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따금 광화문에서 시작해 조계사를 거쳐 인사동까지 걷는 것이 나의 주말 도심 산책이다.
비가 내리는 오늘 인사동 전시장 몇 군데를 돌았는데 백악미술관에서 인상 깊은 서예 전시회를 관람했다.
일중서예대상을 받은 김양동 선생의 초대전이다. 1943년 생인 김양동 선생은 글씨가 예술이 될 수 있음을 제대로 보여줬다.
정통 서예뿐 아니라 수묵화의 확장으로 현대적 느낌의 화풍을 보여준 작품에 오래 눈길이 머물렀다.
김양동 선생은 서예 하시는 분이라 당연 한시에도 일가견이 있을 터, 오늘 본 작품 중에서 김시습의 시를 인용한 그림이 유독 기억에 남는다.
서예에 관해서는 내가 아는 것이 없기에 넘어가고 마음에 깊이 와 닿은 김시습의 시와 그의 인생 이야기다.
*김양동 작품, 김시습 시 부세풍파(浮世風波)
김시습을 안 것은 오래전에 이문구 소설 <매월당 김시습>을 읽고서였다.
그동안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쓴 사람이라는 정도였는데 이 소설로 김시습의 일생에 관심이 생겼다.
일천한 내 한문 실력으로 더듬더듬 그가 남긴 한시를 읽었다. 김시습을 알자 여행지 곳곳에서 그의 흔적을 만날 수 있었다.
부여에 있는 무량사에 갔다가 그의 부도비를 봤고 그가 금오신화를 썼다는 경주 남산 용장사지에서 그의 흔적을 바람결에 더듬기도 했다.
1435년 한양에서 태어난 김시습은 스무 살 무렵 과거시험을 준비하고 있던 중 세조가 단종에게 왕위를 찬탈하는 것을 보고 격분한다.
보던 책을 불사른 후 머리를 깎고 조선 팔도 곳곳을 떠돌게 되는데 그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다.
그의 시를 읽어 보면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뿐 아니라 금강산, 묘향산 등 북쪽 지방까지 떠돌았던 광활한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다.
유랑하는 중에도 늘 조정에 대한 관심을 갖고 사는데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을 묻어주기도 한다.
김시습은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다.
어릴 때부터 신동으로 알려진 김시습의 재능을 아깝게 여긴 한 지인이 물었다.
속세를 떠나 살고 싶은 마음은 알겠으나 절간에 조용히 머물면서 살지 왜 그리 고단하게 세상을 떠도느냐는 말에 그가 답하는 시가 바로 부세풍파다.
浮世風波如許闊 (부세풍파여허활)
靑松白石遠人間 (청송백석원인간)
舊遊踪跡如春夢 (구유종적여춘몽)
得失多慚不出寰 (득실다참불출환)
뜬 세상 풍파가 이같이도 드넓다니
푸른 솔과 흰 돌은 인간 세상에서 멀고말고
옛 놀던 자취는 봄날의 꿈만 같아
세상 못 벗어난 잘못 부끄럽다오
김시습은 1493년 58세로 세상을 떠나는데 말년에 그가 병든 몸을 의탁했던 무량사에서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감한다.
파릇한 스무 살 청년이었던 김시습은 평생 부끄러움 속에 떠돌며 살다 설잠(雪岑) 스님으로 이곳에서 입적했다.
김시습은 후손도 남기지 않았고 무덤도 없다. 대신 무량사에 가면 그의 부도탑을 볼 수 있다.
출생 시기가 다름에도 인연이란 이렇게도 묘한 것, 김양동 선생 서예 작품 속에서 김시습을 만나 나의 옛 추억을 돌아본 날이다.
나같은 따라지 인생은 풍파가 있기에 더 살아 볼 만하지 않겠는가.
김양동 작, 翰墨游戱(한묵유희) - 붓과 먹을 가지고 즐기는 것을 말함이다.
첫댓글 잘 음미하고 갑니다
넵! 잘 음미하셨다니 다행입니다.
빗소리가 참 좋네요.
고운 토요일 밤 되세요. 선 라이즈님,,ㅎ
김양동선생님 호가
근원이지요
송구스럽게도 음이
저랑 같은데 우연한일이지만
기분이 좋답니다
매월당 시중
비오는 날 오늘에 맞는
사청사우를 좋아한답니다
인사동은 2030시절
매일 한학과 서예 등
공부하느라 친숙한 동네
이제는 인사하러 가는 동네 ㅎ
글 잘보았습니다
아하, 늘평화님 호가 근원이시군요.
전시장에 뵌 김양동 선생님은 아담하면서 무척 조용한 분이셨습니다.
작품이 좋다면서 잠깐 인사를 드렸더니 무지 기뻐하시더군요.
신기하게도 평화님과 제가 맞닿는 부분이 있습니다.
오늘 저도 전시장 나서면서 사청사우를 떠올렸거든요.
저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왠지 인사동이 우리 동네 다음으로 편한 곳입니다.
암튼 많이 반갑네요. 근원 선생님,,ㅎ
제가
매월당 김시습의
26대 자손이라고
들어 알고 있는데
자손이 없으셨다고라?
ㅎㅎ
이제 친정의 어른이
안계시는 터라
누구께 여쭤야될지
난감합니다..ㅎ
이참에
나서봐야겠어요..
요석님이 강릉 김씨인가 보군요.
어쩐지,,^^
김시습 선생은 두 번 결혼을 했지만 자손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있었다면 선생의 성미로 봐서 당신 시에 백 번은 넘게 나왔겠지요.ㅎ
강릉 김씨 족보에 후손이 있는 것으로 나온다면 매월당님 사후에 문중에서 양자로 만든 것으로 사료됩니다.
어쨌든 요석님이 매월당 선생님 후손이라니 제가 바로 꼬리 내립니다.ㅎ
예전엔 '따라지 인생'이란 말, 자주 들었었는데
요즘은 듣기 힘든 말입니다.
'따라지(보잘것없거나 하찮은 처지에 있는 사람) 인생'이라면
유현덕 님이 아니라 제가 따라지 인생입니다.
문학을 좋아는 하는데 실력이 못 따라가
늘 문학 주변이나 서성이는 제가 바로 '따라지 인생'일 껍니다.
민순님처럼 마음 부자로 사는 분을 따라지 인생이라니 당치 않은 말이지요.
작은 것에 만족하고 베풀며 사는 모습이 참 아름다운 분입니다.
문학은 실력이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사랑하느냐도 중요하지요.
건강하셔서 사랑하는 문학과 오래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글구, 따라지 인생은 바로 저같은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랍니다.ㅎ
매월당 김시습은 천재였지요.
5세 때 세종 임금 어전에서 시를 지었던 천재,
그 명민한 인물이 난세를 만나 시류에 영합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세상과 등을 지고 풍운아로 살다 갔으니
그 기개는 참으로 가상하나 뜻을 펼치지 못한 삶은 아깝고 애석하지요.
근원 선생의 명필도 인상적입니다.
서예에 문외한인 저는, 그 부드러운 붓을 자유자재로 쓰며 저리 훌륭한 글씨를 써내시는 분들이 존경스럽습니다.
인사동 나들이를 통해 이렇게 좋은 글을 유현덕님도 일필휘지로 쓰셔서 읽게 해주심 감사합니다.
제가 요즘 카페에 적조한 편이라서 모처럼 현덕님 글에 댓글 씁니다.
늘 건강하시고 건필하시어요. ^^
와우~ 반가운 달항아리님,,ㅎ
매월당 선생을 향한 달님의 애틋한 마음이 저와 똑 같습니다.
임금도 탄복하게 했던 그 천재가 자신의 영화만을 생각했다면 출세가도를 달렸을 테지요.
시대를 잘못 만나 떠돌아야만 했던 운명이 안타깝습니다.
서예에 문외한으로는 저도 마찬가지, 그래도 우리는 훌륭한 작품을 알아보는 눈을 가진 동지입니다.
보이지 않아도 멀리 있어도 이심전심으로 통하는 염화미소(拈華微笑)를 달항아리님께 보냅니다.ㅎ
오랫만에 김시습 글과 생애를 살짝 옮겨 놓으셨군요
반가워요 워낙 유명하신 분이라 이렇게 또 현덕님 덕으로 다시
가까이 합니다 뜻없이 일상에 묻혀 옛 충신과 문필가를 다 잊다시피
살게 됩니다 현덕님은 항상 글과 사람과 함께 하는 삶 좋아 보여요
그렇다고 일상을 방치하지도 않으실텐데 말입니다 부지런하십니다
ㅎ 운선님도 매월당 선생을 좋아하셨던 모양입니다.
저도 오늘 전시회 때문에 오래전 읽었던 김시습 시를 생각했지요.
제 삶이 미천하여 다른 사람에 대한 호기심이 많습니다.
5백년 전 한국 사람도, 3백년 전 터키 사람도, 백년 전 아르젠티나 사람도,,
참, 에전에 강릉 매월당 기념관을 갔었는데 그때 운선님을 알았더라라면 커피 한잔 하자고 연락하는 건데요.
좋은 날들 모쪼록 잘 지내시기 바랍니다.ㅎ
유현덕님 덕분에 일찌감치 눈이 떠진 것에 대해 보상을 받는 느낌이 듭니다.
유현덕님 폭넓은 지식 세계에 늘 감탄을 금하기 어렵습니다. ^^~
수피님 일찍 일어나셨군요.
고요한 새벽에 읽은 제 글이 조금이라도 공감을 하셨다면 저도 글 쓴 보람이 있습니다.ㅎ
직접 경험하면서 배울 재주가 없어 옛 사람들 글을 읽고 많이 공부하네요.
화창한 일요일 아침입니다.
좋은 날 되시기를요.ㅎ
네 잘 보았습니다
넵! 감사합니다. 자연이다님,,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