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조절 능력이 정확히 뭔가요?
자기 조절 능력이란,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여러 연구들에서는, 자기조절 능력을 기르는 일은 단순히 개인의 성장을 넘어, 학업과 진로의 성공에 직결되는 중요한 능력 중 하나라고 설명합니다. 자기조절에는 의사결정, 목표 지향성, 충동조절, 자기주도성 같은 기술들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술은 학업적 성취뿐만 아니라 직업을 준비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연구들에 따르면 자기조절을 강화하는 일이 진로 준비에 필요한 통합적 기술을 습득하는 데 유의미한 변수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교육 및 직업적 성취 간의 영향을 보여줍니다.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아이들의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하면, 불안이나 우울감 같은 감정들을 느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결과에 따르면, 아이들의 불안이나 우울감 같은 내면적 감정들을 느끼는지 여부는 아이들의 정서 반응이나 억제 조절과 같은 자기조절의 여러 측면들로 부터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자기조절을 기르는 일이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아이가 건강한 정서와 마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은 청소년기의 건강한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10대 아이들은 10세에서 14세 사이에 자기조절 능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었다가, 14세에서 19세 사이에 다시 향상되는 변화를 보인다고 밝혔으며, 이 사이에 자기 조절 능력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행동적인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즉, 아이의 자기조절이 부족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어른이 된 후에도 계속 행동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이는, 아이의 청소년기 시절에 자기조절을 키우는 것이 행동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아이에게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까요?
1. 감정 이해 및 표현 연습하기: 자기 조절을 하기 위해선 본인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잘 이해하고 건강하게 해소하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감정 이해 및 표현을 연습하는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그림을 그리거나 이야기를 쓰거나 역할극을 하는 것은 어떨까요.
2. 감정 조절해보기: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뚜렷이 무엇인지 느끼고 나서야 이를 적절히 다스릴 줄 도 아는 법입니다. 감정 이해 및 표현 연습을 적절히 끝냈다면, 명상, 심호흡 같은 기술을 통하여 아이와 같이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연습해보세요.
3. 정기적으로 감정 얘기하는 시간 가지기: 정기적으로 가족끼리 모여 자신이 오늘 무슨 일이 있었고 어떤 일을 느꼈는지 얘기해보세요. 그리고 이에 대해 지지하고 격려해주세요 이는 아이가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고 이해하는지 가르쳐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더 편안하게 해줍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공감하라 마음을 얻을 것이니
[상담 후기] >> 초3학년 ~중2학년까지 왕따인 아이가 사회성 극복 치료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Atherton, O. E. (2020). Typical and atypical self‐regulation in adolescence: the importance of studying change over time.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4(1). https://doi.org/10.1111/spc3.12514
Ciciolla, L., Morris, A., Addante, S., & Armans, M. (2018, November 1). Fostering your Child’s Self-Regulation - Oklahoma State University. Oklahoma State University Extension. https://extension.okstate.edu/fact-sheets/fostering-your-childs-self-regulation.html
Honra, J. R., Monterola, S. L. C., & Yangco, R. T. (2025). Predicting integrated biology-technical-vocational skills through self-regulation in career-oriented pedagogy. Journal of Education and Learning (EduLearn), 19(3), 1361–1367. https://doi.org/10.11591/edulearn.v19i3.22794
Klinge, J. L., Warschburger, P., & Klein, A. M. (2024). Originalarbeiten / Original Articles. Die Bedeutung von Selbstregulation in der Entwicklung internalisierender Symptome während der mittleren Kindheit /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ing Symptoms During Middle Childhood. Praxis Der Kinderpsychologie Und Kinderpsychiatrie, 73(4), 292–310. https://doi.org/10.13109/prkk.2024.73.4.292
Thetherapistparent. (2020, November 12). Creating a self-regulated family. The Therapist Parent. https://www.thetherapistparent.com/post/creating-a-self-regulated-family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황수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