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원 관련 논저 목록
Ramstedt (1982) Parapomena of Korean Etymologies
Ramstedt, G.J (1949) "Studies in Korean Etymology" $ Studies in Korean Etymology. Helsinki
강길운 (1959) '겨집'의 어원(上), (下) $ 현대문학 5권 7,8호(통권 55,56호)
강길운 (1975) 삼한 신라어는 토이기 어족에 속한다 : 수사·계절어·방위어의 체계적 비교 $ 국어국문학 68·69
강길운 (1979) 한국어의 형성과 계통 : 민족적 기원 $ 국어국문학 79·80
강길운 (1980) 수사의 발달 (I) $ 충남대 논문집 7-1 남광우 박사 회갑 기념 논총
강길운 (1981) 고조선 삼국에 대한 비교 언어학적 고찰 $ 언어 2 충남대
강길운 (1981) 국어 계통론 산고 $ 국어국문학 85
강길운 (1982) 가야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 (I) $ 언어 3, 충남대 언어훈련원
강길운 (1982) 한국어와 Ainu어와의 비교 연구 (1) $ 어문연구 11
강길운 (1983) 가야어와 드라비다어와의 비교 (II) $ 수원대 논문집 1
강길운 (1983) 길약어와 한국어의 비교 연구 (I) $ 추강 황희영박사 송수기념논총
강길운 (1983) 한국어와 길약어는 동계이다 (I) $ 한글 182
강길운 (1984) 길약어와 한국어의 비교 연구 $ 수원대논문집 2
강길운 (1985) 가야어와 드라비다어와의 비교연구 (III) $ 어문논지 4·5집, 구수영화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강길운 (1985) 향토와 지명 $ 정음사
강길운 (1988) 잘못되어 온 한국어의 어원 연구 $ 동양문학 2
강길운 (1988) 한국어 계통론 -개설·문법비교편- $ 형설출판사
강길운 *(1959) 달팽이 명칭고 $ 한글 124 ◎
강길운 *(1980) 국어의 轉義語와 死語의 연구 (3) $ [지헌영 고희] ◎
강성일 (1962) kacaŋ 발달고 $ 어문학 8
강성일 (1966) 마당(場),바닥(掌,底)고 : Cognate Words 형성을 중심으로 $ 동아논총 3, 동아대
강신항 (1971) 朝鮮館譯語 신석 $ 대동문화연구 8
강신항 (1980) [계림유사 고려방언 연구] $ 성균관대 출판부
강신항 (1980) 국어학사 $ 보성출판사
강신항 *(1995) 일본 한자어 $ 새국어생활 제5권 제2호 ○
강여원 *(1979) 安東車戰(동채싸움), 그名稱 에 대한 語源考察 과 놀이方法 $ 문교경북 67('79.12):77-84 ◎
강윤호 (1958) 바다(海)계 어의 소장에 대하여 $ 국어교육연구 1
강헌규 (1972) 어사분화의 방법론적 고찰 : 품사전성을 중심 $ 공주교대 논문집 9-1
강헌규 (1977) 어사분화의 의미적 기준 $ 공주교대 논문집 14-1
강헌규 (1981) '처용'의 어의고 $ 공주사대논문집 19, 한국언어문학 20
강헌규 (1983) 고가요 및 어휘의미 신석 $ [이응백 회갑]
강헌규 (1983) 就利山 주변 이삼지명고 $ 공주사대 논문집 12
강헌규 (1984) 三國史記 에 나타난 金富軾 의 語源意識 考察 $ 공주사대론문집(인문과학편) 22('84.12):95-111
강헌규 (1984) 三國史記 에 나타난 金富軾 의 語源意識 考察 $ 어문연구 42․43합('84.11):320-325
강헌규 (1985) 國語 語源探究 의 史的 展開過程 硏究 $ 공주사대론문집(인문과학편) 23('85.12):67-119
강헌규 (1985) 金富軾 의 語源意識 과 三國史記 語源資料 의 考察 $ 어문연구 45('85.4):36-56
강헌규 (1985) 김부식의 어원 의식과 삼국사기 $ 어문연구 45
강헌규 (1986) 박경가의 ‘동언고’에 나타난 어원설의 고찰 $ 한국언어문학논총 (호서문화사)
강헌규 (1986)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어원 의식 고찰 $ 서정범박사 화갑기념논문집
강헌규 (1986.8) 韓國語 語源探究史 硏究-對象語彙 및 方法論을 中心으로- $ 경희대 박사
강헌규 (1987) 삼국유사에 나온 ‘嘉瑟岬(或作加書又嘉栖)에 대하여 $ 어문논총 13(경희대)
강헌규 (1988) 韓國語 語源硏究의 方向摸索 $ 국어국문학 100('88.12):75-82
강헌규 (1989) 삼국유사에 나타난 見郞,似如樹,印如樹,裟羅樹,沙羅에 대하여 $ [이용주 회갑]
강헌규 (1990) 契와寶의 語源 $ 공주사대론문집(공주사대론문집) 27('89.12):7-24
강헌규 (1992) '公州'地名에 나타난 '고마․熊․懷․公․錦'의 語源 $ 웅진문화 5('91.6):5-24
강헌규 (1993) P오랑캐'(兀良哈)의 어원 $ 공주대론문집 31('93.12):7-14
강헌규 *(1985) ‘기생’ 의 어원 $ 한글 189('85.9):113-122 ◎
강헌규 *(1987) 國語 語源 數題 $ 공주사대론문집(인문․사회과학 편) 25('87.12):45-62 ◎
강헌규 *(1988) 「한국어 어원 연구사」 $ 집문당 ○
갱폴 (이을환) (1978) 意味 와 語源 $ 청파문학 12('77.2):23-43
고광모 (1985) 한국어 어원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 서울대 석사
고재휴 (1940) '담사리'에 관하여 $ 정음 35
高在烋 (1940ㄱ) 비교언어연구초(一,二), $ 정음 34,36호
高在烋 *(1940ㄷ) 비교언어학적 연구재(一-八), $ 동아일보 ◎
고창식 (1977) 國語 의 語源問題, 漢字語 의 刑成過程 을 中心으로. $ 어문론집(고대) (어문론집(고대)) 19․20('77.9):269-279
고창식 (1977) 韓國語 가 日本語刑成 에 미친 영향 , 日本語 의 語源硏究 를 中心으로. $ 선청어문 (선청어문) 7('76.8):1-36
곽충구 *(1994) “系合 內에서의 單一化에 의한 語幹 再構造化” $ 박갑수 선생 화갑 기념 논문집 ◎
권덕규 (1923) [조선어문경위] $ 광문사
권덕규 (1923) 어원 몇 $ [조선어문경위], 광문사
권덕규 (1928) 조선어와 불교 $ 한글(동인지) 2:2
권덕규 (1939) 버리다 만 散稿 $ 한글 7:1, 7:2
權悳奎 *(1923ㄱ) 어원 몇, $ 조선어문경위 ◎
權悳奎 *(1929ㄱ) 朝鮮語硏究餘草(一), $ 신생 2권 2호 ◎
權悳奎 *(1929ㄴ) 朝鮮語硏究餘草(三), $ 신생 2권 4호 ◎
권재선 (1975) 麗代 친족 및 남녀 호칭어에 대한 고찰 $ 한국어문학회편, [한국어문학대계 2]
금상일 (1985) 슈메르 語源 에서 본 ‘桓因’의 由來 $ 신학과세계 11('85.10):383-401
금종현 (1984) 地籍 의 語源 에 관한 小考(上) $ 지적 108('84.3):35-39
금진규 (1985) 造語論 에 있어서 몇가지 用語 의 基本槪念 $ 공주사대국어국문학 12('85.12):44-62
김경숙 (1986) 동래의 유래와 그 어원에 대하여 $ 청천 강용권박사 송수기념논총
김계곤 (1983) 현대국어 의 조어법 연구; 하다 ′ 따위 풀이씨 에서 파생된 꾸밈씨 $ 한글 180('83.6):73-94
김계곤 (1987) 현대국어의 조어법 연구 ; 합성법과 파생법과의 겹침으로 이루어진 임자씨 $ 한글 196('87.6):65-145
김계곤 (1988) 조어법 ; 한힌샘 주시경에 대한 연구 $ 한힌샘연구 1('88.5):45-67
김계곤 (1993) 현대 국어의 조어법 연구;"하다"따위 풀이씨의 됨됨이 $ 한글 221('93.9):5-106
김관식 (1987) 佛語의 音韻變化에 비추어 본 語源的 雙立語의 形成에 관한 小考 $ 성심녀대론문집 19('87.6):87-105
김광해 (1982) 자음교체에 의한 어휘분화에 대하여 $ 국어교육 42,43
김광해 *(1995) 조망 - 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 새국어생활 제 5권 제 2호 ○
김대식 (1985) ‘궁노루’의 어원 에 대하여 $ 새국어교육 41('85.12):106-111
김대식 (1986) 신라어 sär(新)의 변천과 그 표기 $ 대동문화연구 20
김대식 (1987) 고대국어 어휘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김동소 (1981) '둘'의 어원학 $ 어문학 41
김동소 (1982) ㅎ말음명사의 어원 $ 조규설교수 화갑기념국어학논집
김동소 (1982) ㅎ말자음명사의 어원 $ 조규설교수 화갑기념국어학논총
김두찬 (1985) [금양잡록]의 몇 향명 어원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94
김민수 (1972) 신국어학사 $ 일조각
김민환 (1985) 먹거리라는 말에 대하여 $ 배달말 10
김방한 (1980) 한국어 어원 연구를 위하여 $ 말(연세대) 5
김방한 (1983) [한국어의 계통] $ 민음사
김병균 (1987) 삼국사기지리지의 신라 지명어 연구 $ 원광대대학원논문집 1
金炳燦 *(1932) 해(태양)의 어원, $ 동아일보 ◎
김상일 (1991) 「한」의 어원과 문화적 의미 $ 미술세계 81('91.8):30-35
김석득 (1983) [우리말 연구사] $ 정음문화사
김선기 (1967) 길ᄡᅳᆯᄫᅳᆯ 노래 (혜성가) : 신라 노래의 하나 $ 현대문학 통권 145
김선기 (1968) 한,일,몽 단어 비교 $ 한글 142
김선기 (1973) 위례성의 어원 $ 백제문화 학술강연회 강연요지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65('77.1):326-332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66('):376-383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67('):351-359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68('77.4):352-357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69('):351-359
김선기 (1977) 가라말 의 덜, 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70('):318-324
김선기 (1977) 韓國語의 語源 $ 현대문학 273('77.9):328-335
김선기 (1977) 韓國語의 語源 $ 현대문학 274('77.10):326-333
김선기 (1977) 韓國語의 語源 $ 현대문학 275('1):326-333
김선기 (1978)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옴말(동사) $ 현대문학 286('78.10):350-359
김선기(1978)가라말 의 덜(韓國語의 語源), ?옴말(동사) $ 현대문학 287('78.11):344-351
김선기 (1978)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77('78.1):349-357
김선기 (1978)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78('78.2):352-359
김선기 (1978)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 현대문학 279('78.3):320-327
김선기 (1978) 가라말의 덜(한국어의 어원) : 뮈옴말(동사) $ 현대문학 277,278,279,289,290,291.(1976.2
김선기 (1978) 한국어의 어원, 그림말들 그 2째 지위 $ 현대문학 280,281
김선기 (1978) 韓國語 의 語源, 그림말들 그 2째 지위. $ 현대문학 280('78.4):345
김선기 (1978) 韓國語 의 語源, 그림말들 그 2째 지위. $ 현대문학 281('78.5):338-345
김선기 (1979)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뮈옴말(동사) $ 현대문학 289('79.1):365-373
김선기 (1979)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뮈옴말(동사) $ 현대문학 290('79.2):370-375
김선기 (1979) 가라말 의 덜(韓國語 의 語源)- 뮈옴말(동사) $ 현대문학 291('79.3):368-372
김송원 (1993) 합성토씨의 조어론적 고찰;그 의미기능과 범주 $ 건국대중원연구소론문집 11('92.8):29-47
김승곤 (1970) '이' 주격조사의 어원고 $ 건대 학술연구원 학술지 12
김승곤 (1978) 한국어 조사의 통시적 연구 $ 서울 대제각
김승곤 (1982) 한국어 조사의 어원 연구 Ⅱ $ 건국대학술지(인문사회학편) 26('82.5):25-56
김승곤 (1984) 한국어 이두의 처소격 조사 ‘良中’의 어원 연구 $ 두메 박지홍교수 회갑기념논문집
김승곤 *(1984) 한국어의 기원 $ 건국대 출판부 ○
김영길 (1987) 독어 동사의 조어에 관한 고찰 $ 부산외대론총 5('87.1):151-178
김영일 (1988) 벼(稻)와 그 단어족 연구 $ 부산교대논문집 24-1
김영진 (1983) ‘판수’ 고 $ 민속어문논총 $ 계명대 출판부
김영진 (1985) 한국 고대어의 '買'에 대하여 $ 국어학 14
김영태 (1983) 지명연구에 대하여 $ [황희영 송수]
김완진 (1973) 국어 어휘 마멸의 연구 $ 진단학보 35
김완진 (1980) [향가 해독법 연구] $ 서울대 출판부
김완진 (1980) 고대어 연구 자료로서의 지명 $ 삼국사기의 신연구
김완진 (1985) 고려가요 어의탐색의 몇 경우 $ [역사언어학(김방한 회갑)]
김완진 (1986) 음소의 분포와 어원연구 $ [김민수회갑(국어학신연구)]
김완진 *(1970) 이른 시기에 있어서의 韓中 언어 접촉의 一斑에 대하여 $ 어학연구 6:1 ◎
김용태 (1983) 삼국사기의 '다사' 풀이 $ 한글 182
김용태 (1986) 박혁거세왕의 이름 연구 $ 부산한글 5
김원표 (1962) 고서에 보이는 '兎'의 어원고 : 阿斯達과 吐含山의 지명 $ 한글 130
김원표 *(1947) '가시'와 '각시'의 어원 $ 한글 101 ◎
김원표 *(1947) 술(酒)의 어원 $ 한글 100 ◎
김원표 *(1948) '벼(稻)'와 '쌀(米)'의 어원 $ 한글 104 ◎
김원표 *(1949) '누에(蠶)'의 기원·어원 $ 한글 108 ◎
김원표 *(1949) '보리(麥)'의 어원·유래 $ 한글 107 ◎
김윤경 (1939) 興淸의 어원 $ 박문 11, 박문서관
김윤학 (1983) 우리말 이름 : 땅이름을 중심으로 $ 나라사랑 48
김정아 (1985) 15세기국어의 '-ㄴ가' 의문문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94
김정호 (1982.2) 古地名의 語彙 및 語源硏究 $ 중앙대 석사
김정호 (1983) 삼천포 고지명의 어휘 및 어원고 : 〈ᄆᆞᆯ,ᄆᆞᆯ,ᄂᆡ〉형을 중심으로 $ [황희영 송수]
김정호 (1988) 三千浦 古地名의 語彙 및 語源攷 ; <말․갈․늬型을 中心으로$진주간호보건전문대론문집 11,1('88.1):223-252
김종권역 (1979) [雅言覺非] $ 일지사
김종운 (1959) 비칭에 관한 일고 : 특히 천민 계급의 직업을 중심으로 $ 문경 7
김종택 (1986) '머리,다리,허리'의 어원 추정 $ [김민수회갑]
김종택 *(1992) 국어 어휘론 $ 탑출판사 ○
김종훈 *(1994) 國語語彙論硏究 $ 한글터 ○
김준영 (1986) 全北 小地名의 語源 $ 전북대전라문화론총 1('86.8):25-52
김중섭 (1993) 칼칼․컬컬의 語源考 $ 경희대고황논집(인문․사회과학) 12('93.8):147-168
김진식 *(1994) “국어 유의어 생성고 -언어적 요인을 중심으로-” $ 연산 도수희 선생 화갑기념 논총 ◎
김철헌 (1963) 朝鮮館譯語 연구 $ 국어국문학 26
김태능 (1964) “‘耽羅’의 호칭에 대한 私考 $ 제주도 13
김태종 (1936) 역사에 나타난 어원 $ 한글 35
김태준 (1934) 열두 달의 명칭 $ 한글 2:6
김해동 (1986) 官僚制, 그 論議의 背景과 語源과 使用 $ 서울대행정론총 24,2('86.12):17-31
김형규 (1956) '계집'에 대하여 $ 한글 119
김형규 (1974) 한국방언연구 $ 서울대 출판부
김형기 (1960) “하ᄂᆞ님 어원고” $ 어문논집 1
김형수 (1964) ‘잇다’의 기어 및 그 파생어에 대하여 $ 청구대 대학원
김형수 (1965) ‘isi-’의 기어 추정 $ 어문학 13호. 한국어문학회
김형수 (1967) 주격 ‘-이’의 어원에 대하여 $ 어문학 17호. 한국어문학회
김형주 (1983) '바리,머리,마리,비롯,ᄆᆞᄅᆞ'의 어원고 $ 국어국문학(부산대) 21
김홍식 (1980) 제주도 방언 '가쟁이' 어고 $ 제주대논문집 11
김희동 (1991) 어원 「tor-」에 대하여 $ 대구교대국어교육론지 17('91.2):84-97
남광우 (1956) 고대국어조어법의 한 고찰 $ 한글 121호
남광우 (1957) 명사곡용에 있어서의 ㄱ의 고찰 $ 일석 이희승선생 송수기념논총
남광우 (1959) 고문헌에 나타난 稀貴語 고찰 $ 文耕 8, 중앙대 문리과대학
남광우 (1960) 국어학논문집 $ 일조각
남광우 (1971) [고어사전] $ 일조각
남성우 *(1985) 국어의미론 $ 영신문화사 ○
남성우 *(1990) 國語의 語彙 變化 $ 국어생활 제 22호 ○
남풍현 (1968) 15세기 諺解 문헌에 나타난 정음 표기의 중국계 차용 어사 고찰 $ 국어국문학 39,40
남풍현 (1968) 중국어 차용에 있어서의 직접차용과 간접차용의 문제에 대하여 $ [이숭녕송수]
남풍현 (1972) 15세기 국어의 한자어 차용고 $ 국어학논집(단국대 국문과) 5,6
남풍현 (1978) 비교 언어학적 관견에서 본 '비롯' $ 관악어문연구 3
남풍현 (1985) *민간어원 수제 $ 국어학 14
남풍현 *(1968) 15세기 諺解 문헌에 나타난 정음 표기의 중국계 차용 어사 고찰 $ 국어국문학 39,40 ◎
남풍현 *(1985) 국어 속의 차용어 $ 국어생활 2 ○
도수희 (1972) 백제 왕칭어 소고 $ 백제연구 3
도수희 (1974) 金馬渚에 대하여 $ 백제연구 5, 충남대
도수희 (1975) 백제어의 '仇知'와 '實'에 대하여 $ 국어학 3
도수희 (1975) 所夫里考 $ 어문연구 9
도수희 (1977) [백제어 연구] $ 아세아 문화사
도수희 (1979) 백제지명 연구(1) $ 백제연구 10, 충남대 백제연구소
도수희 (1980) ᄀᆞ시개 신고 $ 장암 지헌영선생 고희기념논총
도수희 (1980) 백제어의 ‘餘村·沙平’에 대하여 $ 난정 남광우박사 화갑기념논총
도수희 (1980) 백제지명 연구(2) $ 백제연구 11, 충남대 백제연구소
도수희 (1984) 백제어 연구 $ 홍문각
도수희 (1985) 백제어의 '남북'에 대하여 $ 국어학 14
도수희 (1985) 백제어의 '동서'에 대하여 $ [김방한 회갑]
도수희 (1985) 백제어의 '買忽'에 대하여 $ [박병채 환력]
도수희 (1986) 백제의 언어 자료 $ 백제연구 17
도수희 (1988) ‘마한어’에 관한 연구 II $ 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15-1 (충남대)
도수희 (1988) 馬韓語에 관한 연구 $ 인문과학소논문집 15권 1호, 충남대
도수희 (1993) 설(元旦)과 살(齡)의 語源 $ 어문연구(어문연구회) 23('92.12):213-220
리득춘 *(1987) 조선어 어휘사 $ 연변대학출판사 ○
마성식 *(1991) 국어 어의변화 유형론 $ 한남대출판부 ○
문무영 (1988) 國語 親族語 造語論攷 ; 接頭形式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58('88.8):192-213
민기 (1989) 아리랑語源考 ; 어둠과 밝음에 의미 부여한 우리민족의 진솔한 노래 $ 현대공론 12('89.4):342-349
민기 (1989) 續 P아리랑P語源考 $ 현대공론 13('89.5):402-411
민기 (1990) 續아리랑語源考 $ 말과글 41('89.12):57-63
민현식 *(1992) 부사의 어원 몇 가지 $ 난대 이응백박사 고희기념논문집 ○
박갑수 *(1984) 우리말의 誤用과 醇化 $ 한국방송사업단 ◎
박갑천 (1974) 어원수필 $ 을유문화사
박경현 ( ) 관습적 은유표현의 형성과 해석 - 국어교육에의 응용을 위한 시고 - $ ?
박경현 (1987) [현대국어 공간개념어 연구] $ 한샘
박노철 (1934) '활량', '화냥'의 어원 $ 한글 2:3
박노철 (1934) 고어원류고 $ 한글 통권 16,18 (2권 1호)
박노철 (1940) 語源 怪考 數題 $ 한글 8:6
朴魯哲 *(1934ㄱ) 활량과 화냥의 어원, $ 한글 2권 3호 ◎
朴魯哲 *(1934ㄴㄷ) 고어원류고 일 이, $ 한글 2권 7, 9호 ◎
朴魯哲 *(1935) 檀朝古風遺韻, $ 신동아 5권 10호 ◎
박배영 (1982) 新語의 造語過程에 나타나는 最近의 傾向에 關한 硏究 $ 한국해양대론문집(인문․사회과학편) 17('82.4):45-55
박병록 (1947) 고어원천고 $ 국학 3. 국학대
박병식 (1987) 日本語の語源は古代朝鮮語である $ 한국문화 88('87.2):8-13
박병채 (1968) 고대 삼국의 지명 어휘고 $ 백산학보 5
박용후 (1968) 탐라명의고 $ 제주도 34
박은용 (1967) ᄀᆞ시개 연구 $ 전석재신부은경축기념논총
박은용 (1979) 說話와言語를通해본朱蒙의語源에對하여,弓과巫의ALTAI共通基語에對하여 $ 자유 80('79.3):136-144
박은용 *(1971) 윷놀이의 '걸'에 대하여 : 馬의 고유어 탐구 $ [지헌영 화갑] ○
박일환 *(1995) 우리말 유래 사전 $ 우리교육 ◎
朴在陽 *(1995) 신문·방송 분야에 쓰인 일본어 $ 새국어생활 제5권 제2호 ○
박지홍 (1981) 부산 땅 이름의 됨됨이 및 말밑 : 산 계열을 중심으로 $ 어문학교육 4
박지흥 (1982) Esperanto와 우리말과의 조어법의 견줌; 우리문법의 새 지도법의 모색 $ 부산대사대교육론집 8('82.12):147-163
방종현 (1931) 동서남북과 바람 $ 조선어문학보 2
방종현 (1936) 언어현실에 대한 편감(1)-(3) $ 조선일보 6/25,6/26,6/27
방종현 (1937) 고어,방언,俚言 연구의 도정 $ 조광 3:1
방종현 (1939) 방위의 이름 $ 한글 7:2
방종현 (1939) 私見二題 $ 한글 8:7
방종현 (1940) 古語 硏究와 方言 $ 한글 8:5(통권 78호)
방종현 (1940) 龍字 풀이 $ 조광 6:1
방종현 (1963) 빙자떡 $ [일사국어학논집]
方鍾鉉 *(1936) 언어현실에 대한 편감(일-삼), $ 조선일보 ◎
方鍾鉉 *(1939) 언어편감, $ 문장 4호 ◎
方鍾鉉 *(1940) 私見二題, $ 한글 79 ◎
方鍾鉉 *(1940) 私見二題, $ 한글 80 ◎
方鍾鉉 *(1940) 석냥, $ 문장 15호 ◎
方鍾鉉 *(1963) 빙자떡, $ 일사국어학논집 ◎
배도식 (1981) 심메마니 은어의 조어구조 $ 어문학교육 4('81.12):257-272
서재극 (1964) 어두 /p/./m/의 교체와 어사분화 $ 국어국문학 27
서재극 (1966) 嘉俳攷 $ 대구교대논문집 1
서재극 (1968) 계집의 어원 고찰 $ [이상헌 회갑]
서재극 (1973) 백련초해의 석에 관한 연구 $ 한국학논집 1
서재극 (1980) [중세국어의 단어족 연구] $ 계명대 출판부
서재극 (1984) '내일'의 고려말 $ 배달말 9
서재극 (1984) 느지르샷다의 구성 $ 유창균박사 환갑기념논문집(계명대)
서재극 (1987) '다시'의 어근과 그 단어족 $ [이병선 화갑]
서재극 (1987) 'ᄃᆞᆰ', '비두로기'의 고찰 $ 한글 196
서재극 *(1990) 국어어형론고 $ 계명대학교 출판부 ○
서정범 (1959) 특수어 명칭고 $ 고황 3:2
서정범 (1960) 색채 형용사에 대하여 $ 경희대 문리논총
서정범 (1961-2) 어원의 이모저모 $ 자유문학 52,54,56,62,63,64
서정범 (1966) 어원의 이모저모 $ 고황 13 (高凰), 경희대
서정범 (1969) 여성에 관한 명칭고 $ 아세아여성연구 8,숙명여대 아세아여성문제
서정범 (1970) 박,시치미고 $ 한국민속학 2
서정범 (1970) 삼신고, 처용가고 $ 아세아여성연구
서정범 (1970) 신화와 언어 : 존장자의 어원을 중심으로 $ 예술원논문집 9
서정범 (1971) '보름'의 어원고 $ 국어국문학 51
서정범 (1972) 꼭두각시 어고 $ 한국종교학 1
서정범 (1972) 새타니 어고 $ 국어국문학 55-57
서정범 (1983) 原始國語 再構 를 위한 韓日兩國 의 共通祖語 硏究 $ 어문연구 39․40합('83.12):506-515
서정범 (1984) 國語 의 祖語硏究 $ 어문연구 42․43합('84.11):346-381
서정범 (1984) 무당 이야기 $ 월간 예술계 창간호
서정범 (1984) 봄의 어원 $ 월간문학 187
서정범 (1984) 한국어 어원연구 : ㄹ계 접미사를중심으로 $ 경희대논문집 13
서정범 (1985) 수사의 조어 연구 $ 어문논총 1 경희대
서정범 (1985) 우리말의 슬기 ; 祖語再構 와 語源探究 $ 예술계 7('85.12):222-232
서정범 (1985) 태몽 $ 월간문학 18(통권 193)
서정범 (1985) 학원별곡 $ 범조사
서정범 (1986) [어원별곡] $ 범조사
서정범 (1986) 무속어의 어원 연구 $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서정범 (1986) 우리말의 슬기 (完) ; 祖語再構와 語源探究 $ 예술계 10('86.3):154-165
서정범 (1986) 우리말의 슬기 2 ; 祖語再構와 語源硏究 $ 예술계 8('86.1):114-124
서정범 (1986) 우리말의 슬기 3 ; 祖語再構와 語源探究 $ 예술계 9('86.2):56-68
서정범 (1988) 祖語와 消失語 再構論 $ 국어국문학 100('88.12):21-32
서정범 (1989) [우리말의 뿌리] $ 고려원
서정범 (1990) 國語의 祖語再構와 滿洲語 $ 연세대말 14('89.12):71-100
서정범 *(1988) “祖語再構에서 본 ㄹ系接尾辭” $ 허당 이동림 박사 정년퇴임기념논총 ◎
서정욱 (1991) 한국 기독교 특수어휘의 어원과 의미 $ 계명어문학 6('91.10):83-112
석주명 (1947) [제주도 방언집] $ 서울신문사
성광수 (1980) 嶺東地方 地名에 대한 語源論的 硏究, 江陵․溟州를 中心으로. $ 구비문학 4('80.10):63-95
성광수 (1980) 영동 지방 지명에 대한 어원론적 연구 : 강릉, 명주를 중심으로 $ 구비문학 4
성기열 (1990) 韓國의 民間語源的 說話의 分析 $ 인하대인문과학연구소론문집 16('90.4):5-26
성락기 (1989) 原典上에 表出되고 있는 肝의 生理作用에 對한 語原的 考察 $ 대전대론문집 8,1('89.9):327-334
성백인 (1978) 한국어와 만주어의 비교연구 $ 언어학 3
손용주 (1990) 「입」語類의 造語的 樣相과 意味機能 $ 대구어문론총 8('90.5):199-223
孫晉泰 *(1935) 온돌은 언제 어떻케 생겨 낫나, $ 조광 2권 1호 ◎
송민 *(1979) “언어 접촉과 간섭 유형에 대하여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 성심 여대 논문집 10 ◎
송민 *(1990) 어휘 변화의 양상과 그 s배경 $ 국어 생활 제 22호 ○
송민 *(1994) 갑오경장기의 어휘 $ 새국어 생활 제 4권 4호 ○
송정석 (1973) 'ᄋᆞᄅᆞ' 낱말의 어원고 $ 한국어문학 10
송정석 (1988) 한국어의 어원잡기 $ 의학문화
송하진 (1983)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어 연구 $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송호봉 (1991) 화학 원소의 어원 $ 화학교육 18,1('91.3):48-58
신경순 (1973) 小地名語의 유형분류와 고유지명 대 한자지명의 대응관계 연구 $ 청주교대논문집 9
신수송 (1987) 조어의 논리형태에 관한 연구 $ 서울대어학연구 23,1('87.3):39-64
신용태 (1982) 韓國語․日本語․中國語上古音의比較硏究;韓日中國語의共通祖語를探索하는一試論$어문연구 35('82.11):476-500
신용태 (1982) 韓國語 ․ 日本語 의 共通祖語硏究 ; Swadesh 基礎語 에 의해서 $ 일어일문학연구 3('82.11):21-38
신용태 (1985) 한국어·은어·일본어의 단어족 연구 서설 $ 국어교육 51·52
신용태 (1985) 한국어의 어원 연구(서설) $ [김형기 팔질]
신용태 (1987) ‘達句火,仇知,實,斯盧’ 考 $ 국어교육61·62
신용태 (1987) 韓國語․日本語의 語源硏究 ; 敦賀․播磨地名과 관련하여 $ 일어일문학연구 10('87.2):53-68
신용태 (1987) 韓語․日本語의 語源硏究 Ⅳ ; 系統 및 語源硏究의 反省과 展望 $ 동국대일본학 6('87.2):41-63
신용태 (1988) 고대 한,일어의 'kom(곰), nim(님)'에 대하여 $ 언어학 9,10
신용태 (1988) 고대한국어 '믈'에 대하여 $ [이응백 정년]
신용태 (1988) 고대한국어의 '믈'의 기원에 대하여 $ 선청어문 16-17
신용태 (1993) 이른 時期에 있어서의 韓․日․漢 言語의 造語法에 관하여 $ 일본학보(한국) 30('93.5):303-324
신용태 *(1987) 한국어의 어원 연구(IV) : 알(卵),사이(間),ᄉᆞᆯ다(消·燒)·고구려지명‘達’에대하여$ 열므나이응호박사회갑기념논문집 ◎
신태현 (1939) 조선어의 변천, 古語法에 관한 약간의 고찰 $ 정음 33
신태현 (1940) 華夷譯語,朝鮮古語略考 $ 조광 6
신태현 (1941) 朝鮮古語通考 $ 한글 통권 84
신태현 (1961) 삼국 왕위칭고 $ 문리학총 1, 경희대
심여택 (1972) 제주도 지명연구 $ 제주도논문집 4
심재기 (1976) 중세국어의 時令어원 몇 가지 $ 관악어문연구 1
심재기 (1976) 한자어의 전래와 그 기원적 계보 $ [김형규송수]
심재기 (1981) 李義鳳의 東韓譯語에 대하여 $ 김형규박사 고희기념논문
심재기 (1982) 한자어의 전래와 그 기원적 계보 $ 김형규박사 송수기념논총
심재기 (1987)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 $ 국어생활 8
심재기 *(1982) 「국어어휘론」 $ 집문당 ○
심재기 *(1990) “한자어의 과거·현재·미래” $ 민음사 ◎
심재기 *(1990) 국어 어휘의 특성에 대하여 $ 국어생활 22 ◎
심재기 *(1991) “근대국어의 어휘체계에 대하여” $ 김완진선생 회갑기념 논총 ◎
심재기 *(1994) “숨어있던 복합어에 대하여” $ 연산 도수희 선생 화갑기념 논총 ◎
심진형 (1940) 속담 어원 $ 한글 81
안병희 (1960) 麗謠二題 $ 한글 125
안병희 (1963) ‘ᄌᆞ갸'語考 $ 국어국문학 26
안영희 (1970) 솔의 어원고 : 솔과 여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 아세아여성연구 9
안옥규 *(1989) 「詞源辭典」 $ 동북조선민족출판사 ○
안호상 (1965) 나라 이름 조선에 관한 고찰 $ 아세아연구 8-2
양주동 (1939) 향가주석산고 $ 진단학보 10
양주동 (1940) 和漢書에 나타난 朝鮮古語集錄略攷 $ 조광 6:2
양주동 (1946) 하늘의 原義 $ 국학 1, 국학전문학교 학생회
양주동 (1954) [고가연구] $ 일조각
양주동 (1959) 님,년,놈 考 $ 민족문화 4:3
양주동 (1959) 도령과 아리랑 : 고어 연구 2제 $ 민족문화 4:2, 민족문화사
양주동 (1963) [여요전주] $ 서울:을유문화사
양주동 (1963) 端午,流頭,秋夕考 : 그 본말과 語源故事 $ 한양 2:7
양주동 (1963) 아리랑 고설 : 아울러 우리의 어원 $ 한양 2:5
양주동 (1965) 화백 화랑고 : 고어풀이 2제 $ 국회보 50, 국회사무처
양주동 (1970) 增訂 古歌硏究 $ 일조각
양주동 (1977) 모르․배우․가르치 의 語源풀이 로 본 바람직한 敎育理念 $ 교육춘추 (교육춘추) 1,2('77.4):50-56
梁柱東 *(1932) 갈문왕, 기타, $ 청구학총 22 ◎
梁柱東 *(1936) 서경지명고 二 三, $ 신동아 6권 8호 ◎
양주동 *(1936) 語源考證數題 $ 조선일보 9.11-15 ◎
梁柱東 *(1937) 稽古雜조, $ 조광 3권1호 ◎
양주동 *(1938) 語義攷 數則 $ 정음 통권 27, 조선어학연구회 ◎
양주동 *(1972) 故言 硏究抄 : 恒用語들의 어원 유래, 原義 雜考 $ 명지대논문집 5 ◎
언응주 (1979) 獨語語源上 의 情緖的 變態性 硏究, leben - live 中心으로. $ 인문과학(성균관대) 8('79.7):47-78
여증동 (1983) 윷놀이에 대하여 $ 민속어문논총 계명대 출판부
여증동 (1988) 나라 이름 ‘신라’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100
원훈의 (1977) 이 系接辭 의 造語 機能 에 關한 硏究 $ 춘천교대론문집 17('77.2):23-39
유재영 (1972) 전북지방 전래지명의 연구 $ 원광대논문집 6
유재영 (1982) 전래 지명의 연구 $ 원광대 출판부
유재영 (1985) 장부 명칭어에 대한 고찰 $ 우운 박병채 박사 환갑 기념 논총
유창균 (1971) 화랑의 어원 $ 신라 가야문화 3,영남대
유창균 (1985) 弁,辰韓 지역에 잔존하는 약간의 어휘에 대하여 $ [천시권 화갑]
유창균 (1987) 朴赫居世 居西干의 어원에 대한 일고찰 $ [박은용 회갑]
유창균 (1992) 新羅語의 源流에 대하여;文獻에 나타난 諸種族과 관련해서 $ 동국대신라문화 (동국대신라문화) 8('91.12):5-33
유창돈 (1954) 族親稱號의 어원적 고찰 $ 사상계 2:2
유창돈 (1957) 平北語散考 $ [이희승송수]
유창돈 (1957) 漢淸文鑑 語彙考 $ 국어국문학 17
유창돈 (1963) 느지르샷다 고 $ 동방학지 6집
유창돈 (1966) 여성어의 역사적 고찰 $ 아세아여성연구 5,숙명여대
유창돈 (1966) 形容詞史 $ 인문과학 14,15, 연세대
유창돈 (1967) 어근 어원의 편모 $ 청파문학 7, 숙명여대 국문과
유창돈 (1979) 이조어사전 $ 연세대 출판부
유창돈 *(1971) 「어휘사연구」 $ 선명문화사 ○
유창돈 *(1973) 「이조국어사연구」 $ 선명문화사 ○
劉昌惇 *(1980) 「國語變遷史」 $ 通文館 ○
윤정하 (1937) 어원의 일고찰 $ 정음 18-20
이강로 (1972) 인천의 옛이름 買召忽에 대한 어원적 고찰 $ 문리대 교양 강좌. 서울대 문리대
이경자 (1988) 낱말 ‘앛’ 연구 $ 어문연구 18
이관수 (1982) 우리말의 시원과 곰 토템 $ 홍익어문 1
이관수 (1983) 어휘상으로 본 고구려어와 일본 고대어 $ 홍익어문 2
이관식 (1992) 人稱代名詞의 한 祖語形 nVt의 意味와 母音交替에 의한 語辭分化 硏究 $ 경희대고황론집 11('92.12):245-258
이기문 (1954) 어사의 분화에 나타나는 Ablaut적 현상에 대하여 $ [최현배환갑]
이기문 (1957) 계림유사의 일고찰 $ [이희승 송수]
이기문 (1958*) 여진어 지명고 $ 문리대학보(서울대) 6:1
이기문 (1959) On the Breaking of *i in Korean $ 아세아연구 2:2
이기문 (1962) 중세국어의 특수 어간교체에 대하여 $ 진단학보 23
이기문 (1963) 십삼세기 중엽의 국어 자료 $ 동아문화 1
이기문 (1964) 동사어간 '앉-, 엱-'의 사적 고찰 $ [조윤제 회갑]
이기문 (1964*) Mongolian Loan-words in Middle Korean $ Ural-Altaische Jahrb cher 35
이기문 (1967) [한국어 형성사] $ 고려대 [한국문화사대계
이기문 (1968*) 고구려의 언어와 그 특징 $ 백산학보 4
이기문 (1970*) 신라어의 '福'(童)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 49,50
이기문 (1971) [訓蒙字會연구] $ 한국문화연구소
이기문 (1972*) 한자의 석에 관한 연구 $ 동아문화 11
이기문 (1973) 18세기 만주어 방언 자료 $ 진단학보 36
이기문 (1973)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비교에 대한 재검토 $ 어학연구 9:2
이기문 (1976) 고려시대의 국어의 특징 $ 동양학 6
이기문 (1977)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의 어휘 비교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동아문화 14
이기문 (1979*) 국어의 인칭대명사 $ 관악어문 3
이기문 (1980) 19세기 말엽의 국어에 대하여 $ [남광우 화갑]
이기문 (1982*) 백제어 연구와 관련된 몇 문제 $ 백제연구(충남대개교 30주년특집호)
이기문 (1985*) ‘祿大’와 ‘加達’에 대하여, $ 국어학 14
이기문 (1985*) 국어 어휘사의 한 측면 $ [역사언어학(김방한 회갑기념)]
이기문 (1989*) 고대국어 연구와 한자의 새김 문제
이기문 *(1964*) 중세국어의 몽고어 차용어 ○
이기문 *(1965*) 근세중국어 차용어에 대하여 $ 아세아연구 8:2 ○
이기문 *(1966*) 鷹鶻名의 기원적 고찰 $ [이병기 송수] ○
이기문 *(1971*) 어원 수제 $ [김형규 송수] ○
이기문 *(1978*) 어휘 차용에 대한 일고찰 $ 언어 3:1 ○
이기문 *(1980*) '글'에 관한 斷想 $ [지헌영 고희] ○
이기문 *(1983*) '아자비'와 '아ᄌᆞ미' $ 국어학 12 ○
이기문 *(1985*) 몽고어 차용어 연구$ 어학연구 21:1 ○
이기문 *(1985*) 어원연구의 방법 ○
이기문 *(1986*) 국어 어원론의 과제 ○
이기문 *(1986*) 차용어 연구의 방법 ○
이기문 *(1987*) 국어의 어원 연구에 대하여 ○
이기문 *(1990*)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촉에 대하여 ○
이기문 *(1991*) 국어 어휘사 연구 $ 동아출판사 ○
이기문 *(1991*) 국어 어휘사의 구상 ○
이기문 *(1991*) 한국어 속의 만주퉁구스제어 차용어에 대하여 ○
이기문 *(1992) 國語辭典 語源表示 $ 새국어생활 2-4 ○
이남덕 (1977) 물의 語源 $ 문학사상 62('77.11):278-284
이남덕 (1977) 한국어 비교 방법에 있어서의 동근 파생어 연구에 대하여 $ 이숭녕선생 고희기념국어국문학 논총
이남덕 (1977ㄱ) 동구란 것 의 語源, 알맹이 의 考 $ 문학사상 54('77.3):180-186
이남덕 (1977ㄴ) 동구란 것 의 語源, tamago (鷄卵)考, 韓國語源硏究 $ 문학사상 55('77.4):191-198
이남덕 (1977ㄷ) 동구란 것 의 語源, tamago (鷄卵)考, 韓國語源硏究 $ 문학사상 56('):317-321
이남덕 (1978) '줄거리'의 어원 연구 $ [허웅 환갑]
이남덕 (1978) 꽃 과 풀, 잎 과 뿌리 의 語源 $ 문학사상 74('78.11):344-350
이남덕 (1978) 산 과 들 의 語源 $ 문학사상 64('78.1):274-281
이남덕 (1978) 時間槪念語의 語源 $ 문학사상 68('78.5):266-275
이남덕 (1978) 식물 어휘의 어원, 가지(枝)고 $ 문학사상 66
이남덕 (1978) 식물어휘 의 語源, 가지(枝)考 $ 문학사상 72('78.9):301-308
이남덕 (1978) 한국인 의 空間觀念, 韓國語源硏究 $ 문학사상 66('78.3):196-204
이남덕 (1979) 야생 동물 명칭고 $ 문학사상 79
이남덕 (1979) 재배 식물 어휘의 비교 $ 문학사상 76
이남덕 (1981) 한국 새이름의 어원 (상), (중) $ 문학사상 102, 103
이남덕 (1982) 가운데 어원고 $ 북천 심여택 선생 화갑기념논총
이남덕 (1983) 色彩어휘 의 語源 ; ‘검다’와 ‘붉다’에 대하여 $ 이화어문론집 6('83.10):9-27
이남덕 (1985) 太陽 의 語源 $ 문학사상 148('85.2):390-417
이남덕 (1986) 15세기 국어의 어두 자음군계(어두 자음군계:병서표기)어휘의 어원 연구 $ 세종학연구 1(세종대왕기념사업회)
이남덕 *(1977) 韓國語 란 무엇인가, 語源硏究 의 길 을 찾아서. $ 문학사상 53('77.2):155-160 ◎
이남덕 *(1981) 韓國 새 이름의 語源(中) $ 문학사상 103('81.5):199-207 ◎
이남덕 *(1985-6) [한국어 어원연구 I - IV] $ 이화여대 출판부 ○
이돈주 (1965) 전남 지방의 지명에 관한 고찰 : 특히 suffix의 분포를 중심으로 한 시고 $ 국어국문학 29
이돈주 (1966) 전남 지방의 지명에 사용된 한자어의 분석적 연구 $ 전남대논문집 12
이등룡 (1984) 알타이 제어의 서술동사 비교연구 $ 대동문화연구 18
이병도 (1955) 아사달과 조선 $ 서울대논문집 2
이병도 (1956) 고구려 국호고 $ 서울대논문집 3
이병도 (1965) 우산 죽도 명칭고 $ 효성 조명기박사 회갑기념 불교사학논총
이병도 (1966) 두레와 그 어원에 대한 재고찰 $ [이병기송수]
이병도 (1968) ᄆᆞ을과 두레에 대하여 $ 사상계 16-4
이병선 (1972) 任那 명의에 대하여 $ 한 12 (동경 한국연구원)
이병선 (1976) 부여 국명고 $ [김형규 정년퇴임]
이병선 (1978) 위례성과 백제·십제 국명고 $ 어문학 37
이병선 (1982) 한국 고대 국명·지명 연구 $ 형설출판사
이병선 (1983) '乙支'의 어원에 대하여 $ 국어국문학(부산대) 21
이병선 (1984) 사계절명의 어원고 $ [유창균 환갑]
이병선 (1986) Seburi(背振)산과 삼각산의 명의고: puri(峰)어의 비교와 r의 탈락을 중심으로 $ 국어학신연구
이병선 (1986) 韓國語 語源 硏究, 李男德 著 〈書評〉$ 국어생활 6('86.9):124-128
이상복 (1992) 국어의 조어법 연구 $ 한글 215('92.3):51-123
이성주 *(1938) 약간의 어원 분석 $ 한글 6:6 (통권 57) ◎
이수신 (1985) 하느님과 하나님 $ 말과 글 23·24합집
이숭녕 (1940) 시간어휘에 대하여(1)-(2) $ 한글 8:4 / 8:5
이숭녕 (1946) 언어연구에서 본 人名考 $ 한글 11:5
이숭녕 (1955) 한일 양어의 어휘 비교 시고 : 분뇨어를 중심으로 $ 학술원회보 1
이숭녕 (1959) 'ᄒᆞᄫᆞᅀᆞ'攷 $ 어문학 4
이숭녕 (1961) [국어조어론고] $ 서울:을유문화사
이숭녕 (1964) 黃胤錫의 理藪新編의 고찰 $ [조윤제 회갑]
이숭녕 (1968) '공번되다' 註釋攷 $ 경향잡지 4
이숭녕 (1969) '과ᄃᆡ여' 攷 $ [김재원 회갑]
이숭녕 (1971) 백제어 연구와 자료면의 문제점 $ 백제연구 2
이숭녕 (1972) 국어에 반영된 중국문화의 어휘론적 고찰 $ 문리대교양강좌, 서울대 문리과대학
李崇寧 *(1935) 魚命雜考, $ 진단학보 2호 ◎
이애주 (1976) 춤사위 어휘고 $ 관악어문연구
이영수 (1989) 설날의 語原을 생각해 본다 $ 원광대향토문화연구 5('89.6):27-30
李殷相 *(1935) 甲串의 語義, $ 조선일보 ◎
李殷相 *(1935) 압록강의 명칭, $ 조선일보 ◎
이일영 (1976) 윷의 유래와 명칭에 관한 고찰 $ 한국학보 2
이재숙 (1977) 韓․日兩國 數詞 의 語源究明 $ 대한전기협회지 8('76.3):18-22
이재숙 (1977) 韓․日兩國 數詞 의 語源究明 $ 대한전기협회지 9('76.6):4-7
이재숙 (1978) 韓日兩國數詞 의 語源究明 $ 자유 69('78.2):115-121
이재숙 (1978) 韓日兩國 人體語 의 語源 究明 $ 기술사 42('78.6):5-9
이재숙 (1989) 한일 양국어의 동계론 $ 과학하
이제민 (1993) 語源을 通해서 본 本堂神父 實存 $ 광주가톨릭대신학전망 101('93.6):2-21
이종철 (1981) 華音方言字義解에서 본 몇 가지 국어 어원에 대하여 $ 국어교육 38
이철수 (1983) 地名言語學 硏究序說 Ⅱ ; 地名語源論 을 中心 으로 $ 인하대인문과학연구소론문집 9('83.9):39-55
이철수 *(1994) “漢語 原音借用의 外來語에 대하여” $ 남천 박갑수선생 화갑기념논문집 ○
이탁 (1946)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桓河문화의 관계 $ 한글 11권 3.4.5호
이탁 (1946) 호칭의 말과 인사의 말에 대하여 $ 한글 11:1
이탁 (1947)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桓河무화의 관계 $ 한글 12권 2.3.4호
이탁 (1952) 추상어의 발달원칙과 이에 의거한 연구의 일단 $ 국문학 1권 9호 (서울대 사범대)
이탁 (1956) 한국어와 중국어에 공통한 계통적 음운법칙 몇 가지 $ 한글 통권 118호
이탁 (1957) 음운법칙과 어원 밝히기 $ 국어교육 29
이탁 (1959) 언어상으로 고찰한 우리 고대 사회상의 편모 $ 한글 통권 124호
이탁 (1963) Eleven Twelve Antagonist 및 Language의 어원에 대한 새로운 고찰 $ 동박학지 7집
이탁 (1964) A New Etymological Study of the English Word 'Eleven, Twelve, Antagonist' and 'La$ 국어교육 8호
이탁 (1965) '강강수월래'의 유래 $ 국어교육 11,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탁 (1967) 국어 어원풀이의 일단 $ 한글 140
이현희 (1987) 용언어간의 조어론적 고찰 $ 진단학보 63
이혜구 (1953) '시나위'와 '사뇌'에 대한 고찰 $ 국어국문학 8
이훈종 (1974) 어원을 통해서 본 한국인의 모습 $ 문학사항 19
이희승 *(1932) 지명연구의 필요 $ 한글 1:2 ◎
임동권 (1969) 아리랑의 기원에 대하여 $ 한국민속학 창간호
임해영 (1991.8) 어휘학습을 위한 영어어원분석 $ 중앙대 교육 석사
장기성 (1993) 言語借用에 關한 硏究 Ⅳ;造語,語彙 및 意味論的 層位를 중심으로 $ 효성녀대연구론문집 46('93.2):73-96
장태진 (1968) 방향에관한 風名어휘연구 $ 국어국문학 41
장태진 (1969) 물고기 이름의 어휘 연구 : $ 한글 143
전몽수 (1939-40) 고어 연구초 $ 한글 7:3-8:3
전몽수 (1940) '신라'의 명의 $ 한글 8:4
전몽수 (1941) 菜名攷 (1),(2) $ 한글 통권 85,86
전몽수 (1941) 彩色 語彙考 (1),(2),(3) $ 한글 통권 88, 89, 90
전몽수 (1942) 菓名考(1),(2) $ 한글 통권 91,92
전몽수 *(1937) 고어연구(상) $ 한글 5:8 ◎
전몽수 *(1937) 고어연구(하) $ 한글 5:9 ◎
전몽수 *(1937) 고어이제 $ 한글 5:11 ◎
전몽수 *(1938) 어원고(三) $ 한글 6:7 ◎
전몽수 *(1938) 어원고(二) $ 한글 6:5 ◎
전몽수 *(1938) 어원고(一) $ 한글 6:4 ◎
전몽수 *(1939), 古語硏究草(一) $ 한글 7:3(통65) ◎
전재호 (1973) '겨집'과 '안해'의 의미변천 $ [김사엽송수]
전재호 (1987) [국어어휘사연구] $ 경북대 출판부
정동화 (1977) 아리랑 어원고 $ 국어국문학 76
정동화 (1979) 아리랑 어원에 대한 연구 $ 국어국문학 81
鄭文基 *(1936) 명태의 이름과 어원, $ 한글 4권 5호 ◎
정윤수 (1993.2) 「개구리」의 方言 分布와 語源 硏究 $ 경희대 교육 석사
정익종 (1983.8) 한국산 약용식물의 학명어원에 관한 통계적 고찰 $ 경상대교육 석사
정인상 (1993) 국어의 조어법에 대한 연구 $ 충북대인문학지 8('92.12):19-57
정제문 (1986) 할하몽골어 문법용어의 모음과 그 조어법에 대한 고찰 $ 한글 194('86.12):261-295
정중환 (1956) 辰國三韓及伽羅 명칭고 $ 부산대 15주년기념 논문집
정치훈 (1991) 韓國語와 日本語의 語原에 관한 考察 $ 중앙대일본연구 (중앙대일본연구) 6('91.2):31-47
정호완 (1985) 의존명사 의 조어론적 영향 $ 대구대인문과학연구 3('85.2):141-168
조남신 (1990) 造語意味와 그 表現手段 $ 어문연구(일조각) 67('90.11):312-327
조남신 (1992) 쏘비에트 조어론에 대한 고찰 $ 한글 212('91.6):173-202
조동탁 (1939) 어원 소고 $ 동아일보 10/4,10/5
趙東卓 *(1939) 어원 소고, $ 한글 73호 ◎
趙東卓 *(1955) 新羅國號硏究論考, $ 고대50주년기념논문집 ◎
趙東卓 *(1964) 멋의 연구, $ 한국인과 문학사상 ◎
조영돈 (1992.2) 國語 親戚語에 대한 硏究 : 어원 및 형태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 조선대 석사
조완묵 (1984) 태拳道 語源 에 관한 史的 考察 $ 체육 (체육) 192('84.7):72-75
조용욱 (1981) 海事英語 의 語源探査11 $ 해양한국 (해양한국) 93('81.6):92-93
조원묵 (1984) 태권도 어원에 대한 사전 고찰 $ 체육 192
조지훈 (1955) 신라 국호 연구 논고 : 신라 어의고 $ 고대 50주년기념 논문집
조항범 *(1984) 국어 유의어의 통시적 고찰 $ 국어연구 58 ○
조항범 *(1994) “語源 硏究 數題(1)” $ 연산 도수희 선생 화갑기념 논총 ◎
조혜란 (1986) 人智의神話時代와歷史時代;韓國語語源硏究가照明한原型批評의가능성에 대하여 $ 이대대학원연구논집14 :38-51
증광평(김제복 역) (1992) 古代 漢語詞語의 語源에 관한 고찰 $ 중국어문학 19('91.12):345-354
지춘수 (1970) 국어 문헌에 나타난 마구 명칭에 대하여 $ 한글 145,146
지춘수 (1987) 어원 산고 $ [장태진 회갑]
지헌영 (1962) 거서간,차차웅,니사금에 대하여 $ 어문학 8
진태하 (1975) [계림유사연구] $ 탑출판사
진태하 *(1978) 고유어화된 한자 접미사 자(子)에 대하여 $ 언어학 3 ◎
차일로 (1941) 시골말에서 찾아본 어의 $ 한글 9:3
천소영 (1983) 고대국어의 음절말자음에 대한 고찰 $ 홍익어문 2
천소영 (1983) 받침後生論의 가능성 재고 $ 수원대 논문집 1
천소영 (1986) '돼지'의 어원에 대하여 : 고대국어 종미음 [-t-]계 어사와 관련하여 $ 기전어문학(수원대 국문과)
천소영 (1986) ‘설(元旦)’계 어사에 대하여 $ 어문논집 26, 고대국문과
천소영 (1988) 古代人의 姓名考 $ 기전어문학 2집
천소영 (1989) 고대 관직명고 $ 기전어문학 3
천소영 (1989) 古代官職名考 $ 기전어문학 3집
寸山七郞 (1986) 한국어의 어원 $ 한국문화 19(79?)
최기인 (1987) 외래어와 조어의 공해 $ 새농민 303('87.1):54-55
최남희 (1993) 고대 국어의 조어법 연구 $ 한글 220('93.6):109-152
최령애 (1991) 中國 古代 音韻學에서 본 韓國語 語源 問題 $ 연세대동방학지 67('90.9):309-340
최범훈 (1973) 고유어 지명 연구 $ [이은상 고희]
최범훈 (1977) 漢字借用表記體系硏究 $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최범훈 (1980) '서울'의 古名藁 $ [남광우 회갑]
최범훈 (1982) '아기'의 차용표기에 대하여 $ 어문연구 11
최범훈 (1983) 제주도 특수지명에 대하여 $ [황희영 송수]
최범훈 *(1987) “‘말티’재의 지명고” $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
최병진 (1988) 관용구를 바탕으로 하는 파생명사 분류 $ 한국외국어대 석사
최상범 (1988) 木本造景植物의 學名 語源에 關한 硏究 $ 동국대농림과학론문집 12('88.2):157-188
최상범 (1993) 造景植物의 學名에서 種名의 語源 硏究 $ 한국조경학회지 50('93.7):8-16
최상진 (1986) 어휘 '물'의 동근파생어 비교 연구 $ [서정범 화갑]
최원기 (1986) 日語カラ(韓,唐,漢,外國)의 語源考 $ 부산개방대론문집 28,1('86.12):19-27
최창렬 (1976) 국어투명어유형고 $ 김형규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
최창렬 (1984) 풀(草)을 어원 으로 하는 말들 $ 새교육 362('84.12):103-105
최창렬 (1984) 한국어 어원탐색 시고 - 새로 익은 우리말의 어원 추적 $ 어학 11, 전북대 어학연구소
최창렬 (1985) '가르치다'의 어원적 의미 $ 선오당 김형기선생 팔질기념국어학논총
최창렬 (1985) '무명'과 '누비' $ 새교육 370
최창렬 (1985) ‘가르치다’의 어원적 의미 $ 선오당 김형기선생 팔질기념국어학논총
최창렬 (1985) 민간어원설 반론 $ [천시권 화갑]
최창렬 (1985) 우리말 색채어의 어원적 의미 $ [박태권 회갑]
최창렬 (1985) 우리말 친족어의 어원적 의미 $ 국어교육 51,5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창렬 (1985) 한자 귀화어의 어원적 의미 $ 어학(전북대) 12
최창렬 (1985*) 우리말 시간 계열어의 어원적 의미 $ 한글 188
최창렬 (1986) '논두렁'과 '마지기'의 어원적 의미 $ 어학 13
최창렬 (1986) 「논두렁」과 「마지기」의 語源的 意味 $ 전북대어학 13
최창렬 (1986) 시집살이 문화 어위의 어원적 의미 $ 국어학신연구
최창렬 (1986) 어원 추적과 의미망 $ 어문논총 9 (전남대 어문학 연구회)
최창렬 (1986) 우리말 '보름'이름의 어원적 의미 $ 백민 전재호박사 회갑기념국어학논총
최창렬 (1986) 우리말 ‘보름’ 이름의 어원적 의미 $ 백민 전재호박사 회갑기념국어학논총
최창렬 (1986) 우리말 생명 관련 어휘의 語源的 意味 $ 국어교육 55,56합
최창렬 (1987) [어원의 오솔길] $ 한샘
최창렬 (1987) 도토리와 다람쥐의 어원적 의미 $ 장태진박사 회갑기념국어국문학논총
최창렬 (1987) 송곳의 어원적 의미 $ 국어교육 59·60
최창렬 (1987) 아름다운 착각 속에 묻힌 어원들 $ 전북대어학 14
최창렬 (1988) ‘돌아가시다’의 어원적 의미 $ 화술 40
최창렬 (1988) 봄 계절식 이름의 어원적 의미 $ 선청어문 16․17합
최창렬 (1988) 어원 수제 $ 태인 이규선목사 회갑기념논문집
최창렬 (1988) 초여름 계절식 이름의 어원 $ 전북대어학 15
최창렬 (1989) [아름다운 민속어원] $ 신아출판사
최창렬 (1989) 납향제의 어원적 의미 $ 제효 이용주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최창렬 (1989) 복더위 계절식 이름의 어원적 의미 $ 이화어문론집 10
최창렬 (1989) 액막이 연의 어원적 의미 $ 송하 이종출박사 화갑기념논문집
최창렬 (1989) 우리말 반상 어휘의 어원적 의미 Ⅰ;$ 한글 204
최창렬 (1989) 칠석과 백중의 어원적 의미 $ 이정 정연찬 선생 회갑기념 국어국문학논총 III
최창렬 (1989) 風神祭와 先農祭의 민속과 어원 $ 전북대어학 16
최창렬 (1991) 연의 이름과 어원 $ 전북대어학 18('91.9):5-15
최창렬 (1992) 우리말의 어원과 국어교육 $ 전북대어학 19('92.7):39-47
최창렬 *(1984*) 우리말 계절풍 이름의 어원적 의미 $ 한글 183 ○
최창렬 *(1985*) 한국 어원학의 전망 $ 교육논총 5 ○
최창렬 *(1986) ‘돌아가시다’의 어원적 의미 $ 한글새소식 165 ○
최창렬 *(1986*) 「우리말 어원연구」 $ 일지사 ○
최창렬 *(1993) 어원산책 $ 한신문화사 ○
최창렬 *(1994) “‘무릇·모름지기·메아리’”의 어원 $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 기념 논문집 ◎
최학근 (1959) G.J.Ramstedt씨의 한글 어원 연구 $ 한글 125
최학근 (1959) 동사 '붓도도다'의 어원론적 고찰 $ 한글 124
최학근 (1988) ‘시라기,‘서울’ 語源考 $ 선청어문 16·17합
최현배 (1959) '조선'의 말밑 $ 인문과학 4, 연세대 문과대학
최현배 (1963) 다시 조선의 말밑에 대하여 $ 인문과학 10, 연세대
표문화 (1953) 조선어원에 대한 일고 $ 자유세계 14
한경수 (1990) 觀光의 語原 및 用例에 관한 歷史的 考察 $ 관광학연구 13
한진곤 (1990) [朝鮮語詞源探考] $ 연길:연변인민출판사
허영호 (1931) 절(寺)의 어원에 대하여 $ 불교 2, 불교 86
허영호 (1946) 낙랑어의고 $ 한글 100
허영호 (1949) 味覺觀語源記(一) $ 신천지 4:10
허영호 (1950) 군장관 : 어원기 $ 신천지 5:4. 서울신문사
허영호 (1950) 천지 일월관 : 어원기 $ 신천지 5:5. 서울신문사
허영호 (1950) 許數觀語源記(二), (三) $ 신천지 5:1,2
허영호 (1950) 화풍관 : 어원기 $ 신천지 5:3. 서울신문사
현평효 (1962) [제주도방언연구:자료편] $ 정연사 (精硏社)
현평효 (1962) [제주도방언연구:자료편] $ 精硏社
현평효 (1968) '나물' 어사에 대한 어원적 고찰 $ 제주도 37
현평효 (1969) 제주도 방언 '나무'·'나물' $ 국어국문학 논문집 7,8, 동국대 국문과
현평효 (1972) '耽羅'의 어의에 대하여 $ 제주도 53
홍기문 (1934) 친족명칭의연구(1)-(13) $ 조선일보 5/27, 29, 30, 31 ; 6/1, 2, 3, 7, 8, 9, 12,
洪起文 *(1946) 조선문화총화 ◎
홍사만 *(1985) 國語語彙意味硏究 $ 학문사 ◎
황희영 (1978) 초간 첩해신어의 우리말 조어고, 韓國 近世語 語形 硏究 $ 한국학 15@16('77.12):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