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 도 자 료 | | ||
배포일시 | 2020. 5. 1.(금) 총 3매(본문2) | |||
담당 부서 |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 담 당 자 | ∙과장 문석준, 사무관 김영민, 주무관 조원달 ∙☎ (044) 201-4206, 4241 | |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본부 | 담 당 자 | ∙본부장 강창봉, 팀장 강현우 ∙☎ (054) 459-5740, 5749 | ||
보 도 일 시 | 2020년 5월 4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5. 3.(일) 11:00 이후 보도 가능 |
공공용 드론은 국산으로 구매하세요
국토부, 국산드론 확산을 위해 우리드론 알림-e 4일부터 운영
ㅇ (#1) ○○시 장비구매담당자인 ○○○주무관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방역용 드론을 구매하기 위해 여기저기 급하게 수소문하였으나, 국내 드론제작 업체에 대한 정보가 없어 농업용으로 제작된 중국 A社의 드론을 구매하였다. ㅇ (#2) 국내에서 소규모 드론제작업체를 운영 중인 ○○○社 대표는 최근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혁신적인 드론을 개발하였으나, 업체형편상 제품성능 등에 대한 홍보가 어려워 국내 공공기관 등에 전혀 판매를 못하고 있다. |
□ 오늘부터 국산 드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드론 알림-e(헬프데스크)가 운영된다. 이를 통해 공공분야에서 드론 구매 시 국산 드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외산 기체를 구입하는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환경・안전・농업・건설 등 공공분야에서의 국산 드론 확대를 위하여 항공안전기술원(원장 김연명)과 함께 우리 드론 알림-e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 그동안 국토교통부는 국내 드론시장의 확대를 위해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 등에 드론활용을 적극 장려하여, 공공분야에서의 드론 보유대수가 ‘17년 300여 대에서 최근 2,900여 대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ㅇ 공공기관에서 드론 도입 시 가격·사양 등 요구수준에 맞는 국산 드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기관에 드론 전문가가 없어 구매 시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 공공분야 드론 국산화율은 5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ㅇ 이에 국토교통부는 항공안전기술원 홈페이지와 상담전화 등 우리 드론 알림-e 운영을 통해 드론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하고 정확한 국산 드론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 우리드론 알림-e에서는 드론 도입이 필요한 공공기관에 대한 지원으로 구매 제안요청서 기술검토와 전문가 컨설팅이 진행되며, 이를 통해 드론 활용 규격, 평가항목 등을 명확히 제시하여 맞춤형 국산 드론 구매를 지원한다.
ㅇ 또한, 드론관련 법·제도 상담, 드론 수요자와 공급자 간 매칭 지원, 드론 안전성 인증 안내, 시험 관련 인프라 이용 등 국내 드론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ㅇ 국토교통부는 이를 위해 항공안전기술원의 드론 전문가 30여명을 우선 투입하고, 추후 전문분야별 지원을 위해 관련 협회·학계 등으로 구성된 컨설팅 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문석준 과장은 “우리드론 알림-e 운영을 통해 공공분야의 국산 드론 구매와 활용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ㅇ “우리드론 알림-e 외에도 국내 드론기업의 발전을 목표로 국가적으로 필요한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김영민 사무관(☎ 044-201-4206) 또는 항공안전기술원 강현우 팀장(☎ 034-727-5749)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 고 | 공공분야 국산드론 활용 현황 |
분 야 | 관련드론(국산) 및 이미지 | 주요 활동 | |
도로․시설점검 | | | 도로, 건설현장 모니터링 |
기상관측 | | | 기상정보 수집 및 관측 |
교통 순찰 | | | 교통정보 수집 |
방제업무 | | | 방제약품 살포 및 농업자원관리 |
수색․구조 | | | 실종자 수색 및 구조 |
환경감시 | | | 오염 배출 감시 |
산림감시 | | | 산림자원감시 |
지적조사 | | | 국토 측량 및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