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름난 강사는 절대 강연을 어렵게 진행하는 편은 아닙니다.
청중이 졸면 아재 개그도 하고, 어르신 모인 자리에선 음담패설도 섞습니다.
나이든 사람들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음담패설을 아주(?) 좋아하거든요.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중 연설할 때는 양념으로 넣으면 눈이 반짝거립니다.
청중이나 학생들이 졸 때면 사용하는 명약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사실 이런 종류의 농담은 경계선이 없어서 문제입니다.
어디까지가 음담패설이고, 어디부터가 육담인지 구별하기 어렵거든요.
조금 심한 음담패설을 하면 “적당히 좀 하지.”하는 사람도 있고,
때로는 지루하기만 한 강의를 지나치게 오래 하는 것 같으면 “적당히 끝냅시다.” 하고 투덜거리거든요.
예전에 삼풍백화점이 무너지고, 성수대교가 끊어졌을 때 언론에 대문짝만하게 나온 기사 제목이 있습니다.
‘한국의 적당주의가 낳은 참사!’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사람들은 ‘적당히’, 혹은 ‘적당주의’라고 하면
‘대충대충’이라는 용어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적당히 했다면 삼풍백화점이나 성수대교는 무너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선 사전을 보면 이러합니다.
적당(適當)하다 : 들어맞거나 어울리도록 알맞다.
그러므로 ‘적당하다’는 ‘정확하게 합당하다’는 의미가 핵심이잖아요.
비슷한 말로는 ‘합당하다’, ‘적절하다’, ‘적합하다’, ‘알맞다’, ‘마땅하다’ 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문을 보면,
이만하면 동네 도랑에 놓을 다릿돌로 적당해.
적당한 운동은 근육을 긴장시켜 보기 좋은 몸매를 만들어 준다.
이곳은 경관이 좋아 전원주택 용도로 적당하다.와 같습니다.
문제는 현재 서울에 사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적당하다’의 의미를
“대충 통할 수 있을 만큼만 요령이 있다”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 사전에서는 ‘대충 요령있게’와 같은 의미로 쓴다고 하였지만
바람직한 표기는 아닙니다.
뜻글자인 한자를 보아도 적(適 : 당연하다)과 당(當 : 마땅히 ~~하여야 한다)이 만난 것으로
여기에 ‘대충’이라는 뜻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원래는 ‘가장 정확하게 잘 맞는 것’을 ‘적당하다’고 했는데,
어쩌다가 언론에서 ‘적당주의’라고 표현하면서부터 우리말이 국적을 잃기 시작했잖아요.
‘빨리빨리’ 혹은 ‘대충대충’이라고 썼으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텐데,
당시 언론에서 마구잡이식으로 표기하다 보니 언어가 국적을 잃게 된 것이지요.
요즘 세상에서 ‘적당한 인재가 없다’는 표현을 많이 합니다.
이럴 때 ‘대충하는 인재’ 혹은 ‘어영부영하는 인재’라고 하지는 않잖아요.
이와 같이 아직도 그 본래의 의미가 버젓이 살아 있는데,
언중들이 ‘요령껏 하자’는 의미로 쓴다고 해서 언론마저 그래서는 안 될 것입니다.
여름이 가지 않을 것 같더니 제법 아침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불어 추위를 느낄 정도입니다.
계절은 적당하게 알아서 돌아가고 있는데, 사람만이 지나치게 여야 따지면서 싸우는 것은 아닐까요?
모두 백성들을 위해 일한다고 하면서 깊이 들어가 보면 당리당략에 놀아나고 있으니...
정말로 적당한 인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