널리 쓴다. 그러나 내 판단에는 열매보다는 줄기와 잎이 더 효과가 좋은 것 같다.
암 치료에는 잎이나 줄기를 그늘에서 말려 두었다가 물로 진하게 달여서 복용한다. 줄기를 쓸 때에는 20-30그램을 잘게 썰어서 12시간 이상 달여 그 물을 한 번에 100-200밀리리터 하루 3번 마신다. 오래 달일수록 약성은 순해지고 약효는 높아진다. 15살이 안 된 어린이는 어른의 반쯤 마시면 된다. 광나무 줄기만을 써도 좋으나 쥐똥나무, 부처손, 주엽나무, 화살나무 등을 역시 종잇장처럼 얇게 썰어 같은 양으로 넣어서 달이면 효과가 더욱 좋다. 광나무는 간암, 위암, 백혈병, 식도암 등에 효과가 있다.
뛰어난 암 치료제
광나무는 잎, 열매, 가지, 줄기 등 어느 부분이나 약으로 쓸 수 있다. 잎을 쓸 때에는 아무 때나 채취하여 물로 깨끗하게 씻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햇볕에 말리면 약효 성분이 날아가 버리므로 주의한다. 잎이 두꺼워서 잘 마르지 않을 때에는 건조기에 넣고 20-30도의 열풍으로 말려도 된다. 그늘에서 말리면 계절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개 1개월쯤 지나야 완전히 마른다.
광나무를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잘 마른 잎을 분쇄기에 넣어 가루로 만들면 녹색의 고운 분말이 된다. 이 가루를 그릇에 담아 잘 밀봉하여 두었다가 수시로 꺼내어 차나 음료로 마시면 좋다. 찻숟갈로 1-2숟갈씩을 더운 물에 타서 하루에 3-4번 마신다. 광나무차는 약간 쓰면서도 향기가 있는 단맛이 난다. 광나무 잎가루를 밥을 지을 때 섞어 광나무밥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광나무 잎을 잘게 썬 다음 녹차잎 덖듯이 덖어서 뜨거운 물에 2-3분 우려내어 먹는 방법도 있다. 맛과 향이 그런대로 괜찮다.
광나무를 오래 복용하면 불면증(不眠症), 식욕부진(食慾不振), 고혈압,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등이 낫거나 예방할 수 있고, 또 흰머리가 검어지고 양기가 세어지며 잘 늙지 않고 살결이 고와져서 오래 살 수 있게 된다. 광나무에는 남성의 정력을 높이는 만니톤, 여성의 성감을 높이는 시링긴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나는 광나무를 오래 복용하여 나이가 여든이 넘었어도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은 사람을 만난 적이 있다.
광나무 열매로 차를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열매는 겨울철에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다시 찜통에 넣고 한번 쪄서 말려서 쓴다. 말릴 때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곰팡이가 피거나 벌레가 먹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날것을 그대로 말려 두면 벌레가 생기기 쉬우나 한 번 쪄서 말려 두면 벌레가 잘 생기지 않는다.
잘 말린 광나무 열매를 믹서기에 넣어 거칠게 가루 내어 물로 달여서 마신다. 10-15그램에 물 1리터를 붓고 20-30분 가량 달여서 마신다. 그러나 한꺼번에 너무 많이 마시면 약성이 지나쳐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명(耳鳴)이 있거나, 정력을 강하게 하고, 늙지 않고 오래 살려고 할 때에는 광나무 엑기스 곧 진액(津液)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열매, 잎, 잔가지 등을 가을이나 겨울철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 잘게 썰어 솥에 넣고 물을 적당히 넣고 끈적끈적한 꿀의 농도가 될 때까지 오랫동안 달인다. 24-48시간 약한 불로 오래 달일수록 효과가 좋다. 숟가락으로 떠서 물엿처럼 길게 늘어지면 엑기스가 제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진액(津液)을 깨끗한 통에 넣어 뚜껑을 잘 닫아 두고 반 찻숟갈씩을 뜨거운 물에 풀어서 마신다. 광나무 진액은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으므로 많은 양을 만들어 두고 오랫동안 먹을 수 있다. 광나무 진액을 먹고 수십 년 동안 잘 낫지 않던 이명증(耳鳴症)이 낫고, 그 밖에 간염, 만성 위장병, 어지럼증, 신장기능이 허약해서 생긴 요통, 양기부족, 허약체질 등이 개선된 사람들을 많이 보았다. 피로회복에 가장 좋은 것 같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고, 양기가 좋아졌다는 사람도 있었으며, 아내한테 주었더니 아내의 생리통, 냉증, 불감증, 요통 등이 한꺼번에 없어졌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흰머리칼을 까맣게 한다
광나무는 백모증(白毛症), 곧 희어진 머리칼을 검게 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백모증은 머리칼이 젊어서부터 희어지는 증상으로 선천적인 원인으로 인한 것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한 것이 있다. 선천적인 것은 유전성 증상이고 후천적인 것은 늙어가면서 저절로 나타나는 것이거나 오랫동안 열이 많이 나는 병을 앓고 났을 때, 체력 소모가 많은 질병을 앓았거나, 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았을 때, 정신적 육체적 과로 등으로 인해서 생긴다. 격심한 고민이나 갈등을 겪고 나서 하룻밤 사이에 머리가 하얗게 세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름난 등산가 헤르만 불은 낭가파르낫이라는 히말라야의 8천 미터가 넘는 봉우리를 밤중에 혼자 등반하고 아침에 돌아왔는데 30대의 건강하던 얼굴이 하룻밤 사이에 머리가 하얗게 세어버린 70대의 할아버지가 되어서 돌아왔다고 한다. 머리칼은 신장에 속하여 있으므로 갑자기 큰 충격을 받거나 크게 놀라면 신장기능이 갑자기 마비되어 버리고 머리칼이 순식간에 하얗게 된다. 그러나 다시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면 머리칼이 원래대로 까맣게 바뀔 수 있다.
머리털이 한 부분만 희어질 때도 있는데 이는 탈모증(脫毛症)이나 피부병을 앓고 나서 잘 나타난다. 백모증은 모낭(毛囊)에서 멜라닌 색소를 만들지 못하거나 탐식세포가 멜라닌 색소를 잡아먹어 버려서 생긴다.
나이가 들어 늙어가면서 생리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노인성 백모증은 신경과 내분비기능이 약해지는 것이 원인이며 체질과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흔히 옆머리나 정수리에서 시작하여 앞머리와 윗머리, 나아가서는 머리털 전체가 희어지고 심지어 눈썹과 수염까지 하얗게 된다. 20대나 30대에 오는 조기백발은 대개 유전으로 인한 것이 많고, 머리털이 천천히 희게 변할 수도 있고 빨리 변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태어나면서부터 온 몸의 피부와 털이 하얀 경우도 있다.
백모증에는 여정실을 술에 푹 축여 쪄서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 가루 낸 것을 황련을 진하게 졸인 물로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 알약을 한 번에 5-6그램씩 하루 3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1년 이상 오래 먹어야 효험을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