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올해부터 활공협회 경기기술위원으로 참여하게 된 한국에어필드 소속의 송진형입니다.
손경식이사님이 공지하신 대로 4월20일 한국챔피언전 기간동안 구례에서 공청회가 있을 예정입니다. 공청회에서 생산적인 토론을 위해 현재 국내외 제도 중 우리가 꼭 알아야 한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살펴 보아 최대한 알기 쉽게 정리를 해 보고자 합니다.
저 자신도 규정을 살펴보자면 머리 아프고 힘든 일입니다. 흠결이 없게 글을 쓰고자 한다면 스트레스 때문에 일을 할 수 없으므로 다소의 실수는 너그러이 봐주시고 지적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울러 좋은 내용이 있으신 분은 글을 많이 올려 주시어 공청회에서 좋은 의견이 교환되도록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GAP 방식과 PWC 방식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1등급 대회는 GAP방식으로 운영을 하고 리그전은 PWC방식으로 운영을 합니다. 얼마 전 이사회에서 국내1등급 대회에서 30km 유효거리 규정을 삭제했기 때문에 1등급 대회는 FAI Sporting Code Section 7B - Class O (paragliders) 규정과 거의 같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FAI 규정집이 채점방식을 GAP방식을 기본 공식으로 쓰게 되어 있기 때문에 편의상 FAI 규정집 사항을 GAP 방식이라고 칭하겠습니다.
국내리그전은 PWC방식으로 운영을 하는데 다른 점이 있다면 PWC는 유효거리(Validation Distance)를 매 타스크 브리핑마다 발표하고 30km를 기본값으로 정해 놓았는데, 국내 경기 규정에는 20km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작년까지는 국내 1등급 경기는 30km, 2등급 경기는 20km로 규정되어 있던 것이 이번에 1등급 경기에서만 삭제된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삐리리한 날에 최소거리만 겨우 20% 이상 넘어가면 1등급 경기는 타스크가 성립은 되되 일일품격지수가 현저히 낮아져 모두들 낮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2등급 경기는 적어도 1명이 20km를 넘어가야 성립이 되는데 20명이 넘지를 못하면 1등이 1000점을 받지를 못하며, 당 대회에는 타스크 성립이 되지만 1년 종합 점수에서는 반영되지 않게 됩니다. 즉 20명 이상이 20km 이상을 넘어가지 못하는 날이면 리그전 종합랭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중요성이 아주 떨어집니다. 원래 PWC 방식의 기본 취지가 여러 곳을 순회하여 합산을 하기 때문에, 타스크가 어느 정도 수준에 미달 되면 전체 타스크와 비교하기가 적당치 않아 버리는 것입니다.
이번에 1등급 대회에서 30km 규정을 삭제한 이유 중 하나가 CIVL 인증 대회에서 타스크 3개가 성립되어야 세계랭킹 포인트를 온전히 다 받을 수 있는 규정 때문입니다. 삐리리한 날 한 타스크 성립 여부에 따라 참가 선수 전원이 세계랭킹 포인트 취득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익에 관련된 사항이죠. 올해 개정된 세계랭킹 제도에 대한 설명은 다음 주 중에 올리겠습니다.
FAI 규정집은 CIVL 홈페이지에 있으며 GAP 방식은 현재 보이지는 않는데 RACE 2003 프로그램 안에 해설서가 첨부되어 있다고 합니다. 저는 CIVL 홈페이지가 개편되기 전에 다운 받아 놓았습니다. 단 이것은 해설서지 수식은 아닙니다. 따라서 심도있는 분석은 한계가 있습니다. 얼마전에 GAP 채점 수식 문서가 국내에 있느냐 없느냐는 문제로 말이 오갔는데, 현재로서는 없습니다. 단 CIVL이 홈페이지에 예전과 다르게 이메일 문의를 할 수 있는 코너를 만들었습니다. 앞으로 더 필요한 부분은 일단 이메일로 문의를 시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WC 규정집은 PWCA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PWC규정집에는 채점 수식까지 다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점이 FAI규정집과 다릅니다. FAI 규정에는 GAP을 사용한다라고만 되어 있고 수식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구분 | GAP | PWC |
기본취지 |
단일 대회에서 실력을 최대한 반영하는 공정한 채점을 추구 |
서로 다른 기간과 장소에서 행해진 대회의 타스크들을 웬만하면 같은 비중으로 점수가 나오게 하여 (1000점 만점) 대회 전부를 참가하지 않은 선수들까지도 경기 결과에 상응하는 점수를 부여. |
개인별 점수 낮은 타스크 버리기 |
없음 |
1년 종합 성적에서 개인별로 점수가 낮은 3분의 1에 해당하는 타스크는 버림 |
Nominal Distance |
대회 시작 전에 정하며 대회 기간 동안 바꿀 수 없음 |
없음 |
Nominal Goal |
위와 같음 (20% ~ 30% 권장) |
없음 |
Nominal Time |
위와 같음 |
없음 |
Mininum Distance |
대회 시작 전에 정하며 대회 기간 동안 바꿀 수 없음, Nominal Distance의 10분의 1 이상이 되어야 함. |
매 이륙시 TD(Technical Deligate)가 정함. 이륙장에서 가까운 착륙장과의 실고도의 10배 권장. |
Validation Distance |
없음 |
매 타스크마다 정하며, 기본 값은 30km |
타스크 성립여부 |
Mininum Distance를 선수들의 20% 이상이 비행하면 성립 |
Validation Distance를 한사람이라도 비행하면 성립 |
1등이 1000점이 되는 조건 |
DayQuality(즉 LaunchValidity * DistanceValidity * TimeValidity) * 1000 |
Validation Distance를 20명 이상이 비행하면 1000점 (한명 당 50점) |
리딩포인트 |
있음. 비행 내내 반영. |
없음. 스피드런에도 출발 가산점 없음. |
스톱된 타스크 성립요건 |
레이스투골일 때만, 적어도 한명이 골인 했을 때. |
레이스투골일 때만, 적어도 한명이 골인을 하거나 또는 스타트 후 1.5시간 경과 했을 때. |
이렇게 보았을 때 두 개 제도간에 그나마 좀 비슷한 조항은 최소거리 규정과 스톱된 타스크 성립 요건 규정 밖에 없습니다. 앞으로 용어나 규칙을 논할 때 먼저 두 개 제도를 잘 구별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글이 길어지면 피곤하니 다음에 계속하겠습니다.
첫댓글 이 글은 협회 공적 업무 관련 글이라 특정 제조사 관련 사이트에만 올리는 것은 적당치가 않으나, 여기다 올리는 이유는 많은 동호인들이 다음에 까페를 가지고 있어서 퍼가기 쉽게 하고자 함이고, 다른 이유는 일체 없으니 양지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