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初 願 원문보기 글쓴이: 바이탈
▶ 지혈 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소염작용, 억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급 만성의 세균성 이질,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 백일해, 출혈을 동반한 궤양증, 탈모증, 고혈압, 토혈, 코피, 위장출혈, 요혈, 부정자궁출혈, 산후출혈, 혈리(血痢), 머리칼이 빠지는 데와 일찍 희어지는 것을 치료하는 측백나무
측백나무는 측백나무과 측백나무속의 늘 푸른 바늘잎나무이다. 측백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6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종에 변종이 자생하고 있다.
찝빵나무(누운측백나무, 눈측백, 천리송), 서양측백, 측백나무, 선측백나무가 자생하며, 편백나무속에는 편백, 화백이 자라고, 삼나무속에는 삼나무(숙대나무)가 넓은잎삼나모속에는 넓은잎삼나무가 자라고 있다.
높이는 5~10미까지 자라며 전국에 정원수나 생울타리로 많이 심는다. 나무껍질은 적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며 오래된 나무는 섬유 모양으로 세로로 벗겨진다. 비늘 모양의 잎은 뾰족하고 곧게 선 가지에 좌우로 교차하며 어긋나고 기왓장을 인 것처럼 나란히 포개져 달린다. 잎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없이 양면이 같은 색으로 흰색 점이 조금 있다.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에 달리는 황갈색 수꽃이삭은 10개의 비늘 조각으로 이루어졌고 각각 2~4개의 꽃밥이 있으며 연한 주갈색의 암꽃은 둥근 모양이다. 울퉁불퉁한 초록색 열매는 달걀형으로 길이는 15~20mm이고 8개의 솔방울 조각으로 되어 있다. 열매는 가을에 갈색으로 익으면 벌어져서 씨가 나온다. 씨는 타원형~달걀형으로 날개가 없다.
측백나무는 예로부터 귀한 약재로 여겨 잎은 지혈작용이 강해서 피를 멎게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handongdaxue/59AQ/5?docid=1HgQ0|59AQ|5|20090513231035]
측백나무의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nakegourd/GQ80/22?docid=1Hlvz|GQ80|22|20100223091920]
측백잎, 서양측백잎, 화백잎에 대해 안덕균의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llida/Kv7s/1328?docid=swkv|Kv7s|1328|20090623085259]
[임상연구]
1. 궤양병으로 인한 출혈에 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여 현저한 지혈(止血)효과를 얻었다.
2. 치질출혈, 피부감염성질환에 다른 약물과 배합해서 효과를 보였다.
3. 백일해에는 생즙에 죽을 타서 복용시켜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
4. 폐결핵에도 약침제제로 효력을 높였다.|
5. 대머리에는 25∼30g을 75% 알코올에 넣었다가 바른다.
6. 볼거리염에는 생즙을 달걀에 혼합해서 바른다.
[약리]
1. 생쥐와 토끼의 출혈시간을 크게 단축시켰으며, 진해작용이 현저하였으며, 거담작용도 나타났다.
2. 천식을 가라앉히며, 순환기계통에 작용이 있어 혈압을 내린다.
3. 항균작용이 있어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 연쇄상구균, 결핵균, 감기바이러스 등에 억제작용을 보였다.
[화학성분]
휘발성 정유 0.6∼1%중에 thujene, thujone, fenchone, pinene, caryophyll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treeherb/6rzc/374?docid=nTcU|6rzc|374|20090927234304]
측백나무의 잎과 씨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측백엽(側柏葉) //측백잎, 백엽(柏葉)// [본초]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Endl 또는 Thuia orientalis L.)의 가지와 잎을 말린 것이다. 측백나무는 각지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아무때나 채취할 수 있으나 흔히 봄, 가을에 잎이 붙은 어린 가지를 잘라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약간 차다. 폐경, 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혈분(血分)의 열(熱)을 없애고 출혈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잎은 혈관을 좁히고 혈액응고를 빠르게 하여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밖에 진해작용, 거담작용, 소염작용, 억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을 나타낸다. 주로 여러 가지 출혈 즉 토혈, 코피, 위장출혈, 요혈, 부정자궁출혈, 산후출혈, 혈리(血痢) 등에 쓴다. 머리칼이 빠지는 데와 일찍 희어지는 데도 쓴다. 검게 볶아서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머리칼이 빠지는 데는 가루내어 역삼씨 기름(마인유)에 개어 바른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uahmerah/JEFB/1211?docid=1CGiR|JEFB|1211|20081017190054]
백자인(柏子仁) //측백씨// [본초]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Endl 또는 Thuia orientalis L.)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측백나무는 각지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 다음 두드려 씨를 털어서 굳은 껍질을 없앤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경,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심(心)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대변을 잘 보게 한다. 또한 풍습(風濕)을 없애고 땀을 멈춘다. 주로 심혈부족(心血不足)으로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잠을 자지 못하는 데 쓰며 식은땀, 변비, 관절통 등에도 쓴다. 약간 볶거나 기름을 짜 버리고 하루 4~12g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설사하는 데는 반드시 기름을 짜 버리고 써야 한다.]
측백나무 수지인 백유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개선(疥癬), 나창(癩瘡), 독창(禿瘡), 황수창(黃水瘡), 적유단(赤遊丹)을 치료한다. 외용시 그대로 붙이거나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문지른다.
측백나무과의 편백도 측백나무와 같이 비슷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allapt/18339711]
편백나무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일본편백(日本扁柏)
[기원]
측백나무과의 상록성 큰키나무인 편백 Chamaecyparis obtusa(S. et Z.) Endl.의 잎을 사용한다.
[효능주치]
해열(解熱), 이뇨(利尿), 진해(鎭咳)한다.
[임상응용]
위장출혈로 인한 토혈(吐血)과 복통을 그치게 하고, 이뇨(利尿)작용이 미약하지만 임질(淋疾)에도 활용되고, 호흡기질환으로 기침을 할 때에 활용한다.]
침엽수림중에서 일본 특산종인 편백나무가 '피톤치드' 함량이 제일 높다는 것이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okiimo9613/1Eu5/44?docid=KmiW|1Eu5|44|20090114010013]
편백나무에 대해서 <네이버 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편백(扁柏: Hinoki Cypress)
학명: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분류: 관다발식물문 >구과식물강 >구과목 >측백나무과
형태: 상록침엽교목
분포지: 한국, 일본
국내분포지: 제주도, 남부지방
원산지: 일본
크기: 40m
너비: 2m
꽃색깔: (수꽃)황갈색, (암꽃)붉은색
꽃생김새: 암수한그루로 각각 다른 가지의 끝에 꽃이 달림. 수꽃은 황갈색이고 암꽃은 붉은빛이 돔.
열매: 열매는 구과로 지름 1~1.2cm 정도이고 10~11월에 갈색으로 익음. 8~10개의 조각으로 되어 있는데 조각의 가운데에 배꼽 부분이 있음. 열매 조각은 정사각형이고 종자는 각 조각에 2개씩 들어있음.
특징: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40m, 직경 2m 정도 성장하며 가지는 수평으로 퍼져 수형이 원추형을 이룬다. 수피는 적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며 벗겨진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겹겹이 포개지며 질이 두껍고 끝이 둔하다. 표면은 녹색으로 1개의 선이 있으며 뒷면에는 흰색의 숨구멍줄이 Y자 모양으로 배열한다. 암수한그루로 각각 다른 가지의 끝에 꽃이 달린다. 수꽃은 황갈색이고 암꽃은 붉은빛이 돈다. 열매는 구과로 지름 1~1.2cm 정도이고 10~11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8~10개의 조각으로 되어 있는데 조각의 가운데에 배꼽 부분이 있다. 열매 조각은 정사각형이고 종자는 각 조각에 2개씩 들어있다.
일본이 원산지이고 주로 제주도 밑 남부지방에 심어서 기르는 상록침엽교목이다. 내한성과 내염성이 약하나 내공해성은 강한 편이다.]
[이미지 원본 http://cfile206.uf.daum.net/image/150E2B0E49A7D94720C27D]
측백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씨가 기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