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호남고속철도 꿈의 1000만명 관광객 시대연다!] |
한국교통연구원 이재훈 박사, 해저고속철도 건설 구상 발표 건설비용 15조, 2026년 1500만명 이용…관광객 250만명 발생 |
제주의 소리 2009년 04월 14일 (화) 18:25:49 |
 |
제주-호남 해저고속철도가 완공될 경우 연 250만명의 관광객이 추가 발생, 꿈의 1000만명 제주관광객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해저고속철도가 완공되는 2026년에는 1500만명이 이용하고, 제주의 경우 항공기 이용자 78%는 고속철도로 전환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인 이재훈 박사는 15일 국회에서 열리는 '호남-제주 해저 고속전철 건설을 위한 토론회'에 앞서 공개한 주제발표문에서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이재훈 박사는 제주-호남 해저고속철도 사업비는 14조6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호남고속철도의 종착지인 목포에서 해남까지(66㎞)는 지상, 해남에서 보길도(28㎞)는 해상교량, 보길도-추자도-제주(73㎞)는 해저터널로 연결한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해저터널 공사는 보길도-추자도 구간의 최대 수준은 60m, 추자도-제주도 120m이기 때문에 현재 기술수준에서도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공사기법으로 이 박사는 '영불 해저터널'과 '분당선 한강 하저터널'의 'Shield-TBM' 공법과 '일본 세이칸 해저터널'과 '지하철 5호선 한강 하저터널'에 사용한 'NATM' 공법을 제안했다.
사업비는 목포-해남 지상구간 2조8000억원, 해남-보길도 해상교량구간 3조원, 보길도-추자도-제주도 해저터널구간 8조8000억원이 소요되며, 사업기간은 타당성.기본계획 수립 1년, 기본설계 1년, 실시설계 1년, 시설공사 8년 등 총 11년으로 예측했다.
제주-호남 해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목포-제주가 40분, 대구-제주 2시간 30분, 오송-제주 1시간 40분, 서울-제주 2시간 26분이 소요돼 육지ㅘ 제주도는 1일 생활권으로 편입된다.
고속철도가 완공되면 이 박사는 "요금을 항공요금의 71%로 적용해 2026년이면 1500만명이 고속철도를 이용하게 되며, 2036년이면 2056만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며 "또한 항공기 이용자 78%는 고속철도로 전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이 박사는 "고속철도 이용자는 추가발생이 가능하며 제주 이외지역 관광객이 10%가 제주도를 방문한다고 가정한다면 2026년에는 이용자의 250만명이 추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며 "외국사례에서도 10% 이상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저고속철도 개통이 되면 이 박사의 전망대로 라면 제주관광객 1000만명은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 박사는 "해저고속철도 건설 효과로 호남과 제주지역의 유사산업이 연계 발전이 가능하고, 해양.문화.관광산업과 녹색산업벨트를 형성하고, 경부축과 호남축의 균형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며 "제주도의 경우 사람과 물자의 이동 한계가 극복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국제자유도시로 발전가능하다"고 기대했다.
산업적 측면에서도 이 박사는 "제주도와 호남지역 여행상품 다양화와 해저터널 건설 경험과 노하우 축적, 생산유발효과는 약 44조원, 고용유발효과는 약 34만명으로 생산증대와 고용유발이 촉진된다"고 전망했다.
이 박사는 "호남과 제주지역에 새로운 국가성장축 개발과 국토균형 발전, 한국과 관계있는 해저터널 대비 등 국책사업으로 추진을 검토해야 한다"며 "사업추진에 앞서 수요, 해저지형 및 지질구조, 경제적.기술적 타당성, 재원조잘방안 등 심도있는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호남-제주 해저고속전철 건설을 위한 토론회는 15일 오후 2시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가균형발전연구포럼'(대표 이용섭 의원, 배영식 의원)이 주최하고 국토해양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철도시설공단의 후원으로 개최된다.
토론회에는 원혜영 민주당 원내대표, 박병석 민주당 정책위의장, 이병석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장,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조현용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황기연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최연혜 한국철도대학 총장, 이상복 제주행정부지사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첫댓글


해저고속 신난다. 환갑지나 비행기멀미 안해도 되겠네
이제 항공사들 배짱 부리는거 안봐도 되겠네...
제발 그렇게만 되어다오! 은퇴 후, 제주에서 이태리까지 기차로 여행이나 허여보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