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인은 1786년 프랑스 리옹의 근교에서 태어났다.
1815년 사제품을 받은 그는 시골 마을 아르스의 본당 사제로
활동하면서 겸손하고 충실한 목자로 존경받았다.
그의 고행과 성덕이 널리 알려지면서 여러 곳에서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는
정성을 다하여 영적 가르침과 고해성사를 베풀었다.
평생을 아르스에서 겸손하고 가난한 삶을 산 그에게 해마다
이 만여 명이 고해성사를 받고자 찾아왔다고 전해진다.
1859년 선종한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를
1925년 비오 11세 교황이 시성하고,
사 년 뒤에는 ‘본당 사제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제1독서
<너희는 주님의 축일들에 거룩한 모임을 소집해야 한다.>
▥ 레위기의 말씀입니다. 23,1.4-11.15-16.27.34ㄴ-37
1 주님께서 모세에게 이르셨다.
4 “너희가 정해진 때에 소집해야 하는 거룩한 모임,
곧 주님의 축일들은 이러하다.
5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 어스름에 주님의 파스카를 지켜야 한다.
6 이달 보름에는 주님의 무교절을 지내는데,
너희는 이레 동안 누룩 없는 빵을 먹어야 한다.
7 첫날에는 거룩한 모임을 열고,
생업으로 하는 일은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8 그리고 이레 동안 주님에게 화제물을 바쳐야 한다.
이레째 되는 날에는 다시 거룩한 모임을 열고,
생업으로 하는 일은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9 주님께서 모세에게 이르셨다.
10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일러라.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여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으로 들어가서 수확을 거두어들일 때,
너희 수확의 맏물인 곡식 단을 사제에게 가져와야 한다.
11 사제는 그 곡식 단이 너희를 위하여
호의로 받아들여지도록 주님 앞에 흔들어 바친다.
사제는 그것을 안식일 다음 날 흔들어 바친다.
15 너희는 안식일 다음 날부터,
곧 곡식 단을 흔들어 바친 날부터 일곱 주간을 꽉 차게 헤아린다.
16 이렇게 일곱째 안식일 다음 날까지 오십 일을 헤아려,
새로운 곡식 제물을 주님에게 바친다.’
27 또한 일곱째 달 초열흘날은 속죄일이다.
너희는 거룩한 모임을 열고 고행하며,
주님에게 화제물을 바쳐야 한다.
34 ‘이 일곱째 달 보름날부터 이레 동안은 주님을 위한 초막절이다.
35 그 첫날에는 거룩한 모임을 열고,
생업으로 하는 일은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36 너희는 이레 동안 주님에게 화제물을 바친다.
여드레째 되는 날에는 다시 거룩한 모임을 열고,
주님에게 화제물을 바친다.
이날은 집회일이므로, 너희는 생업으로
하는 일은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37 이는 너희가 거룩한 모임을 소집해야 하는 주님의 축일들로서,
이때 너희는 그날그날에 맞는 번제물과 곡식 제물과
희생 제물과 제주를 주님에게 화제물로 바쳐야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저 사람은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그런데 저 사람이 어디서 저 모든 것을 얻었지?>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54-58
그때에 54 예수님께서 고향에 가시어
회당에서 사람들을 가르치셨다.
그러자 그들은 놀라서 이렇게 말하였다.
“저 사람이 어디서 저런 지혜와 기적의 힘을 얻었을까?
55 저 사람은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그의 어머니는 마리아라고 하지 않나?
그리고 그의 형제들은 야고보, 요셉, 시몬, 유다가 아닌가?
56 그의 누이들도 모두 우리와 함께 살고 있지 않는가?
그런데 저 사람이 어디서 저 모든 것을 얻었지?”
57 그러면서 그들은 그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예언자는 어디에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
58 그리고 그들이 믿지 않으므로
그곳에서는 기적을 많이 일으키지 않으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사람의 마음속에는 때때로 하느님의 좋은 제안에도
저항하는 이상한 충동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오늘 복음에서도 발견합니다.
나자렛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위대한 예언자시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목수의 아들이라고 규정합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놀라운 일들을 일으켜 주실 때조차
우리는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저항하기도 합니다.
또한 특별하거나 먼 곳에서 놀라운 일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가까운 것은 지극히
일상적이고 놀랄 만하지 않다고 여깁니다.
매우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우리 집 창문 너머나
집 안에도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가 날마다 만나는 사람들 가운데도 있습니다.
우리는 가까이 계신 주님께 어떤 마음을 지녔습니까?
우리가 크거나 놀랍고 기이한 일에만
시선을 둔다면 어디에서 주님을 뵙겠습니까?
고요히 그분의 말씀을 듣는 가운데에서,
부족한 우리이지만 늘 접할 수 있는 성사들 안에서,
가난한 현실 속에서 그리고 죄인들 가운데에서
우리는 인자하신 주님을 뵐 수 있습니다.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는 모든 곳에서 우리는
주님의 오묘하신 섭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나자렛 사람들과 달리, 오늘 하루 ‘못마땅하게 여기지’ 않고
사는 방식을 생각하여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 복음은, 새로 마련한 상점이나 공장 또는
사무실을 축복하는 예식 가운데 들려주는
말씀(마르 6,1-3)과 병행 구절이기도 합니다.
언뜻 듣기에 오늘 복음 말씀은
축복 예식에 잘 어울리지 않는 것만 같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 말씀을 축복을 청하는 좋은 날
우리에게 전하여 주는지 곰곰이 생각하여 볼 일입니다.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은 놀라운 기적이 아니라
기적을 가능하게 하는 믿음이고, 그 믿음의 눈으로
우리 자신과 주변을 바라보려는 삶의 태도입니다.
(정용진 요셉 신부)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