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일보 신용승 기자] 1963년 기술사법 제정 후 시행된 기술사 제도가 올해로 62년을 맞이했다. 건설을 비롯한 과학기술계의 최고 글로벌 테크놀로지 라이센스로 인정받고 있는 Professional Engineer(PE)는 지구촌 곳곳에서 인간 삶에 풍요로움을 제공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보는 창간 30주년을 기념해 ‘건설산업 기술사 단체장에게 듣는다’를 테마로 4개 분야별 기술사 단체의 주요 현안을 진단해 본다.
“대한민국 건설은 실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전문가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질 관련 제도적인 허점으로 붕괴 사고가 우후죽순 발생하고 있습니다.”
삼풍백화점, 성수대교,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인천 검단신도시 등 ‘건설 후진국’ 오명에서 벗어나 세계 5대 건설 강국 위상 재확보를 위해 조속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강조하는 한국건설품질기술사회 김영섭 회장.
한국건설품질기술사회는 1992년 건설품질 기술사 단체를 구성해 1995년 한국기술사회 건설품질분회로 승인, 2005년 사단법인(과학기술정보통신부)으로 전환해 현재 약 1,000여명의 등록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김 회장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정상적인 품질관리가 이뤄질 경우 100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를 소홀히 해 30년 만에 다시 건설하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체 공사금액 중 품질관리비가 차지하는 부분은 5%를 초과하지 않는다”며 “3%를 아끼려다 건축물의 수명이 3분의 1 단축되는 어리석은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느 순간부터 정부가 품질이라는 단어를 잊어버렸고 시공사가 모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해 자체적으로 품질 관리를 수행할 것이라는 과분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품질 관리는 하면 할수록 지출이 늘어나 시공사가 소홀히 할 수밖에 없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품질관리 기술자가 현장소장의 지시를 받지 않는 독립적인 업무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보장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품질 관리 조직이 시공사와 대등한 입장이 아닌 갑을 관계가 될 경우 품질관리는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품질 관리 기술자들은 정규직이 아닌 현장 채용 임시직으로 근무하며 임금수준도 5,000만원을 넘지 못해 유능한 인재의 신규유입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어 “최근 의대 증원과 관련해 논란이 많은데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 기술사”라며 “기술사들에 대한 고용안정과 적정한 대가의 임금 지급은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될 과제임을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조선시대 이이가 10만 군사를 길러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자는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것처럼 이제는 새롭게 기술사를 육성해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며 “과거 박정희 前 대통령이 재임 시절 기술사 임금을 은행원 2배에 달하도록 인상해 줬지만 IMF 이후 기업들은 기술사의 가치를 폄훼하고 관련 예산을 삭감해 오늘날의 연봉은 역전됐다”고 호소했다.
“과학기술인들의 올바른 육성이 향후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김영섭 회장의 두 눈에서 국내 시장의 현안을 읽을 수 있다. 이 시대 최대의 한국건설 현안이 분명한듯하다.
출처 : 국토일보(http://www.ikld.kr)
[프로패셔널 엔지니어(PE) 기술사 단체장에게 듣는다] 한국건설품질기술사회 김영섭 회장 - 국토일보 (ikld.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