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목 : 아담의 창조 |
설명 : 미켈란젤로(Michelangelo) 작, (1510), 프레스코, 280 x 570, 바티칸 시스틴 경당 |
성경 : 창세기 1,26-30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당신의 모습으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하느님의 모습으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로 그들을 창조하셨다. | |
|
 |
|
제목 : 이브의 창조 |
설명 : 미켈란젤로(Michelangelo) 작, (1509-10), 프레스코, 170 x 260, 바티칸 시스틴 경당 |
성경 : 창세기 2,20-25 주 하느님께서 사람에게서 빼내신 갈빗대로 여자를 지으시고, 그를 사람에게 데려오시자, | | |
 |
|
제목 : 동물의 창조 |
설명 : 마스터(Master Bertram) 작, (1383), 목판 페인트화, 함부르크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1,20-28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들짐승을 제 종류대로, 집짐승을 제 종류대로, 땅바닥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제 종류대로 만드셨다. 하느님께서 보시니 좋았다. | |
 |
|
제목 : 동물의 창조 |
설명 : 라파엘로(Raffaelo Sanzio) 작, (1518-1519), 프레스코, 바티칸 폰티피치 궁전 |
성경 : 창세기 1,20-25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들짐승을 제 종류대로, 집짐승을 제 종류대로, 땅바닥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제 종류대로 만드셨다. 하느님께서 보시니 좋았다. | |
|
 |
|
제목 : 동물의 창조와 아담의 창조 |
설명 : 우첼로(Uccello, Paolo) 작, (1432-1436), 프레스코, 244 x 478, 피렌체 성 마리아 수도원(?) 회랑 |
성경 : 창세기 1,20-28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그래서 그가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과 땅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다스리게 하자.” | |
|
 |
|
제목 : 동물의 창조 |
설명 : 틴토레토(Tintoretto) 작, (1550), 캔버스 유화, 151 x 258, 베니스 아카데미아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1,20-25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들짐승을 제 종류대로, 집짐승을 제 종류대로, 땅바닥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제 종류대로 만드셨다. 하느님께서 보시니 좋았다. | | |
|
 |
|
제목 : 천지창조와 낙원으로부터의 추방 |
설명 : 죠반니(Giovanni di Paolo) 작, (1445), 목판에 템페라와 금, 46, 4 x 52,1cm,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1,1-2,24 그래서 주 하느님께서는 그를 에덴 동산에서 내치시어, 그가 생겨 나온 흙을 일구게 하셨다. | | |
|
 |
|
제목 : 하와의 창조와 원죄 |
설명 : 우첼로(Uccello, Paolo) 작, (1432-1436), 프레스코, 피렌체 성 마리아 수도원(?) 회랑 |
성경 : 창세기 2,20-3,24 여자가 쳐다보니 그 나무 열매는 먹음직하고 소담스러워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은 슬기롭게 해 줄 것처럼 탐스러웠다. 그래서 여자가 열매 하나를 따서 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자, 그도 그것을 먹었다. | | |
 |
|
제목 : 아담과 하와의 추방 |
설명 : 마사초(Masaccio) 작, |
성경 : 창세기 3,17-24 아브라함이 포피를 베어 할례를 받았을 때, 그의 나이는 아흔아홉 살이었고, | |
 |
|
제목 : 아담과 하와의 추방 |
설명 : |
성경 : 창세기 3,17-24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된다. | |
 |
|
제목 : 원죄(창세3) |
설명 : 마솔리노(Masolino) 작, |
성경 : 창세기 3,1-19 여자가 쳐다보니 그 나무 열매는 먹음직하고 소담스러워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은 슬기롭게 해 줄 것처럼 탐스러웠다. 그래서 여자가 열매 하나를 따서 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자, 그도 그것을 먹었다. | |
|
 |
|
제목 : 카인(창세 4) |
설명 : 티치아노(Tiziano) 작, |
성경 : 창세기 4,1-26 카인이 아우 아벨에게 “ 들에 나가자.” 하고 말하였다. 그들이 들에 있을 때, 카인이 자기 아우 아벨에게 덤벼들어 그를 죽였다. | |
 |
|
제목 : 바벨탑 |
설명 : 브뢰헬(Peter Bruegel) 작, (1563), 목판 유화, 114x154, 빈 미술사 박물관 |
성경 : 창세기 11,1-8 그들은 또 말하였다. “ 자, 성읍을 세우고 꼭대기가 하늘까지 닿는 탑을 세워 이름을 날리자. 그렇게 해서 우리가 온 땅으로 흩어지지 않게 하자.” | |
|
 |
|
제목 : 아브라함의 가나안 여정 |
설명 : 라스트만(Lastman, Pieter Pietersz) 작, (1614), 캔버스 유화, 72 x 122,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쥐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17,1-27 나는 네가 나그네살이하는 이 땅, 곧 가나안 땅 전체를 너와 네 뒤에 오는 후손들에게 영원한 소유로 주고, 그들에게 하느님이 되어 주겠다.” | |
 |
|
제목 : 아브라함과 멜키세덱의 만남(창세14,17-19) |
설명 : 보우츠(Bouts) 작, (1464-1467), 목판 유화, 루뱅 Sint-Pieterskerk, |
성경 : 창세기 14,14-24 살렘 임금 멜키체덱도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다.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사제였다 | |
|
 |
|
제목 : 아브라함이 하갈과 이스마엘을 쫓아냄(창세21) |
설명 : 게르치노(Guercino) 작, (1657), 캔버스 유화, 115 x 154, 밀라노 브레라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21,9-16 아브라함은 아침 일찍 일어나 빵과 물 한 가죽 부대를 가져다 하가르에게 주어 어깨에 메게 하고는, 그를 아기와 함께 내보냈다. 길을 나선 하가르는 브에르 세바 광야에서 헤매게 되었다. | | |
|
 |
|
제목 : 아브라함에게 쫓겨나는 하갈과 이스마엘 |
설명 : 베르하겐(Verhaghen, Pieter Jozef) 작, (1781), 캔버스 유화, 168 x 195, 안트워프 코닌클리즈크 미술박물관 |
성경 : 창세기 21,9-16 아브라함은 아침 일찍 일어나 빵과 물 한 가죽 부대를 가져다 하가르에게 주어 어깨에 메게 하고는, 그를 아기와 함께 내보냈다. 길을 나선 하가르는 브에르 세바 광야에서 헤매게 되었다. | | |
 |
|
제목 : 아브라함의 제사 |
설명 : 렘브란트 작, (1635), 캔버스 유화, 193 x 133,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쥐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22,1-13 아브라함이 손을 뻗쳐 칼을 잡고 자기 아들을 죽이려 하였다. | |
 |
|
제목 : 아브라함의 제사 |
설명 : 안드레아 델 사르토(Andrea del Sarto) 작, 포플러, 213 x 159, 드레스덴 게말데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22,1-13 아브라함이 손을 뻗쳐 칼을 잡고 자기 아들을 죽이려 하였다. | |
|
 |
|
제목 : 이사악을 제물로 바치는 아브라함 |
설명 : La Hire, Laurent de 작, (1650), 캔버스 유화, 라임 성 데니스 박물관 |
성경 : 창세기 22,1-14 아브라함이 손을 뻗쳐 칼을 잡고 자기 아들을 죽이려 하였다. | | |
 |
|
제목 : 야곱의 꿈(창세 28) |
설명 : |
성경 : 창세기 28,10-18 꿈을 꾸었다. 그가 보니 땅에 층계가 세워져 있고 그 꼭대기는 하늘에 닿아 있는데, 하느님의 천사들이 그 층계를 오르내리고 있었다. | |
 |
|
제목 : 이사악과 야곱(창세 27) |
설명 : 조토(Giotto) 작, (1290-1295), 프레스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
성경 : 창세기 27,1-29 그가 가까이 가서 입을 맞추자, 이사악은 그의 옷에서 나는 냄새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였다. “ 보아라, 내 아들의 냄새는 주님께서 복을 내리신 들의 냄새 같구나. | |
|
 |
|
제목 : 이사악이 야곱을 축복하다(창세27) |
설명 : 조토(Giotto) 작, (1290-1295), 프레스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 |
성경 : 창세기 27,1-29 그가 가까이 가서 입을 맞추자, 이사악은 그의 옷에서 나는 냄새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였다. “ 보아라, 내 아들의 냄새는 주님께서 복을 내리신 들의 냄새 같구나. | | |
|
 |
|
제목 : 요셉의 피묻은 옷을 야곱에게 보여줌(창세 37) |
설명 : 벨라스케스(Velazquez, Diego) 작, (1630), 캔버스 유화, 223 x 250cm, 엘 에스코리알 성 로렌조 수도원 |
성경 : 창세기 37,13-34 그가 그것을 살펴보다 말하였다. “ 내 아들의 저고리다. 사나운 짐승이 잡아먹었구나. 요셉이 찢겨 죽은 게 틀림없다.” | | |
 |
|
제목 : 요셉을 고소하는 보디발의 아내(창세39)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55), 캔버스 유화, 106 x 98cm, 워싱턴 국립 미술관 |
성경 : 창세기 39,14-20 그에게 같은 말로 이르는 것이었다. “ 당신이 데려다 놓으신 저 히브리 종이 나를 희롱하려고 나에게 다가오지 않겠어요? | |
|
 |
|
제목 : 요셉의 아들들을 축복하는 야곱(창세48)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56), 캔버스유화, 175,5 x 210,5, 카쎌 국립미술관 |
성경 : 창세기 48,12-22 이스라엘이 요셉에게 축복하였다. “ 저의 조상 아브라함과 이사악을 당신 앞에서 살아가게 하신 하느님, 제가 사는 동안 지금까지 늘 저의 목자가 되어 주신 하느님, | | |
|
 |
|
제목 : 모세를 탈출시킴(출애굽 2) |
설명 : 푸생(Poussin, Nicolas) 작, (1650), 캔버스유화, 105 x 204cm, 옥스포드 애슈몰리언 박물관 |
성경 : 탈출기 1,11-22 이집트 임금이 히브리 산파들에게 말하였다. 그들 가운데 한 여자의 이름은 시프라였고 다른 여자의 이름은 푸아였다. | | |
 |
|
제목 : 모세의 발견 |
설명 : 끌로드 로랭 작, (1637-1639), 캔버스유화, 209 x 138,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
성경 : 탈출기 2,1-10 그것을 열어 보니 아기가 울고 있었다. 공주는 그 아기를 불쌍히 여기며, “ 이 아기는 히브리인들의 아이 가운데 하나로구나.” 하였다. | |
|
 |
|
제목 : 모세의 발견 |
설명 : 겐틸레스키(Gentileschi, Orazio) 작, (1630-1633), 캔버스유화, 242 x 281cm,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
성경 : 탈출기 2,1-10 그것을 열어 보니 아기가 울고 있었다. 공주는 그 아기를 불쌍히 여기며, “ 이 아기는 히브리인들의 아이 가운데 하나로구나.” 하였다. | |
|
 |
|
제목 : 어린 모세(출애굽 2)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캔버스유화, |
성경 : 탈출기 2,9-10 아이가 자라자 그 여인은 아이를 파라오의 딸에게 데려갔다. 공주는 그 아이를 아들로 삼고, “ 내가 그를 물에서 건져 냈다.” 하면서 그 이름을 모세라 하였다. | | |
 |
|
제목 : 불타는 떨기나무 앞의 모세(출애굽3) |
설명 : 페티(Feti, Domenico) 작, (1613-14), 캔버스 유화, 168 x 112, 빈 미술사 박물관 |
성경 : 탈출기 3,1-12 주님께서 말씀하셨다. “ 이리 가까이 오지 마라. 네가 서 있는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어라.” | |
 |
|
제목 : 십계명을 받은 모세 |
설명 : 레니(Reni, Guido) 작, (1600-10), 캔버스유화, 로마 보르게세 미술관 |
성경 : 탈출기 20,1-26 그러나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이들에게는 천대에 이르기까지 자애를 베푼다. | |
 |
|
제목 : 모세(Moses) |
설명 : 미켈란젤로(Michelangelo) 작, (1515), 대리석상, 높이 235 cm, 로마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 |
성경 : - |
|
 |
|
제목 : 모세가 바위를 쳐서 물이 솟게 함(출애굽17) |
설명 : 카스텔로(Castello, Valerio) 작, 캔버스 유화,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탈출기 17,1-7 이제 내가 저기 호렙의 바위 위에서 네 앞에 서 있겠다. 네가 그 바위를 치면 그곳에서 물이 터져 나와, 백성이 그것을 마시게 될 것이다.” 모세는 이스라엘의 원로들이 보는 앞에서 그대로 하였다. | | |
|
 |
|
제목 : 황금송아지 숭배(출애굽32) |
설명 : |
성경 : 탈출기 32,1-6 아론이 그들에게 “ 여러분의 아내와 아들딸들의 귀에 걸린 금 고리들을 빼서 나에게 가져오시오.” 하자, | |
|
|
 |
|
제목 : 모세와 구리뱀 |
설명 : Bourdon, Sebastien 작, (1653-54), 캔버스유화, 89 x 105 cm,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
성경 : 민수기 21,1-9 그리하여 모세는 구리 뱀을 만들어 그것을 기둥 위에 달아 놓았다. 뱀이 사람을 물었을 때, 그 사람이 구리 뱀을 쳐다보면 살아났다. | | |
 |
|
제목 : 발람의 당나귀(민수 22)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26), 패널 유화, 63 x 46,5, 파리 Cognacq-Jay 박물관 |
성경 : 민수기 22,22-41 그때에 주님께서 나귀의 입을 열어 주시니, 나귀가 발라암에게 말하였다. “ 내가 당신께 어쨌기에, 나를 이렇게 세 번씩이나 때리십니까?” | |
|
 |
|
제목 : 삼손의 결혼잔치(판관14)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38), 캔버스유화, |
성경 : 판관기 14,1-20 삼손은 그 여자에게 내려가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 여자가 삼손의 마음에 들었던 것이다. | |
|
|
 |
|
제목 : 삼손의 결혼잔치(판관14)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38), 캔버스유화, |
성경 : 판관기 14,1-20 삼손은 그 여자에게 내려가서 그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 여자가 삼손의 마음에 들었던 것이다. | |
 |
|
제목 : 눈이 멀게 된 삼손(판관16)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36), 캔버스유화, 236 x 302, 프랑크푸르트 시립미술관 |
성경 : 판관기 16,1-31 필리스티아인들은 그를 붙잡아 그의 눈을 후벼 낸 다음, 가자로 끌고 내려가서 청동 사슬로 묶어, 감옥에서 연자매를 돌리게 하였다. | |
|
 |
|
제목 : 룻과 보아즈 |
설명 : 푸생(Poussin, Nicolas) 작, (1660-1664), 캔버스유화, 118 x 160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룻기 2,1-20 보아즈가 룻에게 말하였다. “ 내 딸아, 들어라. 이삭을 주우러 다른 밭으로 갈 것 없다. 여기에서 멀리 가지 말고 내 여종들 곁에 있어라. | |
 |
|
제목 : 소년 다윗 |
설명 : 카라바죠(Caravaggio) 작, (1606-1607), 목판 유화, 90,5 x 116cm, 빈 미술사 박물관 |
성경 : 사무엘기 상권 16,1-12 그래서 이사이는 사람을 보내어 그를 데려왔다. 그는 볼이 불그레하고 눈매가 아름다운 잘생긴 아이였다. 주님께서 “ 바로 이 아이다. 일어나 이 아이에게 기름을 부어라.” 하고 말씀하셨다. | |
|
 |
|
제목 : 사울과 다윗(1사무16)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55-1660), 캔버스유화, 130,5 x 164cm, 헤이그 마우리츠호이즈 미술관 |
성경 : 룻기 16,1-23
| |
 |
|
제목 : 다윗왕과 압살롬의 화해 |
설명 : 렘브란트 작, (1642), 목판 유화, 73 x 61.5 cm,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쥐 미술관 |
성경 : 사무엘기 하권 14,33 그리하여 요압이 임금에게 나아가 사정을 아뢰니 임금이 압살롬을 불렀다. 압살롬은 임금에게 나아가 그 앞에서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려 절하였다. 그러자 임금은 압살롬에게 입을 맞추었다. | |
|
 |
|
제목 : 목욕하는 바쎄바(2사무11) |
설명 : 렘브란트 작, (1654), 캔버스유화, 142 x 142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사무엘기 하권 11,2 저녁때에 다윗은 잠자리에서 일어나 왕궁의 옥상을 거닐다가, 한 여인이 목욕하는 것을 옥상에서 내려다보게 되었다. 그 여인은 매우 아름다웠다. | |
 |
|
제목 : 다윗과 우리야(2사무11) |
설명 : 렘브란트 작, (1665), 캔버스유화, 127 x 117cm, 상트 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쥐 미술관 |
성경 : 열왕기 상권 15,5 다윗은 히타이트 사람 우리야 사건 말고는, 주님의 눈에 드는 옳은 일만 하였으며, 살아 있는 동안 내내 주님께서 명령하신 것을 하나도 어기지 않았다. | |
 |
|
제목 : 예루살렘의 멸망을 슬퍼하는 예레미야 |
설명 : 렘브란트 작, (1630), 패널 유화, 58,3 x 46,6 cm, 암스테르담 미술관 |
성경 : - | |
|
 |
|
제목 : 수산나와 두 노인 |
설명 : 렘브란트 작, (1647), 캔버스유화, 76 x 91cm, 베를린 국립박물관 |
성경 : 다니엘서 13장
|
|
 |
|
제목 : 벨사살의 향연 |
설명 : 렘브란트 작, (1635), 캔버스유화, 168 x 209cm, 런던 국립미술관 |
성경 : 다니엘서 5장
| |
 |
|
제목 : 아내에게 염소를 훔쳤다고 나무라는 토빗 |
설명 : 렘브란트 작, (1626), 캔버스유화, |
성경 : 토빗기
|
 |
|
제목 : 토비아를 떠나는 천사 라파엘 |
설명 : 렘브란트(Rembrandt) 작, (1637), 목판 유화,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토빗기 12장
|
|
 |
|
제목 : 솔로몬의 꿈 |
설명 : 조다노(Giodano, Luca) 작, (1693), 캔버스유화, 245 x 361cm,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
성경 : 열왕기 상권 3장
| |
|
 |
|
제목 : 솔로몬의 재판 |
설명 : 푸생(Poussin, Nicolas) 작, (1649), 캔버스유화, 101 x 150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열왕기 상권 3장
| | |
 |
|
제목 : 솔로몬의 재판 |
설명 : 라파엘로(Raffaelo Sanzio) 작, (1518-1519), 프레스코, 바티칸 폰티피치 궁 |
성경 : 열왕기 상권
| |
|
 |
|
제목 : 사자굴 속의 다니엘(다니6) |
설명 : 루벤스(Rubens, Pieter Pauwel) 작, (1615), 캔버스유화, 224.3 x 330.4cm, 워싱턴 국립 미술관 |
성경 : 다니엘서 14,31-42 사람들은 다니엘을 사자 굴에 던져 버렸다. 다니엘은 그곳에서 엿새 동안 지냈다. | | |
|
 |
|
제목 : 다니엘의 환상(수양과 수염소) |
설명 : 드로스트(Drost, Willem) 작, (1650), 캔버스유화, 베를린 국립박물관 |
성경 : 다니엘서 9장 15-26절 그러니 이제 저희의 하느님, 당신 종의 기도와 간청을 들어 주십시오. 주님, 당신 자신을 생각하시어 황폐한 당신의 성소에 당신 얼굴의 빛을 비추십시오. | | |
 |
|
제목 :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딧 |
설명 : 겐텔레스키(Gentileschi, Artemisia) 작, (1612-1621), 캔버스유화, 199 x 162cm,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
성경 : 유딧기 13장 7-8절 그리고 침상으로 다가가 그의 머리털을 잡고, “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 오늘 저에게 힘을 주십시오.” 하고 말한 다음, | | |
|
 |
|
제목 :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딧 |
설명 : 카라바죠(Caravaggio) 작, (1598), 캔버스유화, 145 x 195, 로마 국립미술관 |
성경 : 유딧기 13장 7-8절 그리고 침상으로 다가가 그의 머리털을 잡고, “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 오늘 저에게 힘을 주십시오.” 하고 말한 다음, | |
 |
|
제목 : 베툴리아로 돌아가는 유딧 |
설명 : 보티첼리(Botticelli, Sandro) 작, (1472), 패널 유화, 31 x 24cm,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
성경 : 유딧기 13장 10절 여종은 그것을 자기의 음식 자루에 집어넣었다. 그 두 사람은 기도하러 다닐 때처럼 함께 밖으로 나갔다. 그리고 진영을 가로지른 다음에 그곳의 골짜기를 돌아서 배툴리아 산으로 올라가 마침내 그곳 성문에 다다랐다. | |
|
 |
|
제목 : 에스델의 실신 |
설명 : Coypel, Antoine 작, (1704), 캔버스유화, 105 x 137, 파리 루브르 박물관 |
성경 : 에스테르기 8장 3절 에스테르는 다시 임금 앞에 나아가 말하였다. 그는 임금의 발 앞에 엎드려 울면서, 아각 사람 하만이 만들어 낸 재앙과 유다인들을 없애려고 꾸며 낸 음모를 제거해 달라고 애원하였다. | | |
 |
|
제목 : 삼위일체(아브라함의 환대) |
설명 : 노브고로트 화파 작, (16세기), |
성경 : 창세기 18,1-10 말하였다. “ 나리, 제가 나리 눈에 든다면, 부디 이 종을 그냥 지나치지 마십시오. | | |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나장조 Op. 61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