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베신교통 포트라이너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8.2km(산노미야~고베공항) / 2.6km(시민히로바~나카코엔/지선)
궤조방식 : 측방안내식
궤간 : 1,740mm
역수 : 9개 역(산노미야~고베공항) / 5개 역(시민히로바~나카코엔)
단선/복선구분 : 산노미야~고베공항 구간 복선, 지선노선(시민히로바~나카코엔) 구간은 단방향 단선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3상교류 600V/60Hz)
폐색방식 : 차내신호식
최고속도 : 70km/h
전 역 시간표 : https://ekitan.com/timetable/railway/line/21200
전 노선 IC카드 / 간사이 스루패스 이용 가능
고베신교통 소속의 신교통시스템으로 고베항 자리에 세운 인공섬인 포트아일랜드와 고베시내를 왕래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애칭은 <포트라이너>로 부르며, 시민히로바~나카코엔 구간의 지선과 산노미야~고베공항 사이의 본선이 있다. 시민히로바~나카코엔 구간은 단방향으로 운행하는 단선 노선이며, 역방향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산노미야~시민히로바~나카코엔~산노미야 순환열차가 운행된다. 1981년 2월 5일 일본 최초의 실용적인 신교통시스템으로 개업하였으며 1981년에 개최된 고베 포트아일랜드 박람회(포트피어 '81)의 관광수송과 함께, 포트아일랜드 도민의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운전사가 필요하지 않은 세계 최초의 무인운전 시스템(개업 초기에는 첨승원이 승무)으로 알려졌으며, 풀 스크린도어가 채용되었고, 최소곡선반경은 30m, 56퍼밀리의 급구배가 있는 등 AGT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선형이며, 기존 시가지와 고층빌딩, 고속도로 등을 복잡하게 가로지르는 구조로 궤도가 부설되어 있다. 차량기지를 제외한 전 노선이 고가구조로 되어 있으며, 선로 내에 사람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개업 이래로 무사고기록의 갱신을 이어가고 있다. 운전 개시 당초에는 시스템의 초기 불량 및 예상 이상의 혼잡, 이용객의 혼란 때문에 자동정지 / 발차 불능 등의 오류가 많이 발생했었으나, 그 후에는 안정적으로 무인운전시스템이 운영되어 이후의 신교통시스템에서도 무인운전 시스템이 다수 채용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원래는 서울지하철 6호선 같은 루프형 단방향 노선으로 산노미야~산노미야 구간을 운행했으나, 2006년 2월에 고베공항이 개항됨에 따라, 시민히로바~고베공항 구간 신노선이 개통되며 나카코엔~시민히로바 구간이 복선화되었고 기타후토 경유 구간이 지선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노선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균일요금제에서 구간요금제로 바뀌었다.
포트아일랜드 내에 다수의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고베공항으로 가는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아침에 포트아일랜드로 가는 열차와 저녁에 산노미야로 가는 열차는 매우 혼잡하다. 특히 21시~22시대에 고베공항에 비행기 도착이 집중되므로 이 시간대의 산노미야행은 극도로 혼잡하다.
포트아일랜드를 건너는 교량이 있는 관계로 포트터미널~나카코엔, 미나미코엔~나카코엔 구간은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으며 나머지 구간은 궤도법의 적용을 받고 있다.
2. 역사
1981/02/05 - 산노미야~포트아일랜드~나카코엔 구간 개업.
1995/01/17 -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불통.
1995/07/31 - 전 구간 복구로 다시 재개통.
2006/02/02 - 시민히로바~고베공항 구간 개통. 산노미야~고베공항 구간 쾌속열차 운전 개시.
2016/03/28 - 쾌속열차 폐지. 아침 출근시간대에 열차 증편.
3. 운행 형태
열차는 산노미야~고베공항 왕복운전 패턴과, 산노미야~시민히로바~나카후토~산노미야 구간의 라켓 타입 순환운전 패턴, 이렇게 2개의 패턴으로 운전된다. 왕복운전 열차 중에는 일부 역을 통과하는 쾌속열차도 운행되었으나 2016년에 폐지되었다. 아침 출근시간대에는 신교통시스템 최저인 2분간격 운전도 실시되고 있다. 만성적인 수송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으나, 신형차량의 계속적인 도입으로, 운전 간격을 단축하려는 노력이 보이고 있다.
순환운전 계통 열차 중에는 도중에 나카후토역을 기종점으로 하여 나카후토차량기지에 입출고를 하는 계통도 설정되어 있다. 지선부분만을 운행하는 구간열차는 없으며 지선 운행열차는 모두 순환형태로 열차가 운용된다. 열차는 개업 초기에는 6량편성이었으며, AGT노선 중에서는 최고로 긴 장편성 열차를 보유하고 있다. 혼잡이 극심한 관계로, 8량편성화를 시키려는 계획도 현재 존재한다.
낮시간대의 표준 배차간격은 산노미야~고베공항 구간의 왕복운전 열차는 시간당 9편, 순환운전 열차는 시간당 6편으로 운행되며, 산노미야~시민히로바 구간은 시간당 15편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고베가쿠엔대학, 고베여자대학, 고베여자단기대학, 효고의료대학, 고베슈쿠가와학원대학 등 포트아일랜드 내에 다수의 대학이 분포되어 있어, 아침 출근시간대에는 2분 간격의 운전이 실행되고 있다. 8시대에는 공항계통이 14편, 왕복계통이 9편으로 합계 23편의 열차가 운전되어, AGT노선 중 최고 높은 수송력을 보여주고 있다. 저녁 퇴근시간대에는 공항계통이 12편, 왕복계통이 8편 운행된다. 하나비 등 이벤트가 있는 날은 대혼잡이 발생하여, 1분간격으로 배차간격이 줄어들기도 한다.
4. 운용 차량
2000형 - 6량편성. 2006년부터 운행 개시. 17편성 운용.

2020형 - 6량편성. 2016년부터 운행 개시. 2편성 운용.

5. 역 일람
km정표 | 역번호 | 역 이름 | 한자명 | 1일정차회수(정규) | 행정구역 | 유인/무인 | 역 구조 | 플랫폼구조 | 개업일 | 승차인원 |
고베
공항
행 | 산노
미야
순환 |
0.0km | P01 | 산노미야 | 三宮 | 177 | 130 | 효고현 고베시 츄오구 | 유인역 | 1면
2선 | ㅜ2
1ㅜ | 1981/02/05 | 35,584
|
0.8km | P02 | 보에키센터 | 貿易センター | 177 | 130 | 무인역 | 1면
2선 | |2
1| | 1981/02/05 | 1,356
|
1.8km | P03 | 포트터미널 | ポートターミナル | 177 | 130 | 무인역 | 1면
2선 | |2
1| | 1981/02/05 | 441
|
2.8km | P04 | 나카코엔(2층) | 中公園 | 177 | 130 | 일시유인 | 2면
2선 | 2||1 | 1981/02/05 | 4,025
|
3.3km | P05 | 미나토지마 | みなとじま | 177 | 130 | 일시유인 | 2면
2선 | 2||1 | 1981/02/05 | 7,986
|
3.8km | P06 | 시민히로바 | 市民広場 | 177 | 130 | 일시유인 | 2면
2선 | 2||1 | 1981/02/05 | 7,271
|
4.4km | PL07 | 미나미코엔 | 南公園 | | 130 | 휴일유인 | 1면
1선 | F| | 1981/02/05 | 2,170
|
5.0km | PL08 | 나카후토 | 中埠頭 | | 130 | 일시유인 | 1면
2선 | |2
1| | 1981/02/05 | 1,526
|
5.5km | PL09 | 기타후토 | 北埠頭 | | 116 | 일시유인 | 1면
1선 | F| | 1981/02/05 | 1,038
|
6.4km | P04 | 나카코엔(3층) | 中公園 | | 116 | 일시유인 | 1면
1선 | 3| | 1981/02/05 | 4,025
|
4.6km | P07 | 이료센타 | 医療センター | 177 | | 일시유인 | 1면
2선 | |2
1| | 2006/02/02 | 7,055
|
5.4km | P08 | 케이컴퓨터마에 | 京コンピューター前 | 177 | | 무인역 | 1면
2선 | |2
1| | 2006/02/02 | 1,755
|
8.2km | P09 | 고베공항 | 神戸空港 | 173 | | 유인역 | 1면
2선 | ㅗ2
1ㅗ | 2006/02/02 | 3,153
|
6. 역사진 컬렉션

산노미야역 환승안내 - 한큐 고베본선(고베산노미야역/HK16) / 한큐 고베고속선(고베산노미야역/HK16) / 한신 본선(고베산노미야역/HS32) / 고베시영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S03) / 고베시영지하철 카이간선(K01/산노미야-하나토케마에역) / JR도카이도본선(A61)




나카코엔역 환승안내 - 기타후토 방면에서 온 승객이 고베공항 방면으로 환승 가능


시민히로바역 환승안내 - 기타후토방면 및 고베공항 방면 환승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