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방부가 오는 2011년까지 현재의 두 배 규모인 3천636만여㎡로 확장할 계획인 파주시 적성면 무건리훈련장. 전국의 시민사회단체들은 무건리훈련장 확장 저지를 결의, '제2의 대추리 사태'의 도화선에는 벌써 불이 붙고 있다.
| 파주시 무건리훈련장 확장과 동두천시 미군기지들의 반환시기 지연이 확실시되는 등 미군이 경기북부를 떠나지 않을 것이란 정황이 속속 감지되고 있다.
전국의 3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은 무건리훈련장 확장 저지를 천명, 올 가을 '제2의 대추리 사태'가 경기북부에서 폭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7일 경기도와 동두천시 등에 따르면 2002년 10월 31일 발효된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PP)으로 경기북부 미군기지가 반환됐거나 평택 미군기지 완공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다. 동두천시 전체 면적의 약 30%를 차지하는 캠프 케이시와 호비의 반환예정 시기도 2012년이라 현재 두 기지의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평택 미군기지 완공시기가 당초 2012년에서 3∼4년 지연될 것으로 알려지며 캠프 케이시와 호비의 반환시기도 불투명해졌다. 만약 미군이 완전히 철수하지 않는다면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특별법에 의한 종합개발이 물거품으로 끝나거나 수박 겉핥기식에 머물게 된다.
오세창 동두천시장은 지난 주 공식석상에서 두 차례나 캠프 케이시와 호비의 반환시기가 연장될 것이란 우려를 표했다. 오 시장은 23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긴급 시장·군수회의에서 "캠프 케이시와 호비 이전이 2015년이나 돼야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고 말했고, 24일 열린 반환 미군기지 관련 심포지엄에서도 반환시기 지연 가능성을 제기한 뒤 "만약 반환이 늦어진다면 그동안 동두천시민이 받게 될 불이익이 얼마나 될 지 걱정이다"고 밝혔다.
동두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2015년 이후 반환도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군 훈련장이 경기북부에 존재하는 이상 훈련기간에 주둔할 기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논리다. 단일기지로는 동북아 최대규모인 캠프 케이시와 호비는 규모와 시설, 훈련장까지의 거리로 미뤄 최적지라는 분석이다. 동두천시민연대 관계자는 "미군이 평택으로 가더라도 훈련은 받아야 하기에 세계 최고의 시설을 갖춘 경기북부의 훈련장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전국 30여 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 25일 서울에서 무건리훈련장 확장 저지 공동대책위원회 결성을 위한 대표자회의를 가졌다. 공대위는 국방부의 무건리훈련장 확장 계획을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저지하기로 결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