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d 의 어원은 우리말로 “빌다” 같아요
손목, 목에 주렁주렁 염주를 끼고 신께 비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목걸이 같은 것이다 보니 “빌다”, “꿰다”, “걸다”
“탱탱하다”, “딸랑딸랑”으로 확대해 표현이 되었습니다
2108. bead (비드, 구슬, 유리알, 비즈, 묵주, 염주 알, 거품, 물방울):
빌다가 어원
* 앵글로 색슨어: bidden ((행운을) 빌다, 기원하다)
* 중세영어: bede ((행운을) 비는 사람)
* 라틴어: technica ((빌면) 될거니까)
* 남아프리카, 네덜란드: kraal (걸릴, 걸다)
* 카탈루냐, 크로아티아: perla (빌라, 빌다)
* 중국어: 朱子
* 체코어: koralek (걸라할까, 걸다)
* 덴마크어: vulst (빌었었다, 빌다)
* 핀란드어: helmi ((목에, 손목에) 걸림이, 걸다) (* c, k 탈락 현상 적용 시)
* 프랑스어: korn ((목에, 손에) 걸은, 걸다)
* 독일어: uveggyongy ((구슬을) 꿰삘까 하는 것)
* 헝가리,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bead (빌다)
* 아이슬란드어: titisan (탱탱했어)
* 이탈리아어: perlina (빌었나)
* 한국어: 구슬
* 일본어: ビーズ
* 말레이시아어: manik ((둘둘) 마니까, 말다)
* 노르웨이어: perle (빌러, 빌다)
* 폴란드어: koralik (걸릴까, 걸다)
* 포르투갈어: talao ((딸랑) 딸랑)
* 스페인어: talon ((딸랑) 딸랑)
* 스웨덴어: parla (빌러, 빌다)
* 터키어: boncuk (비니까)
* 베트남어: hat ((구슬을) 꿰다, 걸다) (* c, k 탈락 현상 적용 시)

bead = 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