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출전(出典) : 차사난지(此事難知)
o 원전(原典)-권일(卷一)
경운유한부득복마황 무한부득복계지 약차복즉기변뷸거승 수고립차법사불범 삼양금기해리신방
經云有汗不得服麻黃 無汗不得服桂枝 若此服則其變不可勝 數故立此法使不犯 三陽禁忌解利神方
o 해설(解說)
만약에 환자가 땀이 나면 마황(麻黃)을 사용할 수 없고, 땀이 나지 않으면 계지(桂枝)를 사용할 수
없다. 만약 이것을 복용하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다. 고로 이 법은 삼양(三陽)의 금기를 풀 수 있는
귀신같은 처방이다.
○ 요약(要約) : 해표제(解表劑)-거풍제습(祛風除濕)
o 강활충화탕(羌活沖和湯)이라고도 함. 사계절을 불문하고 두통(頭痛)‧골절통(骨節痛)이 있고
열(熱)이 나며, 오한(惡寒)이 나고 땀이 안 나며, 맥(脈)이 부긴(浮緊)할 때 이 약을 마황탕(麻黃湯)
을 대신하여 씀.
o 외감풍한(外感風寒)과 습(濕)을 겸하여 생긴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頭痛), 노권(勞倦),
신중절통(身重節痛).
o 열(熱)이 있고 통증(痛症)이 있으며 기관지염이나 알러지로 기침이 날 때 사용함.
o 일반적 알러지 감기, 감기몸살에 두루 응용함.
※ 체격이 건실한 사람의 열성(熱性) 몸살감기, 발열(發熱) 감기에 적합함. 대체로 감기증상으로써
전신이 쑤시고 아프며 발열과 오한을 겸하거나 두통과 지절통(肢節痛)을 겸하기도 함. 구미강활탕
(九味羌活湯)에 적합한 사람은 대체로 골격과 체격이 단단하고 기육(肌肉)이 튼튼하고 두터운
체형으로 표실(表實)하기 쉬운 체질임.
○ 처방비율(處方比率)
o 처방“1” : 강활(羌活)‧방풍(防風) 4.5g, 창출(蒼朮)‧천궁(川芎)‧벡지(白芷)‧황금(黃芩)‧생지황
(生 地黃) 각3.6g, 세신(細辛)‧감초(甘草) 각1.5g
o 처방“2” : 강활(羌活)‧방풍(防風) 각6g, 창출(蒼朮)‧천궁(川芎)‧벡지(白芷)‧황금(黃芩)‧
생지황(生 地黃) 각 4.8g, 세신(細辛)‧감초(甘草) 각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총백
(蔥白) 2줄기
o 처방“3” : 강활(羌活)‧방풍(防風)‧천궁(川芎)‧백지(白芷)‧창출(蒼朮)‧황금(黃芩)‧생지황
(生地黃)‧ 세신(細辛)‧감초(甘草) 각1.5g.
○ 해설(解說)
o 중국 원대(元代) 의학자인 왕호고(王好古)의 저서인 “차사난지(此事難知)”에 수록되어 있음. 우리
나라는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編) 2권에 수록하여 사시(四時)를 불문하고 발병
하는 감기 치료의 처방으로 활용하였음. 특히 춥고, 열이 나는 두통, 골절통이 있고, 땀이 나지 않는
증상에 효과가 있음.
o 마황탕(麻黃湯)과 비교
- 마황탕은 온몸이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고 땀은 나지 않으면서 머리와 온몸의 뼈마디가 아 프고
기침을 하며 코막힘 증상이 두드러지지만 콧물이 코밖으로 비치지 아니하고 찌르륵거 리며 가슴
이 답답한 정도가 이를데 없이 흉만(胸滿)하여 숨이 차 오르는 증상이 있는 사람 에게 쓰는 처방
임.
※ 처방 : 마황(麻黃)‧행인(杏仁) 각5g, 계지(桂枝) 4g, 감초(甘草) 1.5g
- 마황탕(麻黃湯)은 기육(肌肉)이 긴장 위축되었을 때 발표(發表)시켜 풀어주는 반면 마황(麻黃)에
비하여 울체(鬱滯)를 뿜어내는 기능은 약하지만 긴장된 조직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음. 또 구미
강활탕(九味羌活湯)에는 청열(淸熱)과 자윤성(滋潤性)이 추가되어 있어 비슷한 증상 이더라도
마황탕과 구별해서 써야 함.
o 패독산(敗毒散)은 구미강활탕보다 발표력(發表力)이 약하며 신체조건으로는 더 건실하지 못한
경우에 사용함. 그 이유는 두 처방 모두 실열(實熱)을 겸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구미강활탕은
패독산증(敗毒散症)에 비해서 후육(厚肉)하거나 열실(熱實)한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기 때문임.
o 마황탕의 후세방(後世方)이 구미강활탕이라고 할 때, 계지탕(桂枝湯)의 후세방은 방풍충화탕(防風
沖和湯)인데 감초(甘草)‧강활(羌活)‧방풍(防風)‧백지(白芷)‧백출(白朮)‧생지황(生地黃)‧
세신(細辛)‧천궁(川芎)‧황금(黃芩)이 들어감. 강활충화탕(羌活沖和湯)과 방풍충화탕(防風沖和
湯)의 차이 는 모든 처방이 비슷한데 다만, 백출(白朮)/창출(蒼朮)에서 차이가 남. 백출(白朮)과 창
출(蒼朮) 의 약성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음
- 백출(白朮) → 보비익기(補脾益氣), 조습리수(燥濕理水), 고표지한(固表止汗), 안태(安胎) 등의
효능이 있어 비위허약(脾胃虛弱), 창만(脹滿), 설사(泄瀉), 수종(水腫), 자한(自汗), 태기불안
(胎氣不安) 등의 병증을 치료함.
- 창출(蒼朮) → 조습건비(燥濕健脾), 거풍(祛風), 발한(發汗), 명목(明目) 등의 효능이 있어 창만
(脹滿), 설사, 수종(水腫), 각기(脚氣), 풍습비통(風濕痺痛), 풍한감모(風寒感冒) 등의 병증을
치료함.
- 백출(白朮)‧창출(蒼朮)은 모두 비위경(脾胃經)에 귀경(歸經)하여 각종 위장질환에 응용 가능한
데 특히 비위(脾胃)에 습(濕)이 낀 경우, 건비조습(健脾燥濕)시키는 효능은 창출‧백출이 모두
가지고 있음. 가장 눈에 띠는 차이점은 백출에는 고표지한(固表止汗)의 효능이 있는 반면 창출
에는 발한해표(發汗解表)의 효능이 있다는 점임.
백출(白朮)‧창출(蒼朮)의 구분에 대한 여러 이견들을 차치하고 고문(古文)에 의한 효능의 차이
만을 보자면 바로 이 한(汗)의 유무에 대한 구별이 가장 확연한 방법임. 즉 발한(發汗)의 유무라는
기준에서 생각해 볼 때 ‘강활충화탕’과 ‘방풍충화탕’이 각각 마황탕과 계지탕의 후 세방에 해당된
다는 이론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해 줌. 즉 마황탕은 무한증(無汗症)에 사용하므 로 백출‧창출 중
에서 적당한 것이 창출(蒼朮)이 되므로 창출을 사용한 ‘구미강활탕’이 마황 탕의 후세방이라는
논리가 자연스럽게 도출되며, 계지탕은 유한증(有汗症)에 사용하므로 발 한(發汗)보다는 속을
다스리는 성질이 더 강한 백출이 포함된 ‘방풍충화탕’이 계지탕의 후세 방으로 연결되는 것임.
o 나머지 약재들의 효능을 살펴봄으로서 ‘강활충화탕(혹은 방풍충화탕)’의 외감사기(外感邪氣)에
대한 작용을 살펴 본다면 다음과 같음.
- 강활(羌活)은 풍한습사(風寒濕邪)를 다스림. 신온(辛溫)하고 방향성(芳香性)이 있어 발산(發散)
작용이 있기 때문임. 즉, 표(表)에 있는 외감습사(外感濕邪)를 흩어버린다는 점에서 군약(君藥)
으로 사용하였음.
- 방풍(防風)은 발한거습(發汗祛濕)으로 강활(羌活)의 군(君) 작용을 도와주는 신(臣)으로 사용되
었음.
- 좌약(佐藥)은 좌조(佐助)작용과 좌제(佐制)작용으로 역할을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세신(細辛) ‧
천궁(川芎)‧백지(白芷)는 좌조(佐助)하는 역할로 산풍한(散風寒), 익습비(益濕痺), 행기혈(行
氣血)하여 두통(頭痛), 신통(身痛)을 없애주는 역할을 수행함.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세신(細辛)은 성미가 신온(辛溫)하여 통관규(通貫竅)하고 두통을 없애고 거풍습(祛風濕)하는
요약(要藥)임. 천궁(川芎)은 두통을 없애면서 생혈약(生血藥)으로 작용하며, 백지(白芷)는 신온
(辛溫)하면서 양명두통에 풍열소양(風熱瘙痒)을 없앰. 즉 좌약(佐藥) 3개는 모두 두통(頭 痛)을
멈추는 작용이 있으면서 풍습(風濕) 등의 외감(外感)을 물리치는 작용이 있음. 그리하여 좌약
(佐藥)으로 도와주는 조약(助藥)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
- 생지황(生地黃)‧황금(黃芩)은 좌제佐制) 역할을 수행하는 좌약(佐藥)임. 신온향조(辛溫香燥)
한 약물들로 인해 상진(傷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
즉, 생지황(生地黃)은 혈분(血分)의 열(熱)을 풀어주고 황금(黃芩)은 기분(氣分)의 열(熱)을
풀어주는데 또한 량윤(凉潤)한 성질로 의하여 약물의 조(燥)한 성질을 억제함.
- 사약(使藥)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감초(甘草)가 있음. 감초(甘草)는 조화(調和)시키는 사약
(使藥)으로 작용함.
- 여기에 신약(臣藥)으로 추가되는 백출(白朮)/창출(蒼朮)에 의해 ‘방풍충화탕’인지 ‘강활충화탕’
인지가 결정됨. 이렇게 군신약(3), 좌조약(3) 좌제약(2), 사약(1)을 합쳐서 구미강활탕(九味羌
活湯)이 됨.
o 위와 같은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면 병증에 따른 가감(加減)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
즉 지체산통(肢體疝痛)이 심한 자는 풍사(風邪)를 물리치는 역할을 더 키워야 하므로 거풍 (祛風)
의 주약(主藥)인 강활(羌活)의 양을 배로 하거나 하면 될 것이고, 습사(濕邪)가 많지 않아 보이면
제습(除濕)시키는 창출(蒼朮)/백출(白朮)이나 세신(細辛)을 제거하고, 습(濕)이 너무 많 아 보이면
생지황(生地黃)과 황금(黃芩)의 진액(津液) 보충 작용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가감법을 활용할 수
있게 됨.
o 즉, 마황제(麻黃劑)를 사용하여 발한(發汗)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이 약하고, 계지제(桂枝劑)를 사용
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감기에 걸려서 땀은 나지 않고, 열(熱)은 있고, 통증(痛症)도 있으며 기관지
염이나 알러지로 기침이 날 때,
- 강발한(强發汗)시키지 않고, 약발한(弱發汗)시켜 열(熱)을 배설하고,
- 항균(抗菌)작용과 진통(鎭痛)작용을 하며, 피하부종(皮下浮腫)을 이뇨(利尿)로 배설하며,
- 항(抗)알러지작용과 진해(鎭咳)작용으로 감기를 낫게 함.
○ 처방(處方)의 약리작용(藥理作用)
o 강활(羌活)‧방풍(防風)‧천궁(川芎)‧세신(細辛)‧백지(白芷)는 약한 발한(發汗)작용을 하여 체열
(體熱)을 땀으로약하게 배출함.
o 창출(蒼朮)은 발한(發汗)이 강하지 못하여 땀으로 완전히 배설되지 않은 체열(體熱)과 부종(浮腫)
을 소변을 통해 배설함.
o 강활(羌活)‧황금(黃芩)‧방풍(防風)은 항균(抗菌)작용을 함.
o 생지황(生地黃)은 발한(發汗)에 의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하고 염증에 의한 혈전(血栓)을 개선 함.
o 강활(羌活)‧백지(白芷)는 해열(解熱)작용을 함.
o 강활(羌活)‧백지(白芷)‧방풍(防風)‧천궁(川芎)은 진통(鎭痛)작용을 함
o 세신(細辛)‧감초(甘草)‧황금(黃芩)은 항(抗)알러지 작용을 함.
○ 본초(本草)의 약리작용(藥理作用)
o 감초(甘草)
- 계지(桂枝)와 함께 관상동맥의 과도한 수축을 억제하여 심동계, 호흡촉박증상을 완화함.
- Glycyrrhizin이 NK세포를 활성화하고 인터페론 유리를 촉진하여 항염작용을 함.
- Glycyrrhetic acid가 Phospholipase A2활성을 억제하고 Prostaglandin 생성을 저해하여 진통작용을
함. 또 기관지평활근 경련을 억제하여 진해작용을 함.
- LH-1이 면역기능세포를 활성화함.
- 과도한 위액분비를 억제하고 궤양(潰瘍)을 수복함.
o 강활(羌活)
- 약한 발한(發汗)‧해열(解熱)작용과 진통(鎭痛)작용이 있음.
- 결핵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抗菌)작용이 있음.
o 방풍(防風)
- 이뇨(利尿), 약한 해열(解熱)작용, 관절통에 대한 진통(鎭痛)작용이 있음.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과 진균‧적리균‧고초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음.
o 백지(白芷)
- 지통(止痛), 이뇨(利尿), 해열(解熱)작용이 있음.
o 생지황(生地黃)
- 철분 함유로 조혈(造血)작용을 하여 혈허(血虛)를 개선함.
- Catalpol이 혈당강하작용을 하여 혈액의 점도(粘度)를 저하시켜서 혈류를 원활히 하며 이뇨
작용을 함.
- 신장혈류를 증진하여 이뇨를 증진하고 관절의 부종(浮腫), 동통(疼痛)을 경감시킴.
o 세신(細辛)
- Methyleugenol이 저하된 방어능력을 강화하여 면역지능을 증강함.
- 신체말단의 모세혈관의 치밀성을 강화하여 혈류를 촉진하고 말초의 온난감(溫暖感)을 증가 시킴.
- 해열(解熱), 진해(鎭咳), 거담(祛痰)작용이 있음.
- Higenamine은 심근수축(心筋收縮)을 강화하여 심장운동을 조절함.
- 항염(抗炎)작용이 있음.
o 창출(蒼朮)
- 세뇨관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켜, 이뇨작용을 하여 관절강, 세포간질 복강
에 저류된 수독(水毒)을 신장으로 배설함.
- β-Eudesmol이 항(抗)히스타민 작용으로 염증을 억제함.
o 천궁(川芎)
- Ferulic acid가 진통(鎭痛)‧진경(鎭痙)작용과 평활근이완(平滑筋弛緩)작용이 있어 장관의 경련이
나 임신자궁(姙娠子宮)의 수축(收縮)‧경련(痙攣)을 억제함.
- 정유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대뇌의 활동을 억제하여 진정작용이 있으며 카페인의 흥분작용에
길항함.
- 관상동맥,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하지(下肢)와 심근(心筋)의 혈류량을 증가함.
- 보통 1회 용량 3g이하에서 혈압을 상승시키고 3g 이상에서는 혈압을 저하시킴.
o 황금(黃芩)
- 중추신경의 흥분은 완화하는 진정(鎭靜)작용을 함.
- Baicalin이 담즙(膽汁)‧췌액(膵液) 분비를 촉진하고 Baicalein이 소화관 운동능력을 항진하여
소화흡수를 촉진하므로 담석증(膽石症), 담도(膽道) 질환을 개선함.
- Baicalin과 Baicalein이 항원(抗原)의 자극에 의한 화학전달 물질의 유리를 억제하여 항(抗) 알러
지 작용을 하므로 알러지 체질 개선작용에 기여함.
- 고점도혈증(高粘度血症-고혈당증, 고지혈증)을 개선하고 지방간(脂肪肝)을 개선함.
- 유해물질의 간(肝)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
- Baicalein이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 안정작용을 하며, 담도 자율신경실조증(Dyskinesia)
으로 인한 통증을 개선함.
- 임파구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관절 류머티즘 등의 질환을 개선함.
- 이질간균‧대장간균‧녹농균 등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하고 특히 장티푸스균에 강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진균에 대한 억제작용도 강함.
- 항암(抗癌) 작용이 있음.
○ 투약(投藥)
o 감기로 두통(頭痛)이 있고 부종(浮腫)이 있음.
o 발열(發熱), 오한(惡寒)이 있으나 땀은 없음.
o 골절(骨節)이 아픔.
○ 응용(應用)
o 땀이 나지 않는 감기
o 발열(發熱), 골절동통(骨節疼痛)
○ 가감법(加減法)
o 한사(閑事)가 비교적 심한 경우 → 부자(附子)를 1.2g 정도 추가함.
o 심한 변비(便秘)가 있으면 → 대황(大黃)을 1.2g 정도 추가함(과하면 설사하므로 주의).
o 땀을 내고 설사를 같이 시키고자 할 때는 → 대황(大黃)을 가미함.
o 입은 쓴데 마르지 않을 경우 → 생지황(生地黃)과 황금(黃芩)을 절반으로 줄이거나 제외하여 한랭
(寒冷)한 약성이 중초(中焦)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함
o 기침‧가래가 있고 호흡이 거칠면 → 행인(杏仁)‧전호(前胡)를 4g정도 추가하여 기침과 가래를
멈추게 함. o 속 열이 비교적 심할 경우 → 석고(石膏) 12g, 지모(知母) 6g 정도 추가하여 청열
(淸熱)의 약효 를 강화함. 이때 지모(知母)는 소화를 돕기 위해 염수초(鹽水炒) 한 것을 사용함.
o 두꺼운 흰 설태(舌苔)가 있으면 중초(中焦)에 습사(濕邪)가 심하게 막힌 경우이므로 → 생지황
(生地黃)과 황금(黃芩)을 제외하고 추가하여 상초(上焦)에 있는 습사(濕邪)를 없앰.
o 땀이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 창출(蒼朮)을 제거하고 백출(白朮)과 황기(黃芪)를 넣어 응용함.
o 흉만(胸滿-가슴이 그득한 증상)에는 → 생지황(生地黃)을 제거하고 지각(枳殼)과 길경(桔梗)을
가미함.
o 천식(喘息)에는 → 행인(杏仁)을 가미함.
o 여름철 감기 → 석고(石膏)‧지모(知母)를 가미함.
o 두통(頭痛)이 심하지 않을 때는 → 세신(細辛)을 제거함.
○ 참고(參考) - 감기예방 생활수칙
1. 수족을 항시 깨끗이 한다.
2. 집안에 감기환자가 있으면 사람별로 수건을 따로 사용하고 그릇, 수저를 20분 이상 삶는다.
3. 찬음식은 피한다.
4.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은 먹지 않는다.
5. 냉수로 샤워하거나 목욕하지 않는다.
6. 배꼽근처에 오석을 데워 돌찜질을 한다.
7. 쪽파뿌리, 생강, 대추 끓인 차 또는 쌍화탕을 수시로 마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