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과 조지훈의 우정~
<박목월의 ‘나그네’>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南道 三百里.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박목월의 ‘나그네’
1916년 1월 6일, 그러니까 어제는 변영로의 호 수주(樹州)에서 목(木)과, 김정식의 호 소월(素月)에서 월(月)을 따서 멋진 필명을 지은, 목월(木月) 박영종이 태어난 날입니다.
그리고 목월의 절창 ‘나그네’는
지훈(芝薰) 조동탁의 시 ‘완화삼’에 화답한 시라고 합니다. 두 시인은 1939년 함께 등단했지만, 서로 필명만 알고 있다가 1942년 3월 조지훈이 경주로 여행 가면서 처음 만났습니다.
목월은 경주에서 보자는 조지훈의 전보를 받고 ‘박목월’이라고써 붙인 깃대를 들고 역으로 마중을 나갔습니다. 둘은 불국사와 석굴암을 구경한 뒤에 월성여관에서 밤을 새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네 살 연하의 지훈이 서울 문단 이야기를 많이 했고, 목월이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했다고 합니다. 그때 지훈은 목월에게 ‘완화삼(玩花衫)이란 시를 써주었습니다.
<조지훈의 완화삼>
차디 찬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 길 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는다.
술 익는 강마을 저녁 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은 것이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라.
그해 10월 일제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국어학자와 문인들을 핍박 할 때 지훈이 월정사로 몸을 피하며 편지를 보내자, 목월이 ‘완화삼’을 떠올리며 보낸 답시(答詩)가 바로
‘나그네’입니다.
두 분 시인의 시에서
거목의 담백한 우정이 오가는 게 느껴집니다. 서로에 대한 그윽한 존경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우정입니다. 여러분에게는 그런 친구가 있습니까? 아니 그런 친구가 될 수 있나요?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
메일로 받은 글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