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후 인천 송내에 위치한 기능대회, 개도국 초청연수, 전문가 파견의 요람인 글로벌 숙련 기술진흥센터(GIFTS)에서 35년만에 제자를 만났습니다, 출강을 위해 실험실습장에 들어서는 순간 어디서 본듯한 강사가 학생들을 열심히 지도하고 있었다, 휴식시간이 되어 드디어 그가 나를 향해 다가왔다, “선생님 35년만에 뵙습니다” “인천직훈(현 인천폴리텍대학 남인천 캠퍼스) 때 제자 서XX입니다” 명함을 주며 설명을 한후에야 궁금증이 풀렸다, 너무 오랜세월이 흘러서일까 서먹서먹 하면서도 만감이 교차하고 교수, 박사, 회사경영자, “대한민국 명장”으로 성공한 제자를 가르쳤다는 보람과 함께... 한편으로 제자가 스승을 능가한다는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이 떠오르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분야에서 열심히 하여 日就月長의 세월을 보낸 제자와 그저 35년간 교직계통에 몸담고 후학 양성으로만 보낸 나자신을 돌아봅니다 ! 춥고 배고팟던 시절 70년대, 중화학공업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현재의 우리 선배님, 어르신들 세대는 목숨을 걸고 전쟁터 월남으로, 서독광부로, 간호사로, 중동으로… 모두가 가난을 벗어나고자 노력할 때였다, 나와 제자는 가난한 직업훈련교사와 훈련생으로 만나 그야말로 기숙사는 고사하고 식당조차 없는 인천 주안6 공단 허허벌판 비포장의 척박한 지대에서 당시에는 점심조차 밥먹듯이 굶던 시절이었다, (박대통령 지시로 기숙사와 식당건립) 
성공을 축하한다는 말에 “선생님 지도로 바탕을 이루어 이분야에서 현재 까지 이자리에 서게됐습니다” 제자의 겸손한 말에 그의 35년간의 고난을 이겨냈을 세월이 자꾸 클로즈 엎 되어온다, 이제는 사제간에 함께 늙어가는 셈으로 잘나가는 제자일수록 점점 소식이 끊어 지는 세태속에서 반듯하게 성장한 제자를 통해 불현듯 한가지 생각이 난다, 당시 훈련원 정문 앞에 커다란 바위에 우뚝 새겨져 있는 “선 인간, 후 기능”을 보며 꿈과 희망을 갖고 기술습득 이전에 참된 인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 배는고파도 정신이 고파서는 안된다" 고 어렵고 척박했던 기술기능분야에서 필요한 끈기와 강인한 정신력을 키워준 탓일까 " ! 대성한 제자가 자랑 스럽다, 기름때 묻은 실습복에 기계소음을 벗삼아 모두가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던 그때 그시절, “제자는 교사가 만든 인생의 작품” 이라는데 그때 더 잘 가르치고 사랑으로 대해주었을 것을 하는 悔恨속에 남은 삶에서 더 생활에 충실해야 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스승은 제자의 거울” 이듯이 옛날 학생들에게 지도했던 대로 흡사하게 기술분야의 최고 반열에 우뚝 선 서 명장(제자)이 학생들에게 전공훈련에 앞서 인간의 기본자세와 안전을 강조하는 오늘의 모습속에서 35년전의 나를 보는듯한 착각속에 빠져든다, 풍요속에 각박하게 돌아가는 현재의 삶의 여정속에서 70년대 공업한국의 일익을 담당하였다는 자부심과 함께 전공뿐 아니라 인격적으로도 훌륭한 제자로부터 한줄기 밝은 빛처럼 값진 교훈을 배웠습니다.
한국 공업국가의 초석을 이룬 산업의 역군 / 진정한 애국자 ! 내인생의 보물(이욱) - 내 인생의 보물 – 패키지여행 중 한사람을 만났습니다. 그도 혼자 나도 혼자 그래서 그와 한방을 쓰게 되었습니다. 80이 가까운 그는 건장한 몸집에 키도 컸습니다. 남양주에 과수원을 가지고 있다는 그는 경제적 으로 여유로워 보였습니다. 그런데 어딘지 모르게 쓸쓸해 보였습니다. 아마도 부인이 먼저 갔기 때문인 것 같았습니다. 그는 이북에서 어린나이에 남으로 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배우지도 못해서 젊어서부터 서울역 앞에 서 지게를 졌다고 했습니다. 조금 돈이 조금 모이자 리어카를 샀답니다. 오랫동안 그렇게 돈을 모아 양주군(남양주)에 농토를 사서 과수 농사를 지었습니다. 지금은 바쁘 게 살아온 지난날을 되돌아보는 여유도 생긴 모양입니다. 지게를 지던 그분이 던진 말..... “ 여보 내 인생의 보물이 무언지 아오 ?” 그는 대답을 기다리지 않았습니다. “리어카라오!. 지게는 낡아서 리어카의 구입과 함께 없어졌지만 리어카는 아직도 잘 보수되고 닦여져 보관하고 있다오. 경운기 도 있고 차도 있어서 쓸 일도 없지만 버리지를 못 하겠어요” 별품 없고 이제는 쓸모도 없는 리어 카가 그에겐 인생에 보물이라니 ... 나이가 들면서 오늘의 인생을 도운 그 물건들이 점차 소중하게 그에게 다가 온 것입니다. 그의 말 속에서 리어카 같은 하찮은 것을 통해서도 인생의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자랑스러움이 엿보 였습니다. 그분 인생에 있어서 리어카는 도구였으며 그의 참 보물은 건강과 근면과 한눈팔지 않은 성실함이었던 것입니다. 그러면서 내게 화두를 던집니다. “당신인생의 보물은 무었입니까 ?” 내 인생에 보물은 무었일까 ? 나는 지는 해를 바라보며 몇 일째 그 화두에 매달려 있습니다. (글쓴이 : 이욱 / 소개 : eomyooho / 해외파견 Mate 
글쓰신분, 이욱 교수님 :전공은 목공(Carpentry) 18 세 때부터 목수로 출발...명장, 폴리텍대학교수로 퇴직(충주캠퍼스 교수부장), 70 가까이 나이로 노익장을 과시, 뛰어난 어학과 전공실력을 바탕으로 개도국 지원 전문가 해외파견 맹활약, 지금도 집에 조그만 목공실 운영, 봉사활동, 사회사업 하시는분 ! 글쓰신 이교수님은 저의 멘토로 스리랑카 전문가 파견때 저가외국 항공기를 타고 현지에서 호텔아닌 싼 게스트하우스에 머무는등, 평소 절약하시고 열악한 학교에 거액들여 도서 전량을 기부하신 분으로 학교내에 망고 묘묙을 심고 ...귀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