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시장은 신차 판매 만큼의 규모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큽니다.
하지만 중고차 시장의 신뢰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데요.
특히 침수차나 반파 차량처럼 문제가
심각한 차가 수리된 사실을 숨긴 채
시장에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사고 사실을 숨기고
마켓에 나온 차량을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고차는 차량성능과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차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고차는 차체가 망가져
복원한 차량을 뜻하는데요.
흔히 침수가 되어 전손된 차량 역시
사고차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차체란 차의 뼈대를 말합니다.
차량 바닥에 프레임 형태를 띄는
차체도 있고 승용차처럼 섀시와
프레임이 하나로 연결된 모노코크
구조도 있습니다.
만약 이 차체에 복원이 이뤄졌다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사고차로 분류해 정상차와 구분하게 됩니다.
차체를 제외한 부품을 교환할 경우
사고차라 부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범퍼, 문짝, 보닛 등을
교환했다고 해서 사고차라고 부르지
않으며 엔진을 포함해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부품에 문제가 생겨
수리했더라도 이를 교환차라 부르지
사고차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흔히 사고차는 충돌이 발생해 차체가
망가진 차량을 뜻하기 때문에 충돌을
했더라도 차체가 멀쩡하다면 무사고
차량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무사고 차량이라고 해서
안심하기에는 곤란하고 단순 교환
차량이라도 어떤 것을 교체했는지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접합차는 폐차해야 할 두 대의 차를
분리 조립해 한대로 완성한
차를 말합니다.
이런 차가 마켓에 나올 경우 대부분
보험 이력에 남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무사고 차량이라 둔갑될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구조적인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딜러에게 속아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되는데요.
속이기 위해 작정을 하고 수리된 경우가
많아서 웬만한 차량 지식을 가지고 있는
분들도 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단 시트를 적실 정도로 차에 물이
차오르게 되면 침수차로 전손처리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차량은 겉은 멀쩡하더라도
전자장비와 엔진, 미션 등 차량의
주요 장치들이 망가졌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들 상태가 당장은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불순물이 걸려 있고
녹이 슬면 부품 기능에 문제를 촉발하기
때문에 사망선고를 받은 차량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따라서 프레임이 아무리 멀쩡하더라도
침수차는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에 의해 수리된 차량의 경우
일반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접합차나 침수차처럼 큰 수리를 한
차는 사고 여부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언뜻 보면
멀쩡해 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일단 평균 가격대보다 저렴한
차량이 마켓에 나왔다면 일차 의심을
해보는 것이 맞습니다.
높은 테크닉으로 수리를 마친
차량이라도 도장면의 두께를
숨길 수는 없습니다.
접합차는 이어 붙인 자리의 도장면
두께가 다른 부분과 차이를 보이는데요.
시중에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가
나와 있기 때문에 이 도막측정기를
구입하시거나 아니면 도장 또는 코팅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에 문의해
장비를 빌리신 뒤 측정을 하시면
어렵지 않게 수리된 흔적을
확인하실 수 있겠습니다.
물론 단순 스크래치에 의한 도장일
수도 있겠으나 특정 부분만 이어
붙인 듯한 수치가 측정된다면
충분히 의심해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부분은
볼트 푼 흔적입니다.
볼트를 푼 경우 페인트가
벗겨져 있게 됩니다.
볼트 푼 흔적을 지우기 위해 칠을
덧바른다 해도 티가 나기 때문에
유심히 보셔서 작은 흠이라도 있다면
관련 부분을 교환했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실리콘 상태 역시 중요합니다.
실리콘이 균일하게 발라져 있지 않다면
수리 후 덧발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좌우를 비교해 보아서 있어야 할
자리에 실리콘이 없을 때도 해당
부분을 뜯어냈을 수 있습니다.
정상 차량의 용접부는 육안으로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고 후 용접을 한 부분은
작고 동그랗게 그 흔적을 남깁니다.
이는 도색을 새로 해도 다르지 않습니다.
때문에 차량의 주요 부위에 이런
용접부가 나타났다면 수리를 했을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차체와 바퀴를 분리하는 휠하우스나
타이어 쪽 스프링 안에 길게 자리하고
있는 쇼크업소버(쇼바) 그 안쪽으로
이런 용접 은적이 발견될 경우 차체
강성을 건드렸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 외 차문 안쪽 웨더스트립이라고
하는 고무패팅을 벗겼을 때 이런 용접
형태가 나타나면서 역시 사고차임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침수차는 흔히 시트 바닥, 전기장치의
연결부위, 에어컨 필터 주변이나
시가잭 안쪽, 작은 홈, 트렁크나 문
힌지(경첩), 안전벨트를 끝까지 잡아
당겼을 때 모래와 물때, 녹이 발견되면
의심해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자들이 마켓에 내 놓을 때는
폐차에서 자재를 가져다 이 부분을
수리했을 확률도 적지 않습니다.
따라서 차체는 멀쩡한데 엔진이나
미션과 같은 주요 부품, 내장재,
전자장비와 전선 등이 한꺼번에
새것으로 교환되어 있고 그 사실을
감춘다면 해당 차는 선택하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출처: 화 목 한 사람들 원문보기 글쓴이: 님의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