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발전연구원이 2040년 충남지역 경제를 전망해 본 결과 장밋빛 미래가 예측되기도 하지만 생산인구 감소, 대중국 편중교역 등 여러가지 불안요소 해소를 위한 체계적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2일 충남발전연구원 김양중 책임연구원은 ‘충남의 2040 미래전망 및 시사점 - 지역경제분야’(충남리포트 84호) 보고서를 통해 “충남도는 국가의 저성장기조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여겨지나 지역내 총생산은 2010년부터 경기도와 서울에 이어 3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2010년에 2위로 올라선 후 2020년경에는 1위로 올라설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면서 김 책임연구원은 “충남의 높은 제조업 비율과 대중국 교역의 확대가 충남의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겠다”면서도 “충남도의 제조업 치중 성장은 생산인구의 감소와 세계적인 경제위기하에서 그 취약성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내다봤다. 그리고 “지역민 소득의 척도인 충남의 총지출 비율은 2010년 3.8%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고, 2040년 충남의 지역내 총생산 순위는 3위이나 총지출순위는 9위에 머물 것이며, 특히 충남의 1인당 총생산은 2020년경부터 16개 시·도 중 1위를 유지할 것이나 1인당 지출수준은 13위로 하락하면서 그 차이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충남의 수출이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은 기회이자 위기”라면서 “급변하는 세계경제 및 중국경제 변화에 올바르게 대처하지 못한다면 충남의 수출이 크게 위축될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향후 한·중 FTA가 타결된다면 중국으로의 수출은 더욱 증가하게 되는 등 의존도가 높아짐을 감안했을 때 중국 무역사무소의 기능을 강화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차별화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중국 이외 수출국을 다변화할 수 있도록 타 지역의 해외무역박람회, 바이어초청 수출상담회, 무역사절단 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와 함께 “충남은 지역의 우수인력을 양성하고, 그 인력이 지역에 남아 지역의 소비자가 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특히 지역민이 함께하는 사회적경제 육성정책은 지역선순환을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