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내과(폐)의 최고 권위자는 대표적으로 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심영수, 한성구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권오정 교수입니다.....‘한국 호흡기학의 태두’ 고(故) 한용철 박사의 수제자들이라고 할 수 있죠.....이 분들은 주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결핵, 폐암 등을 전문적으로 보십니다.....폐섬유화증을 전문적으로 보시는 호흡기내과 전문의는 서울아산병원 김동순 교수입니다....물론 호흡기내과 분야의 명의 중에 한 분입니다.......
참고 :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폐섬유화증 클리닉>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들은 임상적으로 운동시 호흡곤란과 마른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하며, 흉부 방사선학적으로 양측성 미만성 폐침윤이 관찰되고, 생리학적으로는 폐확산능 감소를 동반한 제한성 폐기능 장애소견을 보인다.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상 저산소 혈증이 관찰되며, 특히 운동시에 저산소혈증과 폐포-동맥혈 산소 편차가 심화되며, 조직 병리학적으로는 폐실질의 염증 및 섬유화 등 폐포의 구조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혹은 만성 폐질환군입니다.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은 진폐증 등의 직업성 폐질환, 과민성 폐렴, 약제에 의한 폐질환, 유전성질환, 교원성 질환의 폐침윤, 방사선 폐렴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폐실질내 섬유화가 계속 진행하여 결국 호흡부전으로 사망을 초래하는 특발성 폐섬유증이 대표적 질환이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원인불명이므로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부신피질 홀몬이나 여러 가지 면역억제제가 시도되었으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약 반수의 환자들이 5년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진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러나 최근 수술적 폐생검검사가 많이 시행됨에 따라 특발성 폐섬유증이 단일한 질환이 아니라 임상양상은 비슷하나 조직학적으로는 차이가 있는 몇 가지의 아형으로 뷴류되고 일부 아형에서는 부신피질홀몬이나 면역억제제로 좋은 효과가 있슴이 알려졌다. 본 클리닉에서는 간질성 폐질환 환자들에서 여러 가지 폐기능 검사를 통한 환자의 폐기능 상태에 대한 평가와 방사선학적 검사, 기관지내시경검사 및 기관지 폐포세척 검사, 그리고 조직학적인 검사를 통한 원인적 진단 및 예후 등을 분석하여 치료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및 시도와 연구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호흡기내과 권위자>
심영수 서울대 만성폐쇄성폐질환
권오정 성균관대 삼성서울 폐암, 폐결핵
한성구 서울대 폐결핵
김성규 연세대 신촌세브란스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암
김원동 울산대 서울아산 만성폐쇄성폐질환, 폐결핵
유세화 고려대 안암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암
장 준 연세대 신촌세브란스 천식, 폐렴, 희귀폐질환
김동순 울산대 서울아산 간질성 폐질환
고윤석 울산대 서울아산 중환자 호흡 관리
정기석 한림대 성심(평촌) 감염성 폐질환 등 호흡기질환
정태훈 경북대 호흡기 질환
이양근 전북대 만성기도질환 등 호흡기질환
김호중 성균관대 삼성서울 기관지질환, 폐암, 치료내시경
박성학 가톨릭대 강남성모 천식, 폐암 등 호흡기질환
정은택 원광대(익산) 폐암 등 호흡기질환
박성수 한양대 폐암 등 호흡기질환
박경옥 전남대 호흡기질환
황성철 아주대 만성폐쇄성폐질환,급성호흡기능저하
유지홍 경희대 만성기관지질환, 폐암, 폐결핵
이용철 전북대 폐암, 천식 등 호흡기질환
김영환 서울대 폐암
이원영 건양대(대전) 결핵
박순규 부산대 만성폐쇄성폐질환, 결핵
김영철 전남대 폐암
(출처 : '한국의 최고의 폐 전문의에관해...' - 네이버 지식iN)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