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D-4 드롭쉽
에이리언2가 베트남전의 스페이스 버전이라 본다면 이로코이즈 헬리콥터 역할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이 드롭쉽이다. 특이한 점은 드롭쉽 내부에 병력수송장갑차(APC)를 다이렉트로 수납해서 적진에 ACP를 안착시킨후 곧바로 전투지역을 이탈한다는 것이다. 베트남전 당시만 해도 헬리콥터의 등장으로 보병의 발걸음이 좀더 가벼워 졌었는데 먼 미래에 이르러서는 아얘 장갑차가 적군의 코앞까지 실어다 주는 셈이다. 시드 메드와 론콥이 드롭쉽의 오리지널 디자인을 제출했지만 역시나 까다로운 제임스 카메론 형님께서 AH-64 아파치 헬리콥터 모형파트를 이용해서 디자인을 죄다 변경시켜 버렸다. 론콥은 디테일한 부분을 담당했고 1/12 스케일 미니어쳐와 엔진까지 달린 실물까지 만들어서 촬영에 사용했다.



드롭쉽 초기 컨셉 디자인. 이게 왠 스타워즈?
이상태 그대로 영화에 등장했다면 큰일 날뻔 했을 듯.



수정된 드롭쉽 디자인. '우주 비행기'로 보이지 않는 현실적인 디자인이 돋보인다.

드롭쉽 다자인시 참조한 AH-64 아파치 헬리콥터
설정상의 내용이지만 드롭쉽의 개발 경위를 살펴보자. 우주 해병대 창설당시 이들의 신속한 전개가 급선무였는데 일반적인 수송선은 너무 대형이라 분쟁지역에 신속히 돌입하기에는 무리라는 판단하에 전투용 강습 착륙선을 개발하기로 결정,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별도의 강습 착륙선을 개발하게 된다.
1. 혹성으로의 돌입 및 대기권 이탈, 수직이탁륙 등이 가능한 25m 이내의 우주선으로 하되, APC와 함께 10톤의 적재능력을 가질 것.
2. 강습착륙후 즉각 APC를 전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고, 또한 상공에서 적을 제압할 수 있는 무장 시스템을 가질 것.
3. 적에게 발견되지 않도록 액티브 탐지 시스템은 일체 쓰지 않고, 패시브 시스템만으로 항법, 탐지, 조준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4. 자위용 병기뿐 아니라 근접지원 및 전자 시스템 파괴용 핵탄두의 운용이 모두 가능 할 것.
5. 상기 모든 기능은 무인 리모트 콘트롤이 가능토록 할 것. 또한 자폭장치를 갖출 것.
6. 내탄성, 내화성이 좋아야 하고 정비가 쉽도록 간단한 구조를 가질 것.
이상과 같은 요구사항이 맞춰 개발된 것이 UD-4 드롭 쉽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우선 헬기를 방불케 할 만큼 커다란 캐노피로 시계를 획기적으로 넓혔고 방탄유리는 다이아몬드막의 라미네이트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시계 확보에 따라 조종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고, 신속한 착륙이 가능케 되었다. 조종석의 앞쪽은 포수 겸 조종수가 위치하고 뒷자석은 조종만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근접 지원시는 뒷자석 승무원이 파일럿이 되고 앞승무원은 사수가 된다.
신체는 세라믹 소재로 되어 있고 안쪽에는 충격광학 변화 플라스틱이 충진된 층이 있어 만일 피탄으로 파손되었을 때는 즉시 플라스틱 밖으로 흘러 굳어 버리기 때문에 단시간에 대기권 재돌입 및 이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엔진은 보통때는 일반 제트엔진과 다를 것이 없지만, 대기권 이탈시에는 램제트 기능으로 전환, 그리고 더욱 속도를 올려야 하는 경우에는 수소 연료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대기권 이탈 최종 단게에서는 로켓 추진도 가능하다.
무장은 전후좌우 4개소의 무장시스템을 수용하게 되어 있는데, 이들은 대기권 재돌입 및 이탈시의 저항을 고려해서 평상시에는 안으로 집어넣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시 TV 및 적외선 영상시스템 등 각종 센서를 탑재, 적 발견시에는 무장래크가 자동적으로 전개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선체에는 안티 레이더 코팅이 되어 있어 쉽사리 적에게 발견되지 않는다.
- 월간 취미가 1992년 11월호에서 전제 |


모크업 모델


ACP 장갑 수송차량 수납구




APC 강습장면의 콘티와 촬영분


APC 수납구 외에도 승무원들이 타고 내리는 탑승구가 뒷부분 랜딩 슬레드 바로 앞쪽에도 자리잡고 있다.

콕핏에 고정장착된 20mm 벌컨 외에 총 4기의 로켓 포드가 접혀서 수납되어 있다.

좌측 전방의 로켓 포드. 주로 위력이 큰 유도 미사일이 장비된다. 1/12 미니어쳐

전/후방 로켓 포드. 5인치 로켓탄이 좌우 각 20발씩 장비된다. 1/12 미니어쳐

로켓포드의 윙을 모두 열어 제낀 상태. 영화에서는 이 후까시 장면 이륙 직후 드롭쉽에 숨어든 에이리언 때문에 추락해 버린다.



콕핏 디자인. 아파치의 흔적이 가장 짙게 배인 곳.

1/12 스케일의 미니어쳐 콕핏 디테일


실물대의 콕핏 부분과 엠블럼. 치밀한 설정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1/12 미니어쳐의 뒷부분 랜딩 슬레드(착륙용 썰매).
바로 이부분에 퀸에이리언이 숨어 들었다가 모선까지 일행을 쫓아간다.
영화에 등장했던 드롭쉽은 UD-4였고 아래의 일러스트의 모델은 발전형인 UD-4L '샤이엔' 드롭쉽이다. 샤이엔은 실제 아파치 헬리콥터 개발단계에서 테스트 모델로 개발했다가 실패한 기종이기도 하다. UD-4L은 기존의 수직이착륙 기능뿐 아니라 근접전투기능을 증강시킨 모델이다. 금속과 플라스틱 소재가 섞인 골조로 짜여져 있으며 길이는 9.5m, 폭 4.5m 높이는 2.4m이다. M577 APC가 수납되는 격납구의 폭은 3.92m이다. 콕핏에는 조종수와 화기담당이 탑승하는데 비행중 항상 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승무원은 비상탈출용 사출좌석에 앉아서 조종을 하며 마하1, 고도 10,000 이하에서만 사출좌석이 작동된다. UD-4L은 두가지 타입의 엔진을 공용한다. 메인 엔진은 TF-900 터빈 엔진 2기이다. 우주에 진입해서는 TF-220/A-14 램로켓 엔진 2기를 사용한다. 램로켓 엔진의 최고시속은 마하 12이다. 참조로 마하 12의 속도는 현재 기술력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레일건 탄자의 최고 속도이기도 하다.

제5 해병원정단(MEB) 소속의 UD-4L

제 21 해병공격대(MAU) 소속의 UD-4L

제3 해병여단 소속의 UD-4L

드롭쉽 파일럿
2. M577 APC(Armored Personnel Carrier)
M577의 기본 컨셉은 무장병력 수송 차량이다. 드롭쉽에 통채로 수납되어 목표지점까지 운송되기 때문에 매우 가볍게 만들어 졌고 드롭쉽과 함께 작전에 투입되어 최대의 기동성을 발휘한다. 초기 컨셉 디자인은 론콥이 담당했지만 예산문제로 여러차례 수정되다가 결국은 제임스 카메론의 손을 거쳐 완성되었다. 궤도 대신 4륜 차량을 모티브로 디자인 되었는데 처음 '배달된' 시제품 차량의 무게는 무려 72톤에 달했다. 도저히 촬영용으로 쓸 수 없을 정도였기 때문에 제작부 직원들이 총동원되서 44톤의 금속을 깍아냈다고 한다-..- 영화에 사용된 소품의 최고시속은 35마일(시속 56km)이었다. 미니어쳐도 제작되어 촬영에 사용되었다.



론콥의 초기 APC 디자인



최종 디자인과 모크업 모델


전방에는 RE700 20mm 벌컨이 장비되어 있다.



후부의 터렛은 차량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위치를 바꿀 수 있다. M577A형의 경우엔 플라즈마 캐논을 장비하고, M577A1은 2문의 레이저포를 장비하며, M577A2는 입자빔캐논을 장비한다.


차체는 티타늄(영화상의 설정)으로 만들어져 있고 차체바닥과 지면의 높이는 약 22cm 이다.


센서 스크린
APC는 2명의 승무원으로 운용되는데 한명은 조종수고 또 한명은 지휘관이다. 최대 12명까지의 무장한 병사들을 태울 수 있다. 차량 뒤쪽에는 오퍼레이션 센터가 설비되어 있는데 여기서 지휘관은 센서 스크린을 통해 병사들의 움직임과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점이 생기실 것이다. 에이리언의 '능력'을 뻔히 알고 있는 리플리의 조언을 참조로 조직된 해병 특전대의 수가 APC의 병력 수용능력의 한계인 12명도 채 안된다는 점이다. 무슨 깡다구로 이렇게 썰렁한 쪽수로 지옥에 쳐들어 가는가? 가장 손쉬운 '변명'은 <투입된 해병들 모두가 소수정예이고 이들이 장비한 펄스 라이플이나 스마트건이 엄청난 화력을 가진 장비였기 때문> 정도가 아닐까? 물론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전체 인원의 대부분이 몰살당해버리지만...
카페 회원 여러분들이 가장 관심있어하실 미래 해병대의 총기들은 Part 2에서 자세하게 선보일 예정이다. 소개해야 할 장비들은 아직 산더미 같은데...어쨌건 계속되는 에이리언 프롭 기사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Part 2로 계속
|
첫댓글 ㅎㅎㅎ 마크로스 기체도 비교분석해 주세요~ ^^
잘 읽었습니다~~
에이리언2 볼 때마다 제임스 카메론의 그 뛰어난 디자인 감각에 놀란다는... 영화 속 우주해병대의 장비들이 몇년 후에 지금은 반쯤 말아 잡수신 미군의 핸드워리어의 원형이라는 사실 아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