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은이네서 판매하는 친환경 자재중
사용법 참고 사례입니다.
환경과 사용자의 스킬, 해충의 상태에 따라 편차가 심합니다.
감안해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얼마전 거시기 00매장 사장님의 톡이 왔습니다.


사진으로 보면...
개미는 아닌 것 같으나...
검은 반점 형태의 배설물로 의심되는 증상도 같이 보입니다.
암튼 모르는 벌레...

초보자 분들껜 여름에 뉴오스막 혼용을 권장하지는 않으나
매장을 오래 하신 선수님이라...
권해 드렸습니다.
또한 1차는 참청 + 멸충대장 + 뉴오스막
2차는 참청 + 그린포수 입니다.
다른 성분으로 살포하면 내성도 줄어들고
녀석들도 헷갈?리게 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뉴오스막은 2차에서 뺐습니다.
뉴오스막은 정균, 침투, 확산하는 제제로...
약 효과가 증대됩니다.
하지만 계절도 그렇고 더구나 두들레야 휴면기라...
2차에서는 제외 했습니다.
만일 심할때 3차 까지 해야 한다면
이때는 뉴오스막을 희석합니다.
1차 약 + 뉴오스막
2차 약
3차 약 + 뉴오스막

그리고
며칠후...
다행히 죽었답니다.
벌레가 죽어도 붙어서 죽는 것이 많습니다.
특히 진딧물류....
툭툭? 옆구리 찔러서
확인을 하셔야 하며...
5일 간격으로 2회 이상은 하셔야 효과가 좋습니다.
또 하나...
벌레 생육 조건이 맞으니 유입이 된것이고...
이동이 활발한 녀석들은
조만간 또 생길 수 있습니다.
나방이요? 갸들은 수시로 날라 다니니...
답 없습니다.
구석구석 숨어 있는
벌레를 약으로 맞추기도 힘듭니다.
또 어디에서 기어 나올 수 도....
톡 내용 중에 마지막 깍지 질문은
유선상으로 전달했으나
오늘 마침 동네 분께서
깍지 덩어리?를 가져 오셔서
살포시 유의점등 말씀 드리겠습니다.

육안으로 이렇게 노출이 된다면
약을 쳐서 해결 하시는 것보다
뽑아서 흐르는 물에 붓으로 최대한 털어내고
약물에 담구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것도 5일 간격으로 2~3회는 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약제 테스트 중이라...
그냥 살포 하겠습니다.

이미 깍지는 물론 배설물도 흥건하고...
방치하면 저 부위에 검정 곰팡이가 생길 것입니다.
그것을
그을음병 이라 합니다.
일반 농작물에서는 상품의 외관상 치명적인것은 물론
광합성을 저해하여 생육을 더디게 만듭니다.
다육이도 마찬가지 입니다.

약은 잘 치는데...
대부분 놓치는게 많습니다.
바로 저 마른 잎 입니다.
동영상과 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벌레에 약이 묻어야 된다고 했습니다.
약도 여러 작용기작이 있으나
해충을 죽이는 방법에 있어서는
친환경 자재나 일반 농약도
주로 접촉독이나 섭식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약에 맞거나 벌레가 먹거나 해야 하는데...

저렇게 마른 잎을 제거를 안 한다면
위 아래 옆, 뒤
꼼꼼히 살포해도 약액이 묻지를 않습니다.

잘 보시면 떼어낸 마른 잎에도
깍지가 있습니다.
저 마른 잎이 방패 역활을 하니...

흠뻑 치건 어쩌건...
효과는 떨어집니다.
고온기에 접어 들면 응애나 깍지등
해충의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한
온도가 30도가 넘어가면...
알부터 성충 까지의 발단 단계가 5~7일로
빨라지므로...
한 마리만 살아도 곧 수백개의 알을 낳게 됩니다.
5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시라 권장하고 있는 이유가
해충의 발달 단계에 의한
생리적 특성을 이용한 제일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살포 직후 사진입니다.
낼 모래 즈음 다시 살펴보고
5일 뒤 2차 방제 예정입니다.
제일 경제적이고 효과 좋은 방법을 찾아서
노력 하고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7월 8월은 마지막 주 토, 일을 제외하고
주 5일 근무 합니다요~~~
양해 부탁 드립니다. ====
첫댓글 아, 정말 정말의 저놈의 깍지.
다육이 키우면서 올해가 최악입니다.
약 칠때 꼭, 꼭, 하엽정리해야겠더라구요.
하엽정리 싹하고 다시 약 칠려구요.
항상 가려운데만 콕, 콕 찝어줘서
감사혀요.
쪽집게과외받는거 같네요.ㅎㅎ
입금하소 과외비~월 삼백짜리 과외임
@뽀은아빠 으라차!!! 옛소. 300백!!
뽀은네 매장 옆에 살고 싶어집니다요
오이소~ 코로나 안전? 지대 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제해도 근본 서식환경이 갖춰져있다면 재발한단 말에 띵~~
걱정이네....
재발이 아니라 어디서 날라오거나 기어 오겄쥬~
방제시 하엽제거 ~~~
넘 유익한 정보 감사함다~^*~
제일 기본 입니다~
역시~~
머리가 띵합니더...
우짜노 저 ㄴ ㅗ ㅁ의 벌레....
많은 것을 알려주어서 감사합니더~~
장마철에 잘보내이소~~~
아직 이만큼의 깍지는 없지만 잘 익혀 혹 모를 일에 대비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요즘 하나하나 읽어나가는데 머리는 뒤죽박죽 이네요..ㅎㅎ
몇번 경험해 보시면 어려운것 없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