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책 4권 244
교육 및 생태학적사정단계에서
신체적유익성은 왜 강화요인인지 이해가 안가요~~
예를 들어 규칙적 양치를 한 후 입냄새가 감소했다는 신체적 유익함을 느꼈다. 하면 성향요인이 되는것 아닌가요?
다른사람으로부터 받아들인 신체적유익성에 한정된 내용이 강화요인인지 신체적유익성 자체가 강화요인인지 궁금해요~ 후자라면 왜 그런것인가요?
그리고 7/13모고시 따로 설명해주신 간호관리과정이요~~
POSDCoRB 위에 적힌 간호관리 내용이랑 구분해서 봐야되나요? 아님 간호관리 물으면 이번에 주신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로 정리하면되나요?
아 그리고 교수님~~ 힘내세요!!
교수님은 노량진 최고의 강사입니다.
최고 자리가 많이 힘든 자리이긴 하지만..
넘 슬퍼하지마세요~
슬퍼하시면 제자들 마음아파요~~ㅎ
첫댓글 강화는 어떤 행동을 증가 또는 감소 시키는 행동주의 원리잖아요~
유익성은 관련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니까(예를 들면 만족감 의 증가, 신체의 건강, 면역력 증가, 담배나 음주 줄면 용돈의절약, 입냄새 제거 이런것들요) 강화로 이해했어요.
반대로 장애성도 이러한 의미의 반대 개념으로 강화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