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과 ‘민주화’가 크리스천 오피니언 리더들이 꼽은 한국교회의 가장 큰 사회적 공헌으로 꼽혔다. 교회에 대한 호감도와 교세가 동반 감소하는 현실 속에서 이전과 같은 영향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신앙의 본질과 도덕성 회복’이 시급하다는 자성도 나왔다.
목회데이터연구소(목데연·대표 지용근)는 한국교회총연합(대표회장 김종혁 목사)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10월 25일부터 12일간 크리스천 오피니언 리더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조사는 선교 140주년을 앞두고 교수 목회자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85%는 해방 전 기독교가 한국사회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한 활동으로 ‘3·1운동 등 항일 민족운동’을 꼽았다. 이어 ‘근대적 서양병원 시작’(82%) ‘근대교육 시작’(79%) ‘대학 설립’(77%) 등이 뒤를 이었다.
해방 후 기독교의 기여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민주화운동’(57%)을 가장 높게 평가했다. 이어 ‘고아원 설립 등 아동복지’(55%) ‘전후 구호사업’(51%) ‘소외 계층을 위한 구호활동 전개’(50%) 순이라고 응답했다.
이러한 역사적 공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교회는 실추된 신인도 회복과 새로운 시대적 역할 수행이 동시에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교회가 한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 오피니언 리더들은 ‘도덕성 회복운동’(59%)을 주로 언급했다. 도덕성 회복은 한국교회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를 묻는 항목에도 ‘기독교 본질 회복’(78%)의 뒤를 이었다. 개신교가 국내 주요 종교들과 견주어 대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강해 공적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임성빈 장로회신학대 명예교수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조사는 한국교회가 과거 빛과 소금의 역할에 충실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 지표”라며 “또 현재 한국교회가 직면한 과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교회가 이제 신앙적 내실뿐 아니라 사회적 신뢰와 책임이라는 두 축을 균형 있게 추구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며 “140년이라는 역사 속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닌 성경 말씀에 따른 ‘통합과 회복’의 가치를 찾고 이를 통해 다시 신뢰받는 교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진양 목데연 부대표는 “초기 선교사들이 척박한 한국에서 풍토병에 걸리면서까지 복음을 전했던 건 예수님의 희생정신을 본받으려는 사랑의 활동이었다”며 “신앙은 개인적인 관심과 이익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를 실천하는 공적 책임의 영역에 있다. 신앙인들이 우선하여 변해야 한다는 걸 보여준 조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