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견 4
(몽유도원도-1)
안견이 1447년(세종 29)에 그린 산수화로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다. 크기는 세로 38.7㎝, 가로 106.5㎝이고, 일본의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447년 4월 20일 안견의 독실한 후원자였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이 꿈 속에 도원(桃源)을 방문하고 그 내용을 안견에게 설명하여 그리게 한 것이다. 도잠(陶潛-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안평대군이 쓴 발문(跋文)에 의하면, 안견이 이 걸작을 단 3일 만에 완성하였다고 하여 거장으로서의 면모를 짐작하게 한다.
안평대군이 꿈을 꾼 내용을 안견에게 이야기하고, 안견은 이야기 내용을 그려냈다. 그림이야 안견이 그린 그림이 분명하지만, 그림의 내용 즉 이미지는 안평대군의 것이다. 이것을 안견의 그림이라고만 말할 수 있을까. 속되게 말하면, 안평이 안견의 손재주만 빌린 것이 아닐까.
어쨌거나,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자기의 화풍을 확립하고 나서 그린 대표적인 그림이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에는 안견의 그림뿐 아니라 안평대군의 제서(題書)와 발문, 그리고 1450년(세종 32) 정월에 쓴 시 한 수를 비롯해 20여 명의 당대 문사(文士)들과 1명의 고승(高僧)이 쓴 제찬을 포함해서 모두 23편의 찬문(讚文)이 곁들여져 있다.
안평대군과 더불어 찬문을 남긴 인물은 신숙주(申叔舟), 이개(李塏), 하연(河演), 송처관(宋處寬), 김담(金淡), 고득종(高得宗), 강석덕(姜碩德), 정인지(鄭麟趾), 박연(朴堧), 김종서(金宗瑞), 이적(李迹),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윤자운(尹子雲), 이예(李芮), 이현로(李賢老), 서거정(徐居正), 성삼문(成三問), 김수온(金守溫), 만우(卍雨), 최수(崔脩) 등으로 모두 안평대군과 가깝게 지내던 사람들이다.(이들의 서예가 남아 있음도 미술사에서 의의가 있다.)
「몽유도원도」의 그림과 거기에 곁들여진 시와 글씨가 함께 어우러져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의 경지를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 초기 세종대 문화예술의 성과가 집대성된 기념비적인 작품이라 하겠다.
첫댓글 화가를 통해서 우리나라 미술사를 짚어볼까 합니다. 저를 믿고 따라오시면, 우리의 미술이 조금은 눈에 보일 것입니다..
저요---, 영남대 미학미술사학과 대학원 출신이고요. 조선후기 회화사라는 책도 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