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로 아날로그 TV만 본다? 정부지원 받기...
올해의 마지막 날, 12월 31일에 아날로그 TV방송이 끝납니다. 아날로그 TV방송보다 2배 이상 깨끗한 고화질, 고음질 TV방송 시대가 열리는거죠. 디지털 TV를 보기 위해서 디지털 컨버터나 안테나 설치가 필요한데요. 방송통신위원회는 아날로그 TV만을 직접수신하는 가구 전체에게 디지털 컨버터와 안테나 설치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봐요.

디지털 컨버터란?
아날로그 TV 수상기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아날로그 방송보다 2배 이상 선명하게 TV 시청할 수 있음
정부지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아날로그 TV방송 직접수신 저소득층은 최대 19만원까지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가구는 정부지원을 최대 10만원까지 받을 수 있고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시청각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 등 저소득층은 주민센터를 총해 정부가 지정한 디지털 텔레비전의 구매비용 10만원이나 디지털 컨버터 1대를 무상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9만원 상당의 비용이 필요한 안테나 개·보수가 필요할 때도 무상으로 지원해드립니다^^
차상위계층
자활근로자, 의료비 본인부담 경감자, 한부모가족,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 수당을 지급 받는자, 장애인연금 부가급여를 받는자
일반가구는 우체국에 2만원을 내면 6만원 상당의 디지털컨버터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9만원 정도 하는 안테나 설치는 3만원에 하실 수 있고요. 65세 이상 할머니, 할아버지와 장애인에게는 디지털컨버터와 안테나 설치가 무상지원됩니다.
정부지원 대상인지 아닌지 어떻게 확인 하나요?
'안테나로 아날로그 TV만 시청하는 가구(아날로그 TV 방송 직접수신가구)'가 이번 정부지원 대상이예요. 유료방송에 가입했거나 이미 디지털 TV를 가지고 계신 집은 올해 12월 31일에 아날로그 방송이 끝나도 아무 불편없이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어 정부지원을 따로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1월말부터 방송사에서 아날로그 TV 방송 직접수신가구에게 자막고지방송을 송출하는데요. TV를 보다보면 TV 한켠에 아래와 같은 자막고지가 뜬다! 하시는 분들은 정부지원대상이니 디지털전환 신청해주세요!

▲이런 자막고지를 하루 2번 이상 방영할 계획이예요.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전환 정부지원 여부 확인
디지털전환 콜센터 (080-2012-012)로 문의하거나, DTV코리아 홈페이지(▶바로가기)에 접속
정부지원 신청방법
저소득층은 거주지역 주민센터(또는 읍·면사무소)에서, 일반가구는 우체국에서 신청
정부지원 신청 절차
-저소득층 : DTV 구매보조 또는 디지털 컨버터 무상지원 중 하나를 선택해 주민센터에 신청 및 접수. DTV 구매보조를 선택할 경우 정부에서 정한 모델(삼성, LG, 대우디스플레이, 유한프리젠, 우성엔터프라이즈) 중 하나를 택하고 DTV 가격에서 정부지원금(10만원) 제외한 금액을 별도로 납부
-일반가구 : 우체국에서 디지털 컨버터를 신청접수하면서 디지털 컨버터 대여금 2만원을 납부
아날로그 TV 방송종료와 디지털전환 일정은 정확히 어떻게 되나요?
디지털전환 특별법에 따라 12월 31일 새벽 4시에 KBS, EBS, MBC, SBS 등 모든 지상파 아날로그 TV가 종료됩니다. 디지털 방송시대의 본격 개막인거죠! 올해 7월부터 디지털전환이 98%이상에 이르는 지역에는 직접수신 아날로그 텔레비전 화면 전체에 자막고지(가상종료)를 내보낼 방침입니다. 가상종료로 사실상 지역별 아날로그 TV방송 종료를 추진하고 올해 말에 발생할 수 있는 국민 혼란과 대규모 민원을 최대한 분산되도록 할 계획이예요.

▲2012년 7월 이후 지역별 자막고지방송 방법. 보급률 98% 미만 지역(좌), 보급률 98% 이상 지역(우) ⓒ방송통신위원회
올해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을 성공적으로 종료하고 나면, 2013년 이후에는 유료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랍니다. 동시에 디지털방송의 채널 재배치도 2013년에 추진하려고 해요.
디지털전환으로 인한 혜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위에 살짝 언급했었죠. 일단 디지털 방송은 기존 아날로그 방송보다 5배 이상 깨끗한 고화질, 고음질 방송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일기예보같은 부가서비스도 편리하게 누릴 수 있고요.
지상파 방송사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텔레비전뿐 아니라 유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아날로그 TV방송과 디지털방송을 병행 송출하면서 발생했던 각종 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다가 본격적인 디지털방송 시대가 시작됨으로써 꽃 피어날 방송통신 융합 콘텐츠, 서비스 산업 활성화까지, 이 모든 것들이 디지털방송이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출 처 : 정책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