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희(2021). 세종의 한글 창제와 관련된 몇 문제.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8-29쪽.
이준식(2021). 한글운동의 역사적 의의.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30-73쪽.
김나영(2021). 대중문화로 만난 한국, 한글로 소통하다.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74-91쪽.
이상혁(2021). 집현전 정음음운학파의 언어·문자 의식에 대하여.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94-127쪽.
백두현(2021). 훈민정음의 교육과 확산.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128-170쪽.
최경봉(2021). 한글의 지방 보급과 백성의 참여.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171-201쪽.
박걸순(2021).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어문민족주의의 발양.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204-235쪽.
김병문(2021). 주시경의 어문 운동 전략에 대하여.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236-281쪽.
이지원(2021). 위당 정인보의 한글 사랑.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위대한 유산 한글 580년의 여정≫. 가갸날. 282-307쪽.
김하수(2021). 문해, 민주주의, 교육.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8-30쪽.
최경봉(2021). 한글과 민주주의. 여주세종문화재단 엮음(2021).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31-62쪽.
김성우(2021). ‘읽고 쓴다는 것’의 새로운 의미.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64-82쪽.
신동일(2021). 여러 개의 리터러시.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83-114쪽.
김아미(2021). 미디어 시대 리터러시.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115-134쪽.
김한수(2021). 다시, 프레이리의 문해 성찰하기.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135-182쪽.
하승우(2021). 시민의 소양으로서의 리터러시.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184-203쪽
이정모(2021).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204-232쪽.
이재영(2021). 생태 문명을 만드는 생태적 감수성, 합리성, 그리고 영성.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233-265쪽.
서현숙(2021). 독서 동아리, 따뜻하고 느린 리터러시 학습의 장.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268- 286쪽.
장주식(2021). 여주시민을 위한 민주적인 리터러시. ≪한글,문해력,민주주의≫. 가갸날. 287-318쪽.
수레쉬 카나가라자(2022). 예측 불가능 시대의 언어 규범.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8-35쪽.
신동일(2022). 언어자원 담론의 구성.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36-79쪽.
더글러스 키비(2022). 이주시대의 언어를 정의하다.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82-103쪽.
이오리 이사오(2022). 외국에 뿌리를 둔 아이들의 언어 보장과 ‘쉬운 일본어’.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104-123쪽.
이학윤(2022). 초국가적 한인 가족의 언어 정책과 실천.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124-161쪽.
오영진(2022). 야민정음의 서브컬처적 기원과 가치 판단의 문제.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164-176쪽.
박수현(2022). 한국어 시험의 사회정의적 역할과 과제.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177-199쪽.
신견식(2022). 콩글리시는 바로잡아야 하는가.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200-225쪽.
신은혜(2022). 유튜브에 나타나는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특성. ≪이주시대의 언어≫. 가갸날. 226-2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