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치科 Tetrarogidae (구 양볼락科 Scorpaenidae)
● 미역치 : Hypodytes rubripinnis (Temminck et Schlegel) (= Paracentropogon rubripinnis)
► 외국명 : (영) Redfin velvetfish, Tiny stinger, (일) Haokoze (ハオコゼ)
► 형 태 : 크기는 전장 11㎝ 정도이다. 몸은 긴 계란형으로 측편되었고 머리의 위 외곽은 조금 급한 경사를 이룬다. 체색은 회갈적색 바탕에 복부는 적색이 짙다. 등지느러미 제6~8가시의 하반부에는 흑색 반점이 하나 있다. 옆구리에는 제9가시 아래에 백색점이 하나 있다. 옆구리, 등, 가슴 및 꼬리지느러미에는 각기 불규칙한 흑갈색의 작은 반문이 산재한다. 비늘이 없어 보이지만 몸 뒤쪽에는 피부에 묻혀 있는 작은 비늘이 있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전혀 없는 것이 있다. 양 턱은 길이가 같고 양 턱과 서골, 구개골에는 폭 넓은 융털 모양의 이빨띠가 있다. 두 눈 사이는 약간 튀어나왔고 한쌍의 액골 융기선이 현저하게 있다. 두골 뒤쪽에는 가시가 없고 안전골 하연에는 2개의 가시가 있는데, 뒤의 것은 매우 크고 뒤쪽으로 향하며 그 뒤끝은 눈틀의 뒤 언저리 아래에 달한다. 새개 전골에 4개의 가시가 있고 가장 위의 1가시는 강대하다. 배지느러미는 1극4연조이고, 등지느러미는 눈 위에서부터 시작되며 가시는 15개로 독샘이 달려있다.
크기는 전장 11㎝ 정도이다. 몸은 작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 높이는 머리의 뒷부분이 가장 높고 뒤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머리도 옆으로 납작하고 머리의 앞쪽 면은 경사가 심하다. 눈은 크고 눈의 앞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골격에 2개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가 있는데, 1개는 강하고 나머지 3개는 피부에 묻혀 있다. 주둥이는 짧으며 위턱 뒤끝은 눈의 중앙 아래에 겨우 달한다. 양 턱, 전설골(前舌骨), 구개골(口蓋骨)에 가느다란 솜털 모양의 이빨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눈 위쪽에서 시작하며, 3번째 가시가 가장 길고 5번째 가시까지 가시와 가시 사이를 연결하는 막이 깊게 패어 있지만 이후로는 약간 패어 있다. 등지느러미 극조부는 특히 발달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길지만 끝이 뒷지느러미 기부에 달하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1가시 4연조이며, 꼬리지느러미는 둥글다. 측선은 등쪽으로 치우쳐 직선으로 뻗으며 흰 점으로 나타난다. 작은 비늘이 몸을 덮고 있으나 피부에 묻혀 있다. 몸은 주황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거나 회갈색 바탕에 적갈색이 섞여 불규칙한 무늬를 이룬다. 배쪽은 희다. 등지느러미는 어두운 갈색이고 나머지 지느러미는 붉은색이다. 머리에는 눈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흰색 부분이 있다.
► 설 명 : 내만성 어류로서 얕은 바다의 해조밭 또는 암초역에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산란기는 5~8월경이고 난생이며, 알은 분리부성란으로 직경 0.8~0.9mm, 유구는 1개로 황색을 띠고 있다. 난황과 유구 위에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갈라진 흑색소가 있다. 자어의 가슴지느러미는 부채 모양으로 매우 크다. 등지느러미 가시에 쏘이면 몹시 아프고 아픔이 간헐적으로 1시간 내지 수시간 계속된다. 정치망에 들어오지만 대개는 식용하지 않으며, 수족관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육한다.
제철은 봄부터 여름이다. 크기는 전장 10cm 정도되는 작은 물고기로 비늘은 약하고 껍질은 약간 질기다. 내장에는 강한 쓴맛이 있다.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의 가시는 강하고 위험하므로 가위 등으로 잘라낸 후 요리하면 좋다. 내장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씻고 맛술, 설탕, 간장 등을 첨가하여 조리면 상당히 괜찮은 맛이 난다. 특히 난소의 맛은 일품이다. 이 외에도 찜이나 튀김 등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전 연안, 제주도), 일본(중북부 이남), 대만, 남중국해, 베트남 등 주로 서부태평양 연안에분포한다.
► 비 고 : 미역치의 독은 사람이 먹고 죽을 정도의 독은 아니지만 강한 독성이 있어 쏘이면 매우 고통스럽고 쏘인 곳 주변이 마비가 될 수도 있다. 가시가 생각보다 길어서 장갑을 끼고 다뤄도 찔릴 수 있으며 생명에 치명적인 독은 아니지만 극도로 고통스럽다. 복어 등과 달리 등지느러미의 가시에만 독이 있고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열에 쉽게 파괴된다. 따라서 끓여 먹으면 아무 문제가 없다. 등에 독가시가 있는 어류로 쑤기미가 있는데 쑤기미는 미역치보다 매우 강한 독을 가진 물고기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미역치는 실제로 탕이나 찜, 튀김 등 다양한 요리로 이용된다. 다만,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보통 조리하기 전에 등지느러미의 가시들을 다 제거한다. 탕으로 먹을 경우 좋은 재료가 되지만, 회는 특유의 해조류 갯내가 좀 난다.
► 참 고 : 한국명 미역치는 미역이 많이 자라는 연안 해조류 해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명 레드핀 벨벳피시(Redfin velvetfish)는 지느러미들(등지느러미 제외)의 끝 부분이 붉고 몸이 매끄럽고 색상이 고와서 지어진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