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이 내리자 사람들이 광화문 광장으로 밀려들기 시작했다. 나와 일행들 역시 촛불을 하나씩 사들고 그 대열에 자연스레 합류하였다. 사람들은 구호를 외치기도 하고 함성을 지르기도 하고 촛불을 치켜들었다 내리며 파도를 일으키기도 했다. 먼발치로는 경찰이 광화문 담 앞으로 버스를 일렬로 세워 만든 차벽이 보였다. 그 너머는 깊은 어둠과 침묵에 잠겨 있었다. 중앙에 설치된 무대 쪽에서 강한 서치 불빛과 함께 한 여자의 새된 목소리가 스피커로 증폭되어 터져나오고 있었다. 물방울 한 방울 한 방울이 모여서 거대한 강물이 되듯이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여서 거대한 역사의 흐름이 될 것이다.... 이윽고 유명한 락가수가 나와 샤우팅 창법으로 소리를 내지르기 시작했다. 그가 애국가를 부르자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따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뭔가 좀 심드렁한 느낌이었다. 노래 부르는 그가 심드렁한 건지 따라 부르는 사람들이 심드렁해진 건지 애국가 자체가 심드렁한 건지 알 수 없었다. 아니면 애국한다는 개념 자체가 심드렁해진 걸까. 내가 서있는 곳에선 실제 가수의 모습은 볼 수 없었고 대형 화면으로만 볼 수 있었다. 어쩌면 확대된 영상과 증폭된 소리에 자동적으로 반응하고 있는 나 자신에 대해 심드렁해졌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알고 있었다. 나의 내면 깊숙이 숨어있는 모종의 부끄러움이 그 모든 것을 심드렁하게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그 가수의 공연이 피크였는지 사람들이 이동하기 시작했다. 나도 그 물결에 휩쓸려 이리저리 옮겨다녔다. 인파는 세종로 쪽으로 효자동 쪽으로 독립문 쪽으로 나뉘어서 끊임없이 이동하였다. 곳곳에 각 단체들이 설치한 소형 무대 위에서 시민들의 자유 발언이 줄을 잇고 있었다. 스피커를 장착한 차량들은 천천히 이동하면서 시민들의 행진과 연호를 유도하고 있었다. 그들은 줄기차게 부패하고 무능한 대통령의 즉각 사퇴를 외치고 있었다. 그들은 어떻게 보면 분노한 혁명 대오처럼 보였고 어떻게 보면 축제를 즐기는 젊은이들처럼 보였고 또 어떻게 보면 고행을 위해 떠나는 순례자 집단처럼 보이기도 했다.
나는 일행을 종각 근처에서 놓치고 끊임없이 전화와 문자로 서로를 찾는 형편이 되어 버렸다. 일행을 찾아 때로는 인파를 타기도 했고 때로는 인파를 거스르기도 했다. 이곳저곳 한 눈을 팔다 찾아가 보면 일행은 벌써 다른 곳으로 옮겨가 있었고 또 찾아가면 또 다른 곳으로 옮겨가 있었다. 결국 그들을 만난 곳은 차벽 뒤 서촌 먹자골목이었다. 그 근처에 사는 사람이 일부러 사직공원 옆 통로까지 마중을 나와 주었다. 나는 그곳 서촌의 한 식당에서 백두산 천지에서 소주로 병나발을 불었다는 서예가 한 사람을 소개 받았다. 그는 머리를 바짝 깎은 둥그스름한 머리통을 갖고 있었다. 그는 계속해서 자신의 주량을 자랑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집에 소주 빈 병을 쌓아놓은 사진을 보여주었다. 빈 병들이 박스 채 차곡차곡 쌓여 있는 모습이 마트 앞 같기도 했고 공장의 창고 앞 같기도 했다. 그 서예가 외에도 몇 사람이 더 있었고 나는 왜 일행들이 이 사람들과 뒤섞여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나는 그가 내민 막걸리 한 잔을 받아놓고 조금씩 먹는 시늉만 내었다. 초면에 술을 거절하자면 말이 길어지기 때문에 조용히 잔을 받고 그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분위기 상 훨씬 나았다. 남자들이 기선을 제압하는 방법은 참 여러가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국수 한 그릇을 먹었고 지하철이 끊어질까 봐 먼저 슬그머니 자리를 떠야만 했었다.
차벽 너머로 들어올 때는 어찌어찌 들어왔지만 다시 나갈 길을 찾을 수가 없었다. 차벽은 사람이 비집고 나갈 수 없게 거의 맞붙혀놓은 상태였다. 밖에서는 여전히 집회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한참을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다가 경찰들의 출입로인 듯한 곳으로 용케 빠져나올 수 있었다. 야외 전광판에 지하철이 삼십 분 연장된다는 자막이 떴다. 나는 광화문역에서 공항가는 5호선을 기다렸다. 반대편 차선으로 열차가 세 번 지나가고 나서야 비로소 여의도행 열차가 곧 도착한다는 방송이 흘러나왔다. 나는 미심쩍어 노선도를 확인하였다. 5호선은 분명히 여의도를 지나 김포공항까지 연결돼 있었다. 열차가 도착하자 한 취객이 비틀거리며 나를 앞질러 열차에 탔다. 나는 자리에 앉아서 다시 한 번 노선도를 확인했다. 집에 가려고 내일 새벽 제주 가는 첫 비행기를 예약했기 때문에 반드시 공항 근처에서 자야 했었다. 공항에서 십 분 정도 걸어가면 화물청사 맞은편에 내가 몇 차례 가본 적이 있는 찜질방이 예약 없이도 잘 수 있는 곳이었다. 어떻게 알고 찾아오는지 중국인들이 많았다. 그들은 찜질복도 빌리지 않고 옷을 입은 채 아무 곳에서나 널부러져 잤다. 대략 계산해보니 한 시 넘어서 그곳에 도착할 것 같았다. 여의도역에서 열차가 멈추었다. 이상하게도 차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내렸다. 나와 취객만 남아 있었는데 승무원이 불쑥 차 안으로 들어왔고 방송으로는 여기가 이 열차의 종착역이라는 멘트가 흘러나왔다. 나는 승무원에게 이 열차가 공항까지 가지 않느냐고 물었다. 그는 이것이 마지막 열차며 마지막 열차는 여의도가 종점이라고 말했다. 다른 사람들은 막차는 여의도역이 종점이라는 것을 이미 다 알고 있었는지 뒤도 안 돌아보고 출구 쪽으로 황황히 빠져나갔다. 나는 갈 길을 몰라 멍청히 서있었고 취객은 벤치 위에 주저앉아 있었다. 역시 승무원인 듯한 덩치 큰 젊은이가 나타나 나와 취객을 밖으로 몰아내듯 하였다. 계단을 걸어 올라가는데 우선 잠자리부터 걱정이 되었다. 여의도에서 숙박해본 적이 있었는지, 아니면 한 번이라도 와 보기라도 했었는지 기억을 더듬어보았다.
출구로 나오자 밤의 어둠 속에 묻혀있는 거대 빌딩들이 맨먼저 시야에 들어왔다. 저 고급스런 고층빌딩에 내가 하룻밤을 의탁할 찌질한 모텔이나 찜질방 따위가 있을 것 같지 않았다. 그 빌딩들의 소유주 회사이거나 입주한 회사들의 이름을 눈여겨 보았지만 도대체 무엇을 하는 곳인지조차 알 수 없었다. 더우기 그런 이상한 이름들을 달고 왜 꼭 저렇게 높고 호화로운 빌딩 안에서 일해야 하는지도 이해할 수 없었다. 초겨울의 보도에는 커다란 플라타너스 잎이 굴러다니고 있었다. 여의도 빌딩 숲 아래서 만난 그 낙엽과 나는 어쩐지 뜬금없다는 듯 서로를 멀뚱히 쳐다보았다.
마땅한 숙소를 찾지 못하면 날이 밝을 때까지 이 거리를 헤매이고 다녀야 할 것이다. 나는 그 많다는 찜질방을 찾아 큰길을 따라 무작정 걸었다. 그러나 어디를 둘러봐도 무표정한 요령부득의 건물들 뿐이었다. 저녁의 촛불 집회가 다시 떠올랐다. 돌이켜보면 젊은 시절부터 숱한 시위에 참여할 수밖에 없던 시대에 살았었다. 한 때는 새로운 세상이 올 수 있다고 믿었던 적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세상은 어두웠고 권력과 금력의 상징인 듯한 높은 건물들은 항상 기를 죽이는 듯한 위압적인 모습이었고 떨어져나온 낙엽처럼 나는 언제나 갈 길을 몰라 방황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그 이후로 나에게 남은 건 수십 년간 지속된 알레르기 비염뿐이었다. 나는 그 이유가 지금도 콧속을 찌르고 있는 듯한 그때의 그 지독한 최루탄 연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 손수건으로 콧물을 닦으면서 내일 첫 지하철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지하철 주변만 맴돌고 있는 초겨울의 밤거리는 춥고 쓸쓸했다. 내일 또 심한 알레르기 비염에 시달릴 것을 생각하니 더욱 더 의기소침해지는 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