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위드유상담심리교육센터 원문보기 글쓴이: 위드유
다른 신체부위와 비해 지나치게 크게 그린 경우 | - 지적인 능력에 대한 관심이나 과시, 지적인 성취욕구, 지적인 활동을 추구하는 경향 등이 강함 - 다른 면에서는 오히려 자신의 지적 능력에 대한 불안감과 의구심이 내재 이를 과잉 보상하고자 주지화하고 현학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도 있음 - 소망 충족과 관련된 내적 사고나 공상에 지나치게 몰두하고 있음을 나타냄 - 자기 팽창적 혹은 과대 사고 경향을 보이기도 함 - 6세 이하 아동의 경우 흔히 가분수 형태의 그림을 그리기도 함 |
지나치게 작게 그린 경우 | - 지적 능력을 비롯해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 무능감, 열등감, 수동적이고 위축된 태도 등을 나타냄
|
머리카락이 없는 경우 | - 성적 부적절감, 낮은 신체적 활력 등을 나타냄 |
머리를 그리지 않은 경우 | - 정신증 상태에서의 심한 사고 장애나 뇌손상 혹은 신경학적 장애에서 주로 나타남
|
② 얼굴
얼굴은 자신의 감정 상태나 욕구를 표현하는 등 의사 전달의 주요 수단이다. 따라서 얼굴의 방향이라든지 이목구비의 표현 방식을 통해 외부 환경이나 대인관계에 대한 태도 등을 살펴볼 수 있다.
* 얼굴의 방향
정면을 향한 얼굴인 경우 | - 일반적
|
측면을 향한 얼굴인 경우 | - 심리적 혹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함 - 직접적인 사회적 접촉을 꺼리고 회피하는 태도를 나타냄
|
뒤통수를 그리는 경우 | - 세상과 직면하기를 피한ㄴ 극도의 회피적인 태도를 나타냄 - 외모에 대해 극심한 수치심, 걱정 - 외부 환경에 대해 매우 예민하고 경계적인 태도, 억압된 분노감, 거부적인 태도 등을 반영
|
신체는 정면을 향하고 얼굴만 옆모습인 경우 | - 판단력 저하 등의 사고 장애나 심리적 퇴행, 지적 장애, 뇌손상 및 신경학적 장애에서 주로 나타남 |
* 눈
눈은 외부 세계와 접촉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가장 기본적인 감각 기관으로, '세상을 향한 마음의 창'으로 볼 수 있다. 눈의 크기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욕구와 관심, 민감함의 정도를 반영한다.
크게 그린 경우 | - 애정과 관심에 대한 욕구가 강하거나 대인관계에서 지나치게 예민함을 나타냄
|
진하게 강조해 그린 경우 | - 타인에 대한 의심이나 경계적이고 방어적인 태도를 나타냄 - 편집증적 경향과 그에 수반한 공격성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작게 그린 경우 | -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 걱정, 위축감을 나타냄
|
머리카락, 모자 등으로 한쪽 눈을 가린 경우 |
- 사회적 교류에 대해 접근·회피의 양가감정, 사회적 불안 등을 반영 |
눈이 생략된 경우 | - 다른 사람과의 정서적 교류에 극심한 불안감을 경험하며 사회적 관계로부터 회피적인 태도 - 사고장애의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음
|
* 귀
귀 역시 눈과 마찬가지로 외부 정보를 수용하는 감각 기관이기는 하나 눈에 비해 수동적인 기능을 한다. 비임상 집단에서도 귀를 그리지 않는 경우는 흔히 나타난다. 그러므로 귀에 대한 해석은 생략보다는 귀의 크기라든지 세부 묘사를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왜곡하여 그리는 데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크게 그린 경우 | - 외부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냄 - 사회적 평가에 대한 지나친 민감성, 긴장감, 불신이나 의심을 나타냄 - 때로는 편집증적 경향이나 환청 가능성을 시사 - 면담할 때 이와 관련된 면밀한 정보 수집이 필요 |
머리카락, 모자 등으로 가리게 그린 경우 |
- 눈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관계에 대한 위축감, 회피적 태도, 양가감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귀걸이와 같은 장신구를 그린 경우 | - 외모에 관심이 많은 수검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자기과시적 경향을 시사
|
* 코
코 역시 수검자가 환경으로부터 정서적 자극을 받아들이고 반응하는 방식을 반영하며, 외모에 대한 관심의 정도나 성적 상징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크게 그린 경우 | - 외모에 대한 지나친 관심, 정서적 자극에 대한 예민함을 주로 나타냄 - 때로는 성적 부적절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함 |
작게 그리거나 생략한 경우 |
-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 위축감, 회피적 태도를 나타냄 |
콧구멍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그린 경우 | -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해 미성숙하고 공격적인 태도를 시사
|
* 입
입은 세상과 의사소통을 하는 표현의 수단인 동시에 음식을 받아들여 생존해 나갈 수 있게 해 주는 기관으로 만족의 원천이다. 이러한 점에서 입은 생존이나 심리적 욕구 충족 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서적 상태를 나타낸다.
크게 혹은 강조하여 그린 경우 | - 애정과 정서적 교류에 대한 불안감을 과도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보상하고자 하는 시도 - 심한 경우에는 요구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로 보상하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됨 - 성인의 경우 구강기 단계의 미숙한 의존 욕구나 애정 욕구 등 심리적 퇴행을 시사 |
치아가 그려진 경우 | - 유아적 구강 공격성을 반영 |
작게 그리거나 생략하여 그린 경우 | - 애정 욕구와 관련된 좌절감, 무력감, 위축감, 양가감정을 시사 - 특히 부모와 같은 친밀한 대상과의 관계에서의 갈등, 결핍감을 시사
|
③ 목
목은 몸과 머리를 연결해주는 신체기관으로 충동 및 행동반응(몸)과 이를 지적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머리)의 관계를 나타낸다.
가늘고 긴 목 그림 | - 충동 및 행동을 지나치게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 - 심리적인 위축이나 억제, 융통성이 부족하고 완고한 성향 등을 반영 - 다른면에서는 자기 통제력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열등감이나 억제된 욕구 해소를 위해 내적 공상에 몰두할 가능성도 있음 |
짧고 굵은 목 그림 | - 통제력이 부족하여 충동적인 감정 표출이나 행동화의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냄
|
목이 생략된 경우 | - 성인의 경우 충동 및 행동 조절 능력이 매우 약화된 상태 혹은 심리적 미성숙함을 나타냄 - 뇌손상, 사고 장애, 지적 장애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④ 팔/다리
* 팔
팔은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신체 부위로 환경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나무 그림의 가지와 비슷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며, 주로 대인관계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나타낸다.
길고 굵은 팔 그림 | - 강한 성취 욕구, 스스로 환경을 통제하고자 하는 자율성에 대한 욕구 등을 반영 - 그 이면에는 세상과 교류하는 능력에 대한 무능감, 부적절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를 과잉 보상하기 위해 타인을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지배적인 행동을 취할 가능성도 고려 |
짧고 약한 팔 그림 | - 자신의 대처 능력, 상호작용 능력에 대해 부적절감이 심하여 억제되어 있음 -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을 나타냄 |
팔을 뒤로 돌리거나 한쪽 팔이 안보이는 그림 | - 환경 혹은 타인과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가 내재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그에 대한 부적절감을 경험하는 접근·회피의 양가감정을 반영 -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싶어 하면서도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고 수동·회피적 태도를 취함 |
팔짱을 낀 자세의 그림 | - 외부 환경 및 대인관계에 대한 의심, 적대감,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태도 등을 시사
|
밖으로 뻗은 팔 그림 | - 대인관계나 환경과의 접촉에 대한 갈망 - 도움이나 애정에 대한 갈망을 시사 |
두 팔이 생략된 그림 | - 심한 우울 상태에서 보이는 무력감, 위축감, 철수적 태도, 혹은 정신증적 상태에서 보이는 심리적 퇴행, 지각적 왜곡 등을 시사 |
* 손
손은 팔과 유사한 상징을 지니지만 팔보다도 구체적이고 정교하게 욕구 충족이나 문제 해결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해 주는 신체 부위다.
크게 그리거나 덧칠하여 강조된 손 그림 | - 공격적 충동 및 부적절감에 대한 과잉 보상을 나타냄 |
흐릿하거나 작게 그린 손 그림 | - 대인관계 상호작용이나 생산적 활동에 대한 자신감 부족, 정서적 불안정감, 무력감 등을 나타냄 |
주먹 쥔 형태의 손 그림 | - 억압된 공격성을 나타냄
|
손이 보이지 않는 그림 | - 회피적 태도를 나타냄 |
손가락, 손톱 등을 지나치게 세밀한 그림 | - 공격성이나 불안을 강박적으로 통제하려는 시도, 주지화 등을 나타냄 - 신체상태에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정신증 초기 단계에서도 나타남
|
* 다리와 발
다리와 발은 몸통에 연결되고 땅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며 신체의 균형을 잡고 유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폭표에 접근하게 해 주는 대처 능력, 현실 상황을 지탱해 나가는 능력을 상징한다.
길게 그린 다리 | - 자율성과 독립성에 대한 욕구가 강함을 나타냄 - 현실 대처 능력과 관련된 부적절감, 무력감을 과잉 보상하려는 경향을 시사 |
다리의 근육을 강조 지나치게 굵게 그린 그림 | - 성취 욕구가 지나쳐 과도한 자기주장성,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음
|
가늘고 짧은 다리 | - 일상적 문제 해결 및 대처에 대한 부적절감이나 억제 경향성 혹은 수동적 태도를 반영
|
발을 지나치게 크게 그린 그림 | - 안정감을 과도하게 추구하고 있음을 나타냄 |
발을 매우 작게 그리거나 생략한 그림 | - 불안정감, 위축감, 무기력감 등을 나타냄
|
크로스된 다리 그림 |
- 성적 접근에 대한 방어를 나타냄 |
발가락이 드러난 그림 | - 공격적 성향을 나타냄
|
⑤ 기타 신체 부위
* 몸통
몸통은 개인의 기본적인 추동(drive)과 내적인 힘을 상징한다.
굵고 큰 몸통 그림 | - 강한 심신 에너지, 요구적 태도, 행동화 경향을 나타냄 - 그 이면에는 욕구와 충동의 결핍감을 과잉 보상하고자 과도한 에너지를 강조할 가능성도 있음 |
짧고 굵은 몸통 그림 | - 충동 통제력의 약화를 나타내기도 함
|
지나치게 작거나 가느다란 몸통 그림 | - 심신의 허약함, 부적절감, 수동적이고 억제된 행동을 나타냄
|
둥근 몸통 그림 | - 여성적, 미성숙, 비공격적 경향을 나타냄
|
몸통이 생략된 그림 | - 지적 장애, 뇌손상, 치매나 정신증적 상태에서 보이는 심한 수준의 심리적 퇴행을 고려
|
* 어깨
어깨는 신체적 힘에 대한 욕구, 책임감을 상징한다.
지나치게 크게 그린 그림 | - 책임지려는 의지, 지배 욕구, 권위적 태도를 나타냄 - 자신의 신체적 부적절감을 과잉 보상하고자 신체적 힘을 동경·강조하고 있음을 나타냄 |
좁고 작게 그린 그림 | - 책임을 완수해야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부적절감, 무력감, 위축감, 수동적 태도를 시사 |
어깨가 생략된 그림 | - 신경학적 장애, 지적 장애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함 -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대해 심한 부담감을 느껴 회피적이고 철수적 가능성을 나타냄 |
* 가슴 및 유방
남자 그림에서 가슴은 능력이나 힘에 대한 주관적 지각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는 수검자의 성별에 따라, 그리고 그림의 대상이 자기인지 혹은 자기 대상인지에 따라 해석에 차이가 있다.
유방(여자 그림) 그림 | - 성적 욕구나 성적 매력의 과시를 나타냄 - 유방은 모유를 공급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의존 욕구 및 애정 욕구를 반영하기도 함 |
* 허리선
허리는 몸통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해 주는 신체 부위다.
구 분 | 몸통의 상부 | 몸통의 하부 |
남 성 | 신체적인 힘을 상징 | 성적 기능을 상징 |
여 성 | 양육과 성적 의미를 상징 | 성적, 생산적 기능을 상징 |
벨트 등을 그려 넣어 허리선을 강조한 그림 |
- 자기과시적인 형태, 신체와 관련된 충동을 비교적 잘 통제해 나가고 있음을 나타냄 |
지나치게 꽉 조이게 그려 허리선을 강조한 그림 | - 성적 충동에 대한 억제와 표출 사이에서 갈등과 불안감을 겪고 있음을 시사 |
* 기타 신체 기관
신체 기관 중 심장, 폐, 장기 등 내부 기관이 투영된 그림은 정신증적 상태에서 보이는 현실 검증력 손상을 시사한다. 특히 신체 망상을 보이는 환자들이 종종 이러한 형태의 그림을 그린다. 신체 기관 중 성기가 표현된 경우는 매우 드문데, 이러한 그림은 일차적으로 자아 기능이 붕괴된 정신증적 상태를 나타낸다. 나체 그림에서 성기 노출보다는 옷을 입은 상태에서 성기가 비춰 보이게 그린 경우가 현실 검증력의 손상, 자기 통제력 약화 등을 더 강하게 시사한다. 성기가 노출된 그림 중 이러한 정신증적 가능성이 명백히 배제된 경우라면 성적 능력 혹은 성 정체성에 대한 극심한 부적절감이나 불안감을 반영한다. 수검자가 미술 전공자인 경우에는 누드화 형식의 성기 노출 그림을 그리기도 한다.
⑥ 의상
옷은 자기 방어 혹은 자기과시를 나타낸다.
너무 많이 입히거나 장식을 많이 한 화려한 그림 | - 관심과 주목을 받고 싶은 욕구, 자기과시적 태도 등을 나타냄 - 그 이면에는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내재해 있기도 함 |
지나치게 자세하고 정교하게 묘사한 그림 | - 강박적 성향을 나타냄
|
옷을 입히지 않은 그림 | - 자기 방어가 취약하거나 관음증 혹은 노층증과 같은 성적 문제 행동을 나타냄 |
HTP 해석 단계에서 주의할 점
1. 단순화된 해석을 피하라!
*같은 그림일지라도 개인마다 그러한 공상(fantasy)을 산출해 낸 개인사(history)는 다르다.
*같은 역동이라도 다른 상징을 산출할 수 있다.
2. 그림 내용의 일반적인 의미보다 그 수검자가 무엇을 나타내고자 하는지 확인하라!
*해석자의 참조 체계, 이론적 견해에 따라 다양한 해석적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명심하라.
*다른 검사 결과, 행동 관찰, 배경 정보 등 다양한 자료와 통합하여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이우경·이원혜 공저,『심리 평가의 최신 흐름』,2014, 학지사 >
이것으로 HTP검사의 해석 중 마지막 세번째 '사람'에 대한 해석까지 공부하였습니다.
도움이 됐다면 좋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