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추석은 폭염으로 인해 많이 달라진 광경이 눈에 띄었습니다.
명절 분위기는 집 안에 가득 찬 기름 냄새로 고조되기 일쑤였지요.
기름을 듬뿍 두른 번철에서 지글지글 전을 부치다 보면 아녀자들은 쉽게 지쳐갔습니다만
올 추석에는 차례를 생략하는 집안이 늘었고, 전이 없는 주과포만으로 성묘를 마치기도 했습니다.
집안을 가리지 않고 부치는 대표적인 전이 '동그랑땡' 입니다.
동그랑땡? 이렇게 예쁘고 재미있는 이름이 또 있을까요?
‘동그랑’은 모양을, ‘땡’은 소리를 가리키니 모양과 소리로만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이 단어가 사전에도 올라 있으니 어엿한 우리말이라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이 음식은 동그랗기는 하지만 ‘땡’ 소리가 나지는 않는데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요?
'동그랑땡'을 이해하려면 '돈저냐'를 알아야 하고 '돈저냐'를 알려면 '저냐'를 알아야 합니다.
'저냐'는 얇게 저민 고기나 생선 따위에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 푼 것을 씌워 기름에 지진 음식입니다.
‘저냐’라는 단어가 지극히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아무래도 한자어 ‘전유어(煎油魚)’나 ‘전유화(煎油花)’의 발음이 변해서 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을 엽전 크기와 모양으로 만들었으니 앞에 ‘돈’을 붙여 ‘돈저냐’가 된 것이지요.
‘돈저냐’의 돈은 돼지를 뜻하는 ‘돈’이 아닙니다.
그 다음 ‘땡’은 왜 쓰였을까요?
동전을 바닥에 던져보세요. 바닥에 떨어지는 소리를 우리 조상들은 ‘땡’이라 생각했나 봅니다.
그러니 생긴 건 동그랗고, 던지면 ‘땡’ 소리가 나는 엽전을 ‘동그랑땡’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던 것이지요.
실제로 1960년대의 신문을 보면 ‘동그랑땡 사정이 안 좋다’는 표현이 나오는데
‘주머니 사정이 안 좋다’는 말이었습니다.
엽전을 가리키는 귀엽고 예쁜 말이 음식을 가리키는 말로 진화한 것이지요.
다진 고기에 두부나 채소 등을 섞어 달걀을 두르고 지져 내는 음식이 맛이 없으려야 없을 수가 없지요.
맛도 맛이지만 양을 늘리는 방법도 되니 귀한 고기로 만든 음식을 여럿이 맛볼 수 있는 방법이잖아요.
이걸 담양에서 만들면 '떡갈비'가 되고 서양에서 만들면 '햄버거'가 되었습니다.
'동그랑땡'은 부치자마자 하나 얻어 입에 넣고 ‘허허후후호호’ 하며 먹어야 맛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이 아닌 돈을 먹는 셈이니 더 맛있게 느껴야 하지 않겠어요?
집에 따라 예년과 같이 전을 부쳐서 차례를 지냈다면 제수 음식이 아직까지 남아있을 수도 있겠지요.
그럴 때는 데워서 먹는 것보다 이것저것 같이 넣어 탕으로 또는 찌개로 끓여보는 것도 권장하데요.
우리 고장에서는 '거지탕' 또는 '섞어찌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지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