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게 : Matuta victor (Fabricius)
► 외국명 : (영) Victorious moon crab, (일) Kinsengani (キンセンガニ[金線蟹,金銭蟹])
► 형 태 : 측면의 가시(돌기)를 포함한 갑의 폭은 수컷이 50~70mm, 암컷은 40~60mm정도로 게로서는 중형 크기이다. 두흉갑은 거의 원형에서 돔 형태로 부풀은 모습이고 광택이 있다. 갑의 좌우로는 긴 측면 가시가 튀어나와 있으며, 측면 가시에서 눈까지의 전측연(前側縁)에는 6개(측 가시를 포함 총 7개)의 톱니가 있다. 두 눈의 사이에는 K자형의 이마뿔이 있다. 겸각(鉗脚, 집게발)은 크고 표면에 작은 가시나 사마귀형 돌기가 있어 울퉁불퉁하다. 대형 개체는 집게발로 집는 힘이 강해서 손가락이나 손등이 집히면 출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4쌍 8개의 보행다리는 모두 지느러미 모양의 유영 다리로 변화되어 있으며, 모양은 각 부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이 유영 다리를 능숙하게 다룸으로써 재빨리 모래 속에 숨어들거나 고속으로 헤엄칠 수 있다. 개체의 체색은 노란 색이며, 갑 표면과 다리의 관절부에는 보라색과 갈색 반점이 촘촘하게 퍼져있다. 배쪽의 색상은 흰색이다.
► 설 명 : 물의 깨끗하고 모래가 고운 조간대에서 수심 15m정도까지 서식하며, 같은 환경에서 대만 꽃게나 돌게 등이 같이 발견된다. 수중의 모래 바닥 근처를 횡 방향으로 빠르게 헤엄치지만, 놀랐을 때는 다리로 모래를 긁어 몇 초 사이에 모래 바닥에 숨어 버린다. 이 때문에 해수욕장 등에
서 모래 바닥 속에 숨어있는 것을 모르고 밟는 경우도 종종있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해안가로 떠밀려온 해조류나 동물의 사체, 조그만 동물을 잡아 먹는다. 이 게를 포획하려면 먼저 모래에 몸을 숨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숨은 위치에 그물망(다모망)을 위에서 덮어 모 래와 함께 건져내면 포획할 수 있다. 그물에 걸린 개체는 다리를 오무려 둥근 모양을 취해 죽은 척을 한다. 손으로도 건져낼 수도 있지만, 집게발에 집히면 상당히 아프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사람이나 지역에 따라서는 식용으로 하는 곳도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 분 포 : 인도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보소반도(房総半島)에서 난세이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까지, 난류의 영향이 강한 지역에서 널리 생태가 확인된다.
► 비 고 : 일본의 도감류에서도 자주 혼동되는 Ashtoret lunaris (Forskål)및 Matuta lunaris Forskål은 무늬금게이며, 영어로는 모두 moon crab(달게)으로 불리지만 본종과는 다른 게이다. 게의 분류 상으로는 칼라파류(Calappa japonica)나 목련(Leucosiidae Samouelle)게에 가깝다고 여겨져서, 현생 게류로서는 다소 원시적인 부류에 포함된다.
과거에는 근연종과 함께 만두게科(Calappidae) 금게亞科(Matutinae)로 분류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