惻 : 슬퍼할 측
隱 : 근심할 은
之 : 의 지
心 : 마음 심
'다른 사람의 불행을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으로, 맹자(孟子, BC 372~BC 289)가 제시한 사단(四端) 중 하나이다.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맹자는 공자의 뒤를 이어 유학(儒學)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그는 인간의 본성이 선(善)하다고 보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으며, 사람에게는 누구나 차마 다른 사람에게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인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이 있다고 하여 성선설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불인인지심에 대한 근거로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네 가지의 마음'인 '사단(四端)'을 제시하였다.
사단에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있으며, 이것을 확장함으로써 인간의 본성을 가리키는 네 가지 덕성인 인(仁)·의(義)·예(禮)·지(智)의 사덕(四德)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 중 측은지심(惻隱之心)은 다른 사람의 불행을 가엾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가리킨다.
《맹자(孟子)》에 따르면 맹자는 제자 공손추(公孫丑)와의 대화에서 '어린아이가 우물 속으로 빠지는 것을 보게 되면, 누구라도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된다.
이러한 마음이 드는 것은 그 어린아이의 부모와 친해지고 싶어서도 아니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듣기 위해서도 아니며, 구해주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고 싶지 않아서도 아니다'라고 하며 측은지심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맹자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無惻隱之心 非人也(무측은지심 비인야)]'라고 표현하기도 하였으며, '측은지심은 어짊의 시작이다[惻隱之心 仁之端也(측은지심 인지단야)]'라고 하여 사덕(四德) 중 하나인 인(仁)이 측은지심으로부터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측은지심 [惻隱之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측은지심
"측은지심"은 일반적으로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정확하게 알기 어렵지만, 추측하거나 짐작하여 예상하는 마음가짐"을 의미합니다.
즉, 제한된 정보나 근거 없이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추론하거나 가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예상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 일의 결과는 측은지심으로 밖에 알 수 없다"라고
말한다면, 이는 그 일의 결과에 대해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추측해볼 수밖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측은지심이란
측정하기 어려운 것을 추정하거나 짐작하는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림잡아 말하다:
제한된 정보나 근거 없이 대략적인 추측이나 예상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대강 짐작하다: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대략적으로 추측하거나 예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상해 보다: 주어진 정보나 상황을 기반으로 예상을 해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늠해 보다: 제한된 정보로 인해 정확한 측정은 어렵지만, 대략적인 수준으로 판단하거나 추정해 보는 것을 말합니다.
대략적으로 추정하다: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대충 추정하거나 짐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표현들은 측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예상이나 추정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입니다. 맥락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측은지심과 인
인(仁)은 자기 한 몸을 넘어 자신의 세계를 확장시키는데 작용하는 덕이다.
즉 타인에게로 퍼져가는 나의 관심과 사랑이다.
맹자는 측은지심(惻隱之心) 혹은 불인지심(不忍之心)이 인의 단서라고 말한다
(공손추상6). 측은지심이라고 하거나 불인지심이라고 하거나 의미는 타인의 불행을 남의 일 같지 않게 느끼는 마음이다. 즉 동정심이다.
맹자는 인간과 인간 사이를 잇는 마음, 현대어로 표현하면 사랑이라고 할 그 마음이 바로 동정심이라고 생각했다.
동정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나는 내 안에만 갇히지 않고 타인의 느낌을 공감하며, 그럼으로써 나를 보살피고 내 가족을 보살피듯이 타인을 보살핀다.
맹자는 한편에서 어버이를 사랑하는 것이 인이라고 말한다(진심상15). 또 맹자는 "군자는 사물에 대해서는 아끼기는 하지만 인(仁)으로 대하지는 않고, 백성에 대해서는 인으로 대하지만 친애하지는 않는다.
"(진심상45)는 말도 한다. 이 구절은 부모에 대한 애정과 백성에 대한 애정, 그리고 그 밖의 동물이나 무생물에 대한 애정의 강도가 다르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부모에 대한 사랑을 능가할 것은 없다.
맹자는 어버이, 또는 혈육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 '친애[親]'를 사랑의 근본이자 출발점으로 삼은 것 같다.
측은지심이 남의 불행을 느낄 수 있는 감정이므로, 그 함께 느낌의 능력은 공간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시작될 것이다.
즉 자신의 부모를 가장 사랑할 것이며 집안의 친척어른은 그보다는 덜 절실한 마음으로 사랑할 것이며 동네 어른은 그보다 더 엷은 마음으로 사랑할 것이다.
그런 식으로 그 사랑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면 점점 사랑이 엷어지기는 하지만 이 세상에 사랑하지 않는 존재는 하나도 없게 된다.
그 관심과 사랑을 통해 나의 존재가 확대되는 것이라면 나의 존재는 이 세상 전체로 확대된다. 절실함의 차이는 있지만 이 세상 모든 존재의 아픔과 기쁨을 함께 느낀다.
그 과정을 맹자는 "동정심을 느끼는 마음을 느끼지 않는 부분까지 이르도록 하는"(진심하31)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측은지심과 인 (맹자 『맹자』 (해제), 2004., 이혜경)
.
인생을 준비하는 사람들
#행사밴드 #행사음향 #모임파티 #송년행사 #출장밴드 #오브리밴드 #하모니밴드
#엘프919 #엘프910 #엘프909 #리얼마스터2 #반주기 #엘프반주기 #리얼마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