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포구의 발전
군산항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군산은 부산, 원산, 인천, 목포, 진남포, 마산에 이어 1899년 5월 1일에 강제로 개항되었다. 개항 당시 군산항은 지금의 군산의료원 뒷쪽에서 세관을 중심으로 한 넓지 않은 어촌이었다. 한가로운 해변마을이 호남 제일의 도시가 된 것이다. 군산은 옥구 부윤의 행정관할하에 있다가 개항과 함께 목포영사관 군산분관이 생겼고 일본 영사가 각국거류회의 회두를 겸하고 있어 1906년 통감부가 설치되어 군산 이사청이 생길 때까지의 항만관리권은 그들의 소관이나 다름없었다. 이후 실질적인 행정은 이사청이 주도하였다.
1910년 8월 한일합병이 이루어지자 조선총독부의 설치로 군산이사청은 폐지되고 군산은 부로 승격, 군산부청이 설치되었다. 더욱이 1908년 전주-군산간 포장도로가 전국 최초로 만들어지고, 익산-김제-정읍보다 익산-군산간의 철도가 먼저 만들어져 호남 최대의 상업도시로 성장하였다. 1914년 치정 5주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에서 간행한 ‘군산안내’를 보면 군산은 전국 12부 중 상업항구도시로서의 기능이 대단하여, 총수출량으로는 부산 다음으로 전국 2위를 기록하였고 총수입량으로는 전국 4위를 기록하였는데, 이때의 수출품은 주로 쌀이었다.
군산을 이처럼 급격히 항구도시로 성장시킨 배경은 호남, 충청의 농토를 빼앗아 일본의 것으로 만들어 가난한 일본 농민을 옮겨와 살게 하고, 역시 호남, 충청의 쌀을 일본으로 강제 수출시켜 일본의 쌀 부족을 보충하고자 함이었다. 따라서 전북 지역은 가장 많은 일본인 농장이 모여 있던 지역이 되었고 가장 높은 사회 지배세력을 형성할 수 있었던 일본 식민정책의 중심이 되었다. 군산지방은 쌀 수출항구로서의 위치 때문에 특히 농장이 많이 모여 있었다. 1910년 한일합병에 이르기까지 전북 지역에는 이미 24개의 일본인 농장이 만들어졌다. 이후 1920년에 이르기까지 다시 18개의 농장이 더 만들어졌다.
1910년 한일합병 당시의 통계에 의하면 조선에 일본인이 차지한 토지가 86,951정보였는데 그 중 전남북이 반이 되는 42,000여 정보였다. 그 중 20,251정보가 전북이었다. 전국적으로 소작이 40%인데 전북은 68%였고, 자작이 전국적으로 19%인데 전북은 5.8%에 불과하였다. 일제의 식민정책은 한국을 식량 및 원료생산지로 또 일본 공업제품의 판매시장으로 만들고자 산미증산계획에 역점을 두었다. 정미소도 10여개가 밤낮 없이 가동되었다. 일본인 지주들의 가혹한 소작료 강제 징수로 빼앗긴 곡물은 모두 군산으로 집결되어 군산부두에는 쌀의 산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생산된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하여 1926년에는 기선 3척 이상이 배를 대고 짐을 내릴 수 있게 제3부두 뜬다리가 완성되었고, 1933년에 제4부두 뜬다리를 만들어 3,000톤급 기선 6척을 강가에 대고 짐을 내릴 수 있게 하는 확장공사가 있었다1933년 군산항에서 일본으로 쌀을 수출하는 양이 200만석을 넘지 못하였는데 개항 35주년이 되는 934년에는 기어이 200만석을 넘어섰다.
목포항
오늘날의 목포를 있게 한 것은 물론 1897년 10월 1일 개항이었다. 목포가 개항장이 된 이유 자체가 그러하듯이 개항 전의 목포가 역사 속에서 주목받았다면 그것은 목포가 영산강과 서남해안 바다의 길목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었다. 목포라는 이름도 길목이란 데서 유래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만호진(萬戶鎭) 설치 이전에 목포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땅은 모두 현재의 목포가 아니었다. 그 대개는 ‘나주 땅 목포’를 일컬었다. 그리고 현재의 목포는 그에 비해 ‘무안현 목포’라고 불렸다. ‘나주 땅 목포’와 ‘무안현 목포’는 목포라는 이름은 같이 썼지만 그 위치는 달랐다. 1439년(세종 21) 4월 목포에 만호진을 설치하였다. 이때의 목포가 이름하여 ‘무안현 목포’였다. 개항이전에는 대체로 150여 호 전후의 사람들이 진의 관할 하에 농업 또는 어업 등에 종사하면서 나름의 삶을 살아오고 있었다고 보인다.서남해안지역의 길목으로서 그 구실을 다하던 목포진은 군사제도가 근대식으로 개편되던 을미개혁기인 1895년 7월 15일 칙령 제141호로 폐진되었다.이제 변방 내지 만호진이라는 이미지의 목포는 사라져 버렸다. 그리고 곧이어 1897년 개항장이 됨으로써 목포는 근대도시로 새롭게 탄생하는 또 다른 운명을 맞게 되었다.
목포의 건설은 해벽 공사로부터 시작하였다. 해벽 공사는 시가지 건설상 제1의 요결이었고, 따라서 시가지의 조성 및 확장은 방조제 축조와 간척지 매립공사로 일관되었다. 목포의 도시발달사는 곧 간척과 매립의 역사였고 목포는 바다 위에 선 도시였다. 그 중에서도 매립의 시초는 해벽 축조였으니 해벽 축조야말로 목포 건설의 시초인 셈이다. 기존 도로는 시가지의 가구분할(街區分割)에 그대로 남아 시가지계획의 기준이 되었다. 온금동에서 목포진의 서문을 거쳐 우물[현 초원호텔 자리]로 가는 길과 선창에서 우물로 이어지는 길이 서로 만나 다시 쌍교리로 이어지는 이른바 ‘무안가도(務安街道)’가 목포 거류지에서 시가지의 기본 도로가 되어 시가지계획이 이루어 졌다고 본다.
무안군 목포진터 위에 자리잡기 시작한 목포는 1910년에는 목포부로 이름이 바뀌어 무안군을 관할하더니 1914년 신부제(新府制; 1914. 4. 1. 총독부령 제111호)를 적용하여 각국공동거류지역, 부내면 일부로 관할 지역이 축소되어 오늘날의 목포로 이어졌다. 당시 인구는 12,015명, 행정구역 면적은 2.33㎢였다. 1920년대 초반부터 조선인 마을을 향한 남북축으로의 시가지 조성이 활발해졌다. 시가지의 활발한 변화 속에서 1925년경에는 목포의 도시발전계획을 세워 나갔고 1927년경부터 근대적 의미의 도시계획에 대한 언급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이런 1920년대 목포의 발전을 상징하는 사건은 1926년에 열린 전남물산공진회(全南物産共進會) 및 조선면화공진회(朝鮮棉花共進會)였다. 공진회를 거치면서 목포는 이제 “전남의 현관(玄關)이요 물산집합(物産集合)의 중심지로 조선에서는 제3위를 점령할만한 중요항”이자 “상업의 요지”로 자리잡았다. 식민도시로 각인되었던 목포에게도 1945년의 해방은 찾아왔다. 해방 후 제일 먼저 목포의 행정에 온 변화는 동명의 개칭이었다. 1949년 4월 1일 일본식 정(町)과 통(通)을 모두 동(洞)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 7월 4일에는 법률 32호로 지방자치법을 제정하여 목포부를 목포시로 하였다.
출처:(문화원형백과 한반도 해양문화, 2009.,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2025-03-10 작성자 명사십리
한반도 해양문화
엄청난 자료들입니다. 학위논문에 필요하신 분은 가져가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