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원 석박사 논문, 일반 논문 목록
(국회도서관 검색일: 2003.11. 03)
이일병(2002), 원예식물의 학명과 한국명 어원에 관한 연구, 원광대 대학원 박사
우경숙(2001), 1930년대 어원연구 결과 분석, 공주대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구원문미(1999), 북구주 지역의 한계지명어원 연구, 충남대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장진권(1996), 한국 수화의 어원적 의미, 단국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김중섭(1995),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경희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이관식(1995), 한국 고대인명어 어원연구, 경희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정윤수(1993), 「개구리」의 방언 분포와 어원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조영돈(1992), 국어 친척어에 대한 연구 : 어원 및 형태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조선대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임해영(1991), 어휘학습을 위한 영어어원분석, 중앙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김재명(1986), 어원상에서 살펴 본 독어konnen과 영어know의 관계, 성균관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강헌규(1986), 한국어 어원탐구사 연구-대상어휘 및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고전화자(1985), 첩해신어원간における막어の연구, 한국외국어대, 학위논문(석사)
고광모(1985), 한국어 어원연구 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서울대, 학위논문(석사)
정익종(1983), 한국산 약용식물의 학명어원에 관한 통계적 고찰, 경상대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김정호(1982), 고지명의 어휘 및 어원연구, 중앙대, 학위논문(석사)
정영식(1980), 라틴어와 영어의 어형변화(명사, 형용사)와 어원에 관한 연구, 계명대, 학위논문(석사)
오윤원(1979), 영어에 차용된 헬라어원에 관한 연구, 계명대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정길수(1970), 영어에 차입된 헬라어원에 관한 일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박유자(1969), 이조궁궐정원고 : 경복궁 어원을 중심으로, 고려대, 학위논문(석사)
어원 단행본
김인호(2001), 조선어어원편람, 상, 하, 박이정
서정범(2001), 한국 문학과 문화의 고향을 찾아서 : 민속과 무속 그리고 어원에서 찾는 민속의 정체성 : 서정범 에세이, 문학사상사
김동진저,조항범평석(2001), 선인들이 전해준 어원 이야기, 태학사
이관식(2001), 한국 고대 인명어 연구 : 어원을 중심으로, 보고사
서정범(2001), 국어어원사전, 보고사
천소영(2000), 우리말의 속살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재미있는 어원 이야기, 창해
매전수(2000), ヨ-ロッパ인명어원사전, 대수관서점
김칠관(1998), 한국수화 어원연구, 인천성동학교
백문식(1998),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한국어 어원사전, 삼광출판사
김민수, 최호철, 김무림 공편(1997),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한인철편(1997), 영어 어원 플러스 : 고대 그리스어에서 인터넷 영어까지, 민음사
조항범(1997), 다시 쓴 우리말 어원이야기, 한국문원
황성빈(1996), 씨불알 : 어원 형성의 원리와 비속어의 개념:육두문자와 비속어의 진실, 풀잎문학
조영언(1996), 노스트라트 어원여행 : 영어사전 속에 있는 우리말을 찾아서, 지식산업사
박갑천(1995), 재미있는 어원(語源)여행 : 말의 고향을 찾아, 을유문화사
박갑천(1995), 재미있는 어원 이야기, 을유문화사
박병식저, 최봉렬역(1994), 한국상고사 : 어원으로 증명하는 한민족 역사, 교보문고
서재순편(1992), (실용)영어 어원 어휘 사전, 법문출판사
송정식(1992), 한국어의 어원잡기, 2, 의학문화사
김방한(1990), 어원론, 민음사
안옥규저, 오정환편(1989), 어원사전,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서정범(1989), 우리말의 뿌리:한국어 조어의 재구와 어원연구, 고려원
강헌규(1988), 한국어 어원연구사, 집문당
정도명(1988), 성씨の 어원, 보성출판사
최승렬(1987), 한국어의 어원, 한샘
최창렬(1987), 어원의 오솔길, 한샘
서정범(1987), 어원별곡, 범조사
이남덕(1986), 한국어 어원 연구, Ⅳ:언어연대학적 고찰과 음운대응법칙의 정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남덕(1985), 한국어 어원 연구,Ⅰ: 원시 한국어의 탐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남덕(1985), 한국어 어원 연구,Ⅱ: 동사. 어휘의 어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남덕(1985), 한국어 어원 연구,Ⅲ: 형용사 어휘의 어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병식(1984), 금 가야족は 비しい : 古代史から日本の어원を탐る, 장광사
단우기이(1981), 성씨の 어원, 각천서점
이안길(1981), Best word power : 어원 용어 생활용어 중심, 삼지사
대규잔일랑(1980), (독일영)과학용어어원사전 : ラテン어편, 동학사
목영부편(1980), 세계지명の어원, 자유국민사
소천방남편(1980), (ハンディ) 어원영화사전, 유정당
대규진일랑편(1979), (독일영)과학용어어원사전 : ギリシア어편, 동학사
박갑천(1979), 어원수필 : 말의 고향을 찾아, 을유문화사
산전승미(1977), 한자の어원, 각천서점
임영재(1977), (어원중심)Word Power연구, 시사영어사
서정범(1974), 놓친 열차는 아름답다 : 어원의 이모저모, 범우사
유정기(1974), (삼천한자)어원요전 : 가장쉬운 국어이해법, 통문관
암전일남원저, 금문사편집부엮편(1967), 영어단어기억술 : 어원에 의한 6000단어의 정복, 금문사
등당명보(1963), 한자の어원연구:상고한어の단어가족の연구, 학등사
전희수(1962), 서구어어원산책, 동지사
공등정인(1958), 어원おぼえ서き, 석기서점
어원 국내학술잡지(기사)
권혁양(2003), '가말', '가말-' 및 '가맛', '가믓-'의 어원에 대하여, 알타이학보 제13호 (2003. 6) pp.125-158, 한국알타이학회
진정근(2003), 어원론의 연구과제로서의 명명원리, 텍스트언어학 제14집 (2003. 6) pp.375-396,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광정(2003), 석인 정태진 연구,1 :방언과 어원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통권 제19호 (2003. 5) pp.29-57, 한국어학회
위평량(2003), 방언(方言)의 어원(語源)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통권65호 (2003. 3) pp.195-215, 한국국어교육학회
권혁양(2003), '범:', '호:랑이', '두루바리'에 대한 어원 연구, 동양학 제33집 (2003. 2) pp.17-48,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조항범(2002), '오빠'와 '누나'의 어원, 새국어생활 제12권 제4호 (2002. 겨울) pp.105-114, 국립국어연구원
장성수(2002), Somatic Education의 어원적 고찰을 통한 비평적 연구, 움직임의철학:한국체육철학회지 제10권 1호 통권16호 (2002. 6) pp.115-131, 한국체육철학회
조항범(2002), '아빠, 아버지'의 어원, 새국어생활 제12권 제3호 (2002. 가을) pp.89-98, 국립국어연구원
권태동(2002), 아하, 이런 뜻이? :지명의 어원으로 보는 흥미진진 세계사, 월간중앙 28권 9호 통권322호 (2002. 9) pp.146-156, 중앙일보 J&P
조형균(2002), 한민족 제지사와 그 주변,17 :종이의 어원 문제 기타, 제지계 통권 제 361호 (2002. 10) pp.16-22, 한국제지공업연합회
권재선(2002), 한일 좌․우어의 어원고찰, 한일언어문화연구 제6집 (2002. 12) pp.107-132, 한일언어문화연구소
김태완(2002), 한어 상고음을 통한 한국어 어원 고찰, 중국인문과학 제24집 (2002. 6) pp.107-124, 중국인문학회
한상인(2002), 어원 연구,10, 한어문교육 제10집 (2002. 12) pp.79-91,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김양동(2002), 한국 고대음악의 기원 시고(試考) :신(神)의 문자학적 해석을 통한 '소리'와 '노래'의 어원을 중심으로, 음악과문화 제7호 (2002. 9) pp.11-33, 세계음악학회
장재성(2002), 불어 어휘의 어원적 구조 분석 :그리스어 어원의 접두사 파생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인문론총 제46집 (2002. 2) pp.25-63,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김정호(2002), 「우리」의 어원 및 어의변천 고,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02. 12) pp.59-86, 진주보건대학
김종택(2002), 어원추정에서 본 경음 발생, 국어교육연구 제34집 (2002. 12) pp.45-54, 국어교육학회
강재철(2002), 오랑캐(兀良哈)어원설화 연구, 비교민속학 제22집 (2002. 2) pp.181-218, 비교민속학회
진갑곤(2002), 한자어와 관계있는 우리말의 어원, 새국어생활 제12권 제2호 (2002. 여름) pp.163-170, 국립국어연구원
강헌규(2001), 소월시 '접동새'에 나온 몇 단어의 어원적 의미에 대하여, 한어문교육 제9집 (2001. 12) pp.25-53,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심보경(2001), 일본 지명에 반영된 모례(mure)의 어원에 대하여, 어문연구 29권 3호 통권111호 (2001 가을) pp.55-7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상인(2001), 어원 연구 9, 어문연구 : 35(2001.4) pp.55-74, 어문연구학회
김종덕,고병희(2001), 해바라기(향일규, 향일화)의 어원에 대하여, 논문집 제7권 제1호 통권 제7호 (2001. 12) pp.55-66, 한국한의학연구원
김기선(2001), 오랑캐(올량합)의 어원과 민속학적 고찰, 몽골학 제11호 (2001. 6) pp.217-232, 한국몽골학회
최창렬(2001), 아름다운 우리말 '고맙다'의 어원, 한글사랑 15(2001.3) pp.107-116, 한글사
오종일외(2001), 고등학교 각 교과서에 수록된 전문용어(한자어)의 어원해독을 통한 학습능력 신장 방안 연구:고등학교 국어(상)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15(2001.2) pp.293-313, 전주대학교사범대학교육문제연구소
박윤점외(2001), 정유 자원식물의 학명 어원 연구, 생명자원과학연구 23(2001.1) pp.33-45,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최창렬(2001), 자원과 어원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제11권 제3호 (2001. 가을) pp.119-128, 국립국어연구원
전영시느 이영복, 조성묵(2001), 동아시아 황사현상의 어원 고찰, 제사기학회지 제15권 제1호 통권 제16호 (2001. 6) pp.21-28, 한국제사기학회
심보경(2001), 한일 양국 지명에 반영된 학(tsuru)계 지명의 현황 및 그 어원, 어문논집 제29집 (2001. 12) pp.107-124, 중앙어문학회
강헌규(2001), '해'․'날'(일․태양)의 어원, 인문학논총 제1집 (2001. 12) pp.5-23,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김병균(2001),『화음방언자의해』에 나타난 한자차용어의 어원 연구 :친족어휘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제29집 (2001. 12) pp.79-106, 중앙어문학회
간야영이(2001), ホ-ジャ․アフラ-ルの著作『ワ-リデイ[ィ]-ヤ』のペルシア語原本について, 경희사학 제23집 (2001. 12) pp.965-980, 경희사학회
고영상(2000), 어원탐색을 통한 교육학 탐구 대상의 구조화, 평생교육연구 6,1(2000.12) pp.27-52,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교육연구소
김무림(2000), 「우리말 어원사전」에 대한 평가와 과제, 한국어학 통권 제12호 (2000. 12) pp.23-34, 한국어학회 411 ㅎ155
김태자(2000), <물>의 어원적 의미 관계의 분석, 한글 248(2000.6) pp.85-106, 한글학회
이세열(2000), 『직지(直指)』의 어원 및 책이름에 관한 연구, 고인쇄문화 제7집 (2000. 12) pp.201-287, 청주고인쇄박물관
박상규(1999), 21세기에 있어서 한국문화 연구의 전망과 과제 :고구려․nadan․운의 어원을 중심으로, 경원 어문논집 제3집 (1999. 12) pp.1-49, 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헌규(1999), '우금티(牛禁峙)/우금고개'에 보이는 '우금(牛禁)'의 어원에 대하여, 웅진문화 12('99.12) pp.7-15, 공주향토문화연구회
김기선(1999), '설'의 어원고찰과 북방민족의 설풍습 비교 : 만주족, 몽골민족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7('99.10) pp.294-305,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임수(1999), 한국문화의 원형에 대한 어원 연구, 문학과언어 21('99.5) pp.133-158, 문학과언어학회
권순희(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지도 방안 연구 : 고유어 접사의 어원 및 뜻풀이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9('99.12) pp.361-382, 국어교육학회
한상인(1999), 어원 연구 8, 어문연구 : 32('99.12) pp.43-61, 어문연구학회
율전영이(1999), '고추'(red pepper)의 어원에 관한 연구, 인문예술논총 18('99.1) pp.253-269, 대구대학교인문과학예술문화연구소
이관식(1999), '어른'의 어원 재고, 어문연구 : 102('99.6) pp.7-2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심보경(1999), 일본 무장국에 반영된 삼국의 국호지명 표기 및 그 어원, 어문연구 : 102('99.6) pp.23-38,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관식(1998),올아비(>오라비)의올-의 어원, 어문연구 : 100('98.12) pp.37-4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재양(1998), 어원고찰 : 황새, 한바탕, 미장이, 자리끼, 어문연구 : 100('98.12) pp.27-3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민기(1998), '신토불이' 어원 재론, 말과글 75('98.8) pp.50-54, 한국교열기자회
박영환(1998), 국어 어원 연구의 실제, 한남어문학 23('98.12) pp.279-300, 한남대학교국어국문학회
조강봉(1998), 작산․작성(산), 작원, 작천의 지명 어원, 호남문화연구 26('98.12) pp.1-28, 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서정범(1998). 산의 어원과 민속, 산림 390('98.7) pp.38-42, 산림조합중앙회
조현용(1998), 한국어 수량 단위명사의 어원연구, 어문연구 : 99('98.9) pp.47-6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윤우(1998), 신토불이의 어원과 사상 재고, 말과글 76('98.10) pp.43-50, 한국교열기자회
조강봉(1998), 선돌(立石)을 어원으로 한 지명, 한국언어문학 40('98.6) pp.195-214, 한국언어문학회
한상인(1998), 어원 연구 (7), 한밭한글 3('98.8) pp.179-191, 한글학회대전지회
최영애(1997), 중국고대음으로 본 한국어 '무엇''무당''곰''님'의 어원문제, 인문과학 78('97.12) pp.207-224, 연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한상인(1997), 어원 연구, 어문연구 29('97.12) pp.499-5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용(1997), '박쥐'의 어원에 관한 고찰, 전농어문연구 9('97.3) pp.215-229, 서울시립대학교문리과대학국어국문학과
김진수(1997), 어원연구 방법론, 한일문화연구 2('97.12) pp.98-108, 서경대학교한일문화연구소
임안수(1997), 맹인 점복업자의 은어(隱語)의 어원과 구성 원리, 재활과학연구 13,1('97.12) pp.77-93, 대구대학교재활과학연구소
김진식(1997), '까치내'의 어원 고찰, 어문연구 29('97.12) pp.141-15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장진한(1997), 재미있는 어원산책 1, 말과글 73('97.12) pp.48-50, 한국교열기자회
조강봉(1997), '학교-학다리' 지명 어원, 호남문화연구 25('97.1) pp.91-115, 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이관식(1997), 국어 인칭접미어의 어원연구, 어문연구 : 95('97.9) pp.114-13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성인출(1997), 색채어의 어원과 음운론적 고찰, 영남어문학 31('97.6) pp.35-53, 영남어문학회
윤숙현(1997), 가정학의 어원변화에 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118('97.12) pp.137-142, 대한가정학회
김진식(1997),무심천의 어원 고찰, 개신어문연구 14('97.12) pp.59-84, 개신어문학회
윤창열(1997), 음양의 어원과 음양론의 기원에 관한 고찰, 논문집 11('97.8) pp.1-8,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이기문(1997), 어린이 : 어원 탐구 1, 새국어생활 7,2('97.6) pp.107-114, 국립국어연구원
천소영(1996), 지명어원에 대한 일고찰: 지명전설과 관련하여, 기전어문학 10․11(1996.11) pp.663-678, 수원대학교국어국문학회
한상인(1996), 어원 연구 5, 어문연구 28('96.12) pp.101-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교충(1996), 태국어 수사 어원에 관한 연구, 동남아연구 5('96.12) pp.1-30,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성낙기(1996), 원전상에 표출되고 있는 삼초의 생리작용에 대한 어원적 고찰, 논문집 8('96.2) pp.53-62,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김중섭(1996),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방법론, 고황논집 17('96.2) pp.9-31, 경희대학교대학원
임경빈(1996), 한일수목 명칭의 대조와 「만엽집」의 노래 : 일본말로 된 나무이름 우리나라 말을 어원으로 하는 것 많아, 산림 371('96.12) pp.48-57, 산림조합중앙회
허남주(1996), "영어 잘하려면 어원부터 익혀라", 뉴스피플 227('96.7.11) pp.28-29, 서울신문사
이관식(1996), <안민가> '굴리'의 어원고찰, 고황논집 18('96.8) pp.9-26, 경희대학교대학원
고동호(1996), 한국어 어원 연구 논저 목록, 알타이학보 6('96.12) pp.107-204, 한국알타이학회
정선영(1996), 종이의 어원고, 서지학연구 12('96.11) pp.399-412, 서지학회
김슬옹(1996), 민간 어원 담론, 말과글 66('96.4) pp.49-51, 한국 교열기자회
한상인(1996), 어원 연구 3, 한밭한글 1('96.8) pp.163-177, 한글학회 대전지회
박재양(1996), 미장이의 어원, 말과글 66('96.4) pp.46-48, 한국 교열기자회
강헌규(1996), '다르다'(異)와'독수리'(鷲)의 어원, 인문사회과학연구 11('96.12) pp.15-27, 공주대학교부설인문사회과학연구소
박재양(1996), 미꾸라지의 어원, 말과글 69('96.12) pp.27-28, 한국교열기자회
최창렬(1995), 착각에 묻힌 고사 유래 속담의 어원과 의미, 국어문학 제30집 (1995. 8) pp.229-250, 국어문학회
이보형(1995), "청"의 어원과 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음악산고 6('95.12) pp.7-22, 한양대학교전통음악연구회
한상인(1995), 어원 연구 2, 어문연구 27('95.12) pp.31-5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재양(1995), 도․개․걸․윷․모의 어원, 말과글 62('95.3) pp.42-43, 한국교열기자회
박재양(1995), `기와'의 어원, 말과글 64('95.10) pp.44-45, 한국교열기자회
강병윤(1995), '차령'의 어원, 국어교육연구 7('95.6) pp.187-199, 인하대학교사범대학
강헌규(1995), 홍기문 어원 연구 결과의 분석 평정, 인문사회과학연구 10('95.12) pp.1-36, 공주대학교부설인문사회과학연구소
김무림(1995), 어원론(語源論)과 음운론(音韻論), 강릉어문학 10('95.12) pp.3-17, 강릉대학교인문대학
김기선(1995), 연지, 단군의 어원 고찰; 한국어의 연지; 단군을 몽고어, 흉노어와 비교해본 의미의 고찰, 몽골학 3('95.12) pp.21-45, 한국몽골학회
최창렬(1994), 전래 순 우리말 사람 이름의 어원, 선청어문 22('94.9) pp.685-703,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한상인(1994), 어원 연구 1, 어문연구 : 25('94.11) pp.73-87, 어문연구학회
송호봉(1994), 화학 원소의 어원, 과학교육 363('94.12) pp.78-87 시청각교육사
강병륜(1994), '차령'의 어원, 공주교대논총 31,1('94.8) pp.171-182, 공주교육대학교
조항범(1994), 20세기 초의 국어 어원 연구에 대하여, 개신어문연구 10('94.7) pp.17-54, 개신어문연구회
성낙기(1994), 원전상에 표출되고 있는 신장의 생리작용에 대한 어원적 고찰, 혜화의학 1,3('94.3) pp.8-15, 대전대학교부속한방병원
김병하(1994), 삼국시대의 [刀]선호사상;[刀]․[刀環]의 접점으로서의 [돈]의 어원모색, 경제학연구 42,1('94.7) pp.303-312, 한국경제학회
성낙기(1994), 원전상에 表出되고 있는 심장의 생리작용에 대한 어원적 고찰, 논문집 4('94.2) pp.209-217,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이관식(1994), 한․일 인칭어 비교연구; 인칭어의 어원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 81․82('94.7) pp.90-11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최상범(1994), 조경식물의 학명에서 속명의 어원 연구, 농림과학논문집 18('94.8) pp.169-199, 동국대학교농림과학연구소
김석준(1994), 호련의 문자 및 어원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 21('94.8) pp.339-367, 중앙대학교인문학연구소
이관식(1994), 고대인명어 어원 고찰 Ⅱ;n/ㄴ/어두음 인명어를 중심으로, 고황논집 15('94.12) pp.61-80, 경희대학교대학원
김중섭(1993), 칼칼․컬컬의 어원고, 고황논집 : 12('93.8) pp.147-168, 경희대학교대학원
강헌규(1993),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에 나타난 어원설의 고찰, 어문연구 : 24('93.10) pp.401-425, 어문연구학회
이제민(1993), 어원을 통해서 본 본당신부 실존, 신학전망 101('93.6) pp.2-21, 광주가톨릭대학교
최상범(1993), 조경식물의 학명에서 종명의 어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50('93.7) pp.8-16, 한국조경학회
도수희(1993), 정동유의 어휘․어원론, 어문연구 : 24('93.10) pp.461-470, 어문연구학회
강헌규(1993), `오랑캐'(兀良哈)의 어원, 논문집 31('93.12) pp.7-14, 공주대학교
한상룡(1993),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자음과 어원의 관계, 어문논집 6('93.12) pp.179-229, 경남대학교문과대학국어국문학과
한성철(1993), Decadentismo의 기원과 전개 Ⅰ; 발생, 어원 및 시학을 중심으로, 논문집 26('93.6) pp.441-458, 한국외국어대학교
이기문(1992), 국어 사전의 어원 표시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2,4('92.12) pp.2-13, 국립국어연구원
최창렬(1992), 우리말의 어원과 국어교육, 어학 19('92.7) pp.39-47,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도수희(1992), 설(元旦)과 살(齡)의 어원, 어문연구 : 23('92.12) pp.213-220, 어문연구학회
김희동(1991), 어원 「tor-」에 대하여, 국어교육논지 17('91.2) pp.84-97, 대구교육대학국어교육과
최창렬(1991), 연의 이름과 어원, 어학 18('91.9) pp.5-15,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증광평, 김제복역(1991), 고대 한어사어의 어원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 19('91.12) pp.345-354, 영남중국어문학회
강헌규(1991), '공주'지명에 나타난 '고마․웅․회․공․금'의 어원, 웅진문화 5('91.6) pp.5-24,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송호봉(1991), 화학 원소의 어원, 화학교육 18,1('91.3) pp.48-58, 대한화학회
김상일(1991), 「한」의 어원과 문화적 의미, 미술세계 81('91.8) pp.30-35, 월간미술세계
서정욱(1991), 한국 기독교 특수어휘의 어원과 의미, 계명어문학 6('91.10) pp.83-112, 계명어문학회
정치훈(1991),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원에 관한 고찰, 일본연구 6('91.2) pp.31-47, 중앙대학교일본연구소
정창호(1990),「첩해신어」원간본 개수본に おける「ほどに」「により」「ゆえ」の교체현상について, 논문집 9('90.12) pp.115-128, 성심외국어전문대학
성기열(1990), 한국의 민간어원적 설화의 분석, 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16('90.4) pp.5-26, 인하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최령애(1990), 중국 고대 음운학에서 본 한국어 어원 문제, 동방학지 67('90.9) pp.309-340,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강헌규(1989),계와보의 어원, 논문집 27('89.12) pp.7-24, 공주사범대학
최창렬(1989), 풍신제와 선농제의 민속과 어원, 어학 16('89.9) pp.5-19,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민기(1989), 속아리랑어원고, 말과글 41('89.12) pp.57-63, 한국교열기자회
한경수(1989), 관광의 어원 및 용례에 관한 역사적 고찰, 관광학연구 13('89.12) pp.261-279, 한국관광학회
최창렬(1989), 복더위 계절식 이름의 어원적 의미, 이화어문논집 10('89.3) pp.33-52, 이화여자대학교한국어문학연구소
민기(1989), 아리랑어원고 ; 어둠과 밝음에 의미 부여한 우리민족의 진솔한 노래, 현대공론 12('89.4) pp.342-349, 정문연구회
성락기(1989), 원전상에 표출되고 있는 간의 생리작용에 대한 어원적 고찰, 논문집 8,1('89.9) pp.327-334, 대전대학교
이영수(1989), 설날의 어원을 생각해 본다, 향토문화연구 5('89.6) pp.27-30, 원광대학교향토문화연구소
민기(1989), 속 `아리랑`어원고, 현대공론 13('89.5) pp.402-411, 정문연구회
최창렬(1989), 우리말 반상 어휘의 어원적 의미Ⅰ; 새해와 대보름의 계절식을 중심으로, 한글 204('89.6) pp.101-121, 한글학회
최창렬(1989), 초겨울 계절식 이름의 어원, 교육논총 9('89.12) pp.57-66, 전북대학교교육대학원
최학근(1988),「시라기」,「서울」 어원고, 선청어문 16․17合('88.8) pp.450-453,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강헌규(1988), 한국어 어원연구의 방향모색, 국어국문학 100('88.12) pp.75-82, 국어국문학회
최상범(1988), 목본조경식물의 학명 어원에 관한 연구, 농림과학논문집 12('88.2) pp.157-188, 동국대학교농림과학연구소
최창렬(1988),돌아가시다의 어원적 의미, 화술 40('88.11) pp.85-87, 한국화술교육회
최창렬(1988), 봄 계절식 이름의 어원적 의미, 선청어문 16․17合('88.8) pp.431-449,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Alt, Roland(1988), 불어 일상어휘의 몇몇 어원들에 관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88.2) pp.99-124, 대구대학교외국어교육연구소
강길운(1988), 잘못되어온 한국어의 어원연구, 동양문학 2('88.8) pp.262-275, 동양문학사
김정호(1988), 삼천포 고지명의 어휘 및 어원고 ; <말․갈․늬> 형을 중심으로, 논문집 11,1('88.1) pp.223-252, 진주간호보건전문대학
최창렬(1988), 초여름 계절식 이름의 어원, 어학 15('88.9) pp.5-21,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강길운(1988), 어원 탐구 방법론, 논문집 6('88.12) pp.11-24, 수원대학교
이재영(1988), 단어․어원 Dictionary와 Huffman Code를 사용한 Text 압축, 논문집 6('88.12) pp.55-70, 한림대학교
최창렬(1987), 아름다운 착각 속에 묻힌 어원들, 어학 14('87.6) pp.1-18,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김관식(1987), 불어의 음운변화에 비추어 본 어원적 쌍립어의 형성에 관한 소고, 논문집 19('87.6) pp.87-105, 성심여자대학교
강헌규(1987), 국어 어원 수제, 논문집 : 25('87.12) pp.45-62, 공주사범대학
신용태(1987), 한어․일본어의 어원연구 Ⅳ ; 계통 및 어원연구의 반성과 전망, 일본학 6('87.2) pp.41-63, 동국대학교일본학연구소
이양구(1987), 구약성서의 언어 미학적인 해석 6 ; 아담-aDaM의 어원적 해석을 찾아서, 기독교사상 348('87.12) pp.160-165, 대한기독교서회
박병식(1987), 일본어の어원하고대조선어である, 한국문화 88('87.2) pp.8-13,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신용태(1987), 한국어․일본어의 어원연구 ; 돈하․파마지명과 관련하여, 일어일문학연구 10('87.2) pp.53-68, 한국일어일문학회
유창균(1986),악낭의 어원에 대한 일고찰, 한국전통문화연구 2('86.6) pp.95-115, 효성여자대학교한국전통문화연구소
최창열(1986), 어원추적과 의미망, 어문논총 9('86.6) pp.183-195, 전남대학교국어국문학회
서정범(1986), 우리말의 슬기 (完) ; 조어재구와 어원탐구, 예술계 10('86.3) pp.154-165,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서정범(1986), 우리말의 슬기3 ; 조어재구와 어원탐구, 예술계 9('86.2) pp.56-68,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김준영(1986), 전북 소지명의 어원, 전라문화논총 1('86.8) pp.25-52, 전북대학교전라문화연구소
김해동(1986), 관료제, 그 논의의 배경과 어원과 사용, 행정논총 24,2('86.12) pp.17-31,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서정범(1986), 우리말의 슬기2;조어재구와 어원연구, 예술계 8('86.1) pp.114-124,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박은용(1986), 목랑고 : 도깨비의 어원고, 한국전통문화연구 2('86.6) pp.53-64, 효성여자대학교한국전통문화연구소
이병선평(1986), 한국어 어원 연구, 이남덕 저 <서평>, 국어생활 6('86.9) pp.124-128, 국어연구소
최원기(1986), 일어カラ(한, 당, 한, 외국)의 어원고, 논문집 28,1('86.12) pp.19-27, 부산개방대학
조혜란(1986), 인지의 신화시대와 역사시대 ; 한국어 어원연구가 조명한 원형비평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논집 14('86.8) pp.38-51,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촌산칠랑(1986), 한국어の어원, 한국문화 79('86.5) pp.4-9, 주일대한민국대사관
최창렬(1986),「논두렁」과 「마지기」의 어원적 의미, 어학 13('86.8) pp.2-21,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최창렬(1986), 우리말 생명 관련 어휘의 어원적 의미, 국어교육 55,56合('86.7) pp.33-49,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창렬(1986),돌아가시다의 어원적 의미, 한글새소식 165('86.5) pp.10-11, 한글학회
서정범(1985), 국어 어원 연구(I) : Vm(ㅁ)접미사어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24․25('85.1) pp.235-256,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강헌규(1985), ‘기생’의 어원, 한글 189('85.9) pp.113-122, 한글학회
김대식(1985), 『궁노루』의 어원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41('85.12) pp.106-111, 한국국어교육학회
금상일(1985), 슈메르 어원에서 본 ‘환인’의 유래, 신학과세계 11('85.10) pp.383-401, 감리교신학대학교
이남덕(1985), 태양의 어원, 문학사상 148('85.2) pp.390-417, 문학사상사
강헌규(1985), 국어 어원탐구의 사적 전개과정 연구, 논문집 : 23('85.12) pp.67-119, 공주사범대학
최창렬(1985), 한자 귀화어의 어원적 의미, 어학 12('85.5) pp.21-46,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강헌규(1985), 금부식의 어원의식과 삼국사기 어원자료의 고찰, 어문연구 45('85.4) pp.36-56, 일조각
서정범(1985), 우리말의 슬기 ; 조어재구와 어원탐구, 예술계 7('85.12) pp.222-232,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유성규(1985), 보리새우류 Ⅵ ; 어원 소득 증대를 위한 양식 교실, 현대해양 183('85.7) pp.104~105, 현대해양사
최창렬(1985), 우리말 시간 계열어의 어원적 의미, 한글 188('85.6) pp.117~145, 한글학회
천소영(1984), 음식물명어 고(1) : 그 어원적 고찰을 중심으로, 논문집 2('84.12) pp.117-138, 수원대학교
강헌규(1984), 삼국사기에 나타난 금부식의 어원의식 고찰, 어문연구 42․43合('84.11) pp.320-325, 일조각
최창렬(1984), 우리말 계절풍 이름의 어원적 의미, 한글 183('84.3) pp.121-139, 한글학회
최창렬(1984), 풀(草)을 어원으로 하는 말들, 새교육 362('84.12) pp.103-105, 대한교육연합회
금종현(1984), 지적의 어원에 관한 소고(上), 지적 108('84.3) pp.35-39, 대한지적공사
조완묵(1984), 태권도 어원에 관한 사적 고찰, 체육 192('84.7) pp.72-75, 대한체육회
최창렬(1984), 한국어 어원 탐색 시고, 어학 11('84.9) pp.1-16, 전북대학교어학연구소
이남덕(1983), 색채어휘 의 어원 ; 『 검다 』와『 붉다 』에 대하여, 이화어문논집 6('83.10) pp.9-27, 이화여자대학교한국어문학연구소
대록영자(1983), 일본어の어원に관する연구, 논문집 4('83.2) pp.45-52, 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호텔경영연구소
이철수(1983), 지명언어학 연구서설 Ⅱ ; 지명어원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9('83.9) pp.39-55, 인하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이병선(1983), 「을지」의 어원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1('83.12) pp.69-84, 부산대학교국어국문학과
김승곤(1982), 한국어 조사의 어원 연구 Ⅱ, 건국대학교학술지 : 26('82.5) pp.25-56, 건국대학교학술연구소
금정수(1981), 왜철쭉 어원과 겨울관리, 분재수석 52('81.12) pp.88-93, 분재수석사
조용욱(1981), 해사영어의 어원탐사11, 해양한국 93('81.6) pp.92-93, 한국해사문제연구소
이남덕(1981), 한국 새 이름의 어원 (中), 문학사상 103('81.5) pp.199-207, 문학사상사
양원석(1980), 일본의 경어접두사お 에 관하여, 그 어원 과 현대용법상의 문제점, 경상대학교논문집 : 19('80.4) pp.111-118, 경상대학교
김건환(1980), deutsch 라는 낱말 의 어원적 유래 와 그 의 언어적 발달과정 에 대한 소고 (小考), 독일문학 24('80.8) pp.1-10, 한국독어독문학회
박은용(1979), 설화와 언어를 통해 본 주몽의 어원에 대하여 , 弓 과 巫 의 ALTAI 공통 기어에 대하여, 자유80('79.3) pp.136-144 자유사
김선기(1979), 가라말 의 덜 (한국어의 어원)-뮈옴말(동사), 현대문학 289('79.1) pp.365-373/290('79.2)370-375/291('79.3)368-372, 현대문학
박은용(1979), 한국어의 친족호칭에 대하여 : 특히 그 어원을 통한 위계서열을 중심으로, 여성문제연구 8('79.12) pp.35-53, 효성여자대학교부설한국여성문제연구소
언응주(1979), 독어어원상 의 정서적 변태성 연구, leben - live 중심으로, 인문과학 8('79.7) pp.47-78, 성균관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강여원(1979), 안동거전(동채싸움), 그 명칭에 대한 어원고찰과 놀이방법, 문교경북 67('79.12) pp.77-84,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이남덕(1978), 식물어휘의 어원, 가지(枝) 고, 문학사상 72('78.9) pp.301-308, 문학사상사
이남덕(1978), 꽃과 풀, 잎과 뿌리의 어원, 문학사상 74('78.11) pp.344-350, 문학사상사
이남덕(1978), 시간개념어의 어원, 문학사상 68('78.5) pp.266-275, 문학사상사
김선기(1978), 한국어의 어원, 그림말들 그 2째 지위, 현대문학 280('78.4) pp.345/281('78.5)338-345, 현대문학
이남덕(1978), 산과 들의 어원, 문학사상 64('78.1) pp.274-281, 문학사상사
이재숙(1978), 한일량국수사의 어원구명, 자유 69('78.2) pp.115-121, 자유사
이남덕(1978), 한국인의 공간관념, 한국어원연구, 문학사상 66('78.3) pp.196-204, 문학사상사 김선기(1978), 가라말의 덜(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77('78.1) pp.349-357/278('78.2)352-359/279('78.3)320-327, 현대문학
갱,폴A,이을환역(1978), 의미와 어원, 청파문학 12('77.2) pp.23-43, 숙명여자대학교문리과대학국어국문학과
이재숙(1978), 한일량국 인체어의 어원 구명, 기술사 42('78.6) pp.5-9, 한국기술사회
김선기(1978), 가라말의 덜(한국어의 어원), ?옴말(동사), 현대문학 286('78.10) pp.350-359/287('78.11)344-351, 현대문학
고창식(1977), 국어의 어원문제, 한자어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19․20('77.9) pp.269-279,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이남덕(1977), 동구란 것의 어원 , tamago (계란)고 , 한국어원연구, 문학사상 55('77.4) pp.191-198@56(')317-321, 문학사상사
이남덕(1977), 한국어란 무엇인가, 어원연구의 길을 찾아서, 문학사상 53('77.2) pp.155-160, 문학사상사
이재숙(1977), 한․일량국 수사의 어원구명, 대한전기협회지 8('76.3) pp.18-22@9('76.6)4-7,대한전기협회
양주동(1977), 모르․배우․가르치의 어원풀이로 본 바람직한 교육이념, 교육춘추 1,2('77.4) pp.50-56, 한국능력개발연구원
고창식(1977), 한국어가 일본어형성에 미친 영향, 일본어의 어원연구를 중심으로, 선청어문 7('76.8) pp.1-36, 서울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과
김선기(1977), 가라말의 덜(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65('77.1) pp.326-332@266(')376-383@267(')351-359, 현대문학
김선기(1977),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73('77.9) pp.328-335, 현대문학
이남덕(1977), 동구란 것의 어원, 알맹이의 고, 문학사상 54('77.3) pp.180-186, 문학사상사
이남덕(1977), 물의 어원, 문학사상 62('77.11) pp.278-284, 문학사상사
김선기(1977),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74('77.10) pp.326-333@275('1)326-333, 현대문학
김선기(1977), 가라말의 덜,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68('77.4) pp.352-357@269(')351-359@270(')318-324, 현대문학
김선기(1976), 가라말의 덜 :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62/263/264('76.10/11/12) pp.341-348/353-360/346-353, 현대문학
이재숙(1976), 한․일양국 수사의 어원구명, 기술사 34('76.7) pp.13-18, 한국기술사회
김선기(1976), 가라말의 덜 :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58('76.6) pp.327-333, 현대문학
김선기(1976), 가라말의 덜 : 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62/263/264('76.10/11/12) pp.341-348/353-360/346-353, 현대문학
김선기(1976), 가라말의 덜(한국어의 어원), 현대문학 259('76.7) pp.329-335, 현대문학
강헌규(1974), 아롱다롱과 아름다움․고움․예쁨의 그 미학 : 아름다움과 고움․예쁨의 어원적 추구를 위하여, 논문집 11('74.12) pp.97-114, 공주교육대학
이훈종(1974), 어원을 통해서 본 한국인의 모습, 문학사상 19('74.4) pp.216-225, 문학사상사
김선기(1973), 위례성の어원 : 백제지명연구の시み, アジア공론 2,7('73.7) pp.172-181, アジア공론사
박병용(1973), 절(寺)의 유래와 어원, 불교 39('73.12) pp.33-34, 한국불교태고종 총무원
김선기(1973), 「위례성」의 어원 : 백제 지명연구의 하나, 명대 4('73.6) pp.178-193, 명지대학교
김선기(1973), 위례성의 어원 : 백제문화와 일본, 명지대학학술강연집 1('73.12) pp.63-82, 명지대학
안영희(1972), 고대인들에게 반영된 꽃의 의미 : 꽃의 어원을 중심으로, 아세아여성연구 11('72.12) pp.189-213, 숙명여자대학교아세아여성연구소
최두성(1971), 「오랑캐」의 어원적 해설, 강원교육 89('71.7) pp.86-88, 강원도 교육위원회
서정범(1971),「조선」의 어원과 산, 월간 산 22('71.6) pp.40-41, 산악문화사
김승곤(1971), '이' 주격 조사의 어원고, 건국대학교학술지 : 12('71.5) pp.127-142, 건국대학교
서정범(1971), 어원의 이모저모, 교황 2('71.12) pp.81-93, 경희대학교교양학부
김현정(1971), Neuhoch Deutsch까지의 모음 변천의 어원적 연구, 연구논집 4('71.10) pp.27-35,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서정범(1970), 어원의 이모저모, 교황 1('70.12) pp.114-127, 경희대학교교양학부
서정범(1970), 어원의 이모저모, 용황 4('70.3) pp.170-195, 경희여자초급대학
현평효(1968), 「나물」어사에 대한 어원적 고찰, 제주도 37('68.12) pp.180-189, 제주도
김형수(1967), 주격 "-이"의 어원에 대하여 : "이시-"를 중심으로, 어문학 17('67.12) pp.67-83, 한국어문학회
루이스,스커터(1967), 달위에서 인간과 하나님 : 월인 제임스․어원과의 대화, 시조 60,12('67.12), 시조사
유창돈(1967), 어근․어원의 편모, 청파문학 7('67.4) pp.44-55, 숙명여자대학교문리과대학국어국문학회
고이탁(1967), 국어 어원 풀이의 일단, 한글 140('67.8) pp.22-68, 한글학회
나현성(1966), 유술 유도의 어원에 대한 사적 고찰, 체육 9('66.9) n.p., 대한체육회
서정범(1966), 어원의 이모저모, 고황 13('66.12) pp.92-100, 경희대학교총학생회학예부
정비석(1965), 고수머리의 어원, 현대문학 11,10('65.10) pp.221-222, 현대문학
서정범(1963), 어원의 이모 저모 : 여죄수의 은어, 자유문학 8,1/5('63), 자유문학자협회
이탁(1963), "Eleven" "Twelve" "Antagonist" 및 "Language"의 어원에 대한 새로운 고찰, 동방학지 7('63) pp.135-174, 연세대학교동방학연구소
유시명(1963), 생약품명어원에 관한 고찰, 약사회지 4,10('63) pp.51-59, 대한약사회
유시명(1962), 약용식물재배의 최초기원 및 그 소속 식물과명의 어원, 약사회지 3,1('62) pp.35-41, 대한약사회
서정범(1962), 어원의 이모 저모, 자유문학 7,6/8('62.9․10/12) pp.194-198, 129-134, 자유문학자협회
최학근(1960), 어원 연구방법론 소고, 한글 127('60.10) pp.28-41, 한글학회
최학근(1960), 어원 연구방법론 소고(小考), 한글 126('60.2) pp.45-47, 한글학회
최학근(1959), G.T.Ramstedt씨의 한국어 어원연구, 한글 125('59.10) pp.97-101, 한글학회
허영호(1957), 절의 어원에 대한 소고, 녹원 1('57.2)
이기백(1955), 남녀칭어의 어원적 고찰, 국어국문학연구논문집 1('55.10)
유창순(1954), 족친칭호의 어원적 고찰, 사상계 2,2('54.2) pp.77-99, 사상계사
정태진(1952), 우리말의 어원, 협동 33('52.1) 대한금융조합연합회
허영호(1950), 군장관: 어원기, 신천지 5,4('50.4) pp.139-145, 서울신문사
허영호(1950), 천지일월관 6 : 어원기, 신천지 5,5('50.5) pp.72-77, 서울신문사
허영호(1950), 계수관 : 어원기, 신천지 5,1('50.1) pp.234-238, 서울신문사
허영호(1950), 계수관 : 어원기, 신천지 5, 2 (1950. 2) pp.127-131, 서울신문사
허영호(1950), 화풍관 : 어원기, 신천지 5,3('50.3) pp.194-199, 서울신문사
허영호(1949), 미각관 : 어원기 1, 신천지 4,10('49.11) pp.152-163, 서울신문사
김원표(1949), "보리(麥)"의 어원(學源)과 그 유래(由來), 한글 107('49.7),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