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설탕의 섭취가 일반적인 정신장애를 유발하는지 확실하게 하기 위해 23000여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5년에 걸친 코호트 연구를 진행하였음.
그 결과 설탕을 평균보다 많이 섭취한 그룹에서 5년후 정신질환의 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났음
Sugar intake from sweet food and beverages, common mental disorder and depression: prospective finding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Knüppel A, Shipley MJ, Llewellyn CH, Brunner EJ. Sugar intake from sweet food and beverages, common mental disorder and depression: prospective finding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Sci Rep. 2017 Jul 27;7(1):6287. doi: 10.1038/s41598-017-05649-7. PMID: 28751637; PMCID: PMC5532289.
Abstract
Intake of sweet food, beverages and added sugars has been link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several population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associations between sweet food/beverage intake, common mental disorder (CMD)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role of reverse causation (influence of mood on intake) as potential explanation for the observed linkage. We analysed repeated measures (23,245 person-observation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using random effects regression. Diet was assessed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mood using validated questionnaires. Cross-sectional analyses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In prospective analyses, 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sugar intake from sweet food/beverages had a 23% increased odds of incident CMD after 5 years (95% CI: 1.02, 1.48) independent of health behaviours, socio-demographic and diet-related factors, adiposity and other diseases. The odds of recurrent depression were increased in the highest tertile for both sex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diet-related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model (OR 1.47; 95% CI: 0.98, 2.22). Neither CMD nor depression predicted intake changes. Our research confirms an adverse effect of sugar intake from sweet food/beverage on long-term psychological health and suggests that lower intake of sugar may be associated with better psychological health.
설탕이 포함된 음식과 음료를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과 우울 증상의 발현 사이에는 관련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설탕이 포함된 음식을 먹는 것과 일반적인 정신 장애(CMD=Common mental disorder)사이의 단면적, 전향적 관련성을 분석하였음
23,245명분의 식단 설문지, 기분 설문지를 조사 정리하였으며 전향적 분석 결과 설탕 섭취량이 많은 남성 인구집단에서 5년 후 정신장애 질환 발병 확률이 23% 증가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설탕섭취가 장기적으로 심리적인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있으며 설탕 섭취를 줄이는 것이 심리적 건강에 좋다는 점을 시사한다.
Introduction
There are several plausible biological explanations for an association of habitual sugar intake and subsequent risk of depression, in the long-term.
Firstly, low levels of the growth factor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have been discussed as facilitating neurogenesis and hippocampal atrophy in depression16. Rodents fed high-fat high-sugar diets, but not high-fat diets only, show a decrease in BDNF level17–19, which could be a mechanistic link between diets high in sugar and depression.
낮은 수준의 BDNF 분비는 우울증에서 신경생성을 방해하고 해마의 위축을 초래한다. 동물실험결과 고당분 식이를 할 경우 BDNF 수치가 낮아졌다.
Secondly, carbohydrate consump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circulating inflammatory markers, which may depress mood20, 21.
탄수화물의 섭취는 염증수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염증수치는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
Thirdly, high sugar diets could induce hypoglycaemia through an exaggerated insulin response and thereby influence hormone levels and potentially mood states22.
설탕의 과다섭취는 인슐린 호르몬의 과다분비를 유도하여 저혈당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저혈당상태에서 호르몬수치의 변화가 생기고 잠정적으로 기분상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Fourthly, addiction-like effects of sugar suggest dopaminergic neurotransmission mechanisms might connect frequent sugar intake with depression23–25.
설탕의 중독효과는 도파민성 신경전달과정이 우울증 환자의 잦은 당섭취의 원인과 연관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Lastly, obesity could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a sugar-dense diet and depression26, 27 not only via inflammatory but also psychosocial factors like weight discrimination28.
마지막으로 비만은 설탕 의존적인 식단과 우울증 사이의 매개요인이 될 수 있다.
Discussion
In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sugar intake from sweet food/beverages increases the chance of incident mood disorders in men and limited evidence regarding recurrent mood disorders in both sexes. With a high prevalence of mood disorders, and sugar intake commonly two to three times the level recommended, our findings indicate that policies promoting the reduction of sugar intake could additionally support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depression.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further, especially regarding observed sex differences our study should be replicated in representative prospective cohorts.
달콤한 음식으로부터의 설탕섭취는 남자에게서 기분장애, 정신장애가 발생할 확률을 높인다.
그리고 제한적으로 남녀 모두에게서 기분장애가 재발될 확률을 높인다.
설탕의 권장 섭취량보다 2~3배 많이 먹는 사람들은 정신장애, 기분장애의 유병률이 굉장히 높다.
2만3천명의 대상자들을 연구조사하여 통계를 내었음. 코호트 연구
설탕의 과다한 섭취가 정신장애 발병률을 높이는지 확인하고자 한 연구임.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이 설탕에 의존적일 수도 있으므로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음.
결과 : 설탕을 많이 먹으면 ? 일반적인 정신장애 (Common Mental Disorders)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짐
저자는 그 기전을 몇가지 제시하였음.
1. 설탕을 많이 먹으면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의 분비가 줄어든다. BDNF 수치가 줄어들면 해마가 위축되고 신경의 생성이 저해된다. -> 신경퇴행성반응
2. 설탕을 많이 먹으면 우리 몸의 염증수치를 높인다. 높은 염증수치는 우울증의 발생률을 높인다.
3. 설탕을 한번에 많이 먹으면 혈당수치를 급격하게 높인다. (혈당스파이크발생) 그러면 우리몸은 한순간에 확 치솟은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을 과다하게 분비하게 된다. 인슐린이 한번에 많이 분비되면 혈당을 적절한 수치로 조절하는 걸 넘어서 저혈당상태로 만들게 된다 (hypoglycemia) 저혈당은 우리몸의 다른 호르몬수치를 변화시키고 잠정적으로 기분상태에 영향을 끼친다. (mood state)
4. 설탕은 중독성이 있다. 이는 설탕을 섭취하면 도파민이 분비되는데 도파민의 신경전달과정이 중독성을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파민 의존성이 되어 설탕을 먹지 않으면 반작용으로 우울한 상태가 될 수 있다.
5. 설탕은 비만을 유발하고, 비만이 될 경우 (Obesity) 여러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차별 등으로 우울증을 비롯한 기분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