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년
1269(원종 10)~ 1343(충혜왕 복위 4).
고려 후기 충렬왕·충선왕·충숙왕·충혜왕 4대에 걸쳐 왕을 보필한 문신.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
아버지는 경산부(京山府) 이속(吏屬)인 장경(長庚)이다.
장인은 정윤의로 경산부에 부임해서 그의 사람됨을 보고 사위로 삼았다.
1294년(충렬왕 20)에 향공진사로 급제한 후
안남서기(安南書記)·예빈내급사(禮賓內給事)·협주지주사(陝州知州事) 등을 거쳐
비서랑(秘書郞)이 되었다.
1306년 왕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갔다.
왕유소(王惟紹)·송방영(宋邦英)의 이간으로 충렬왕·충선왕 부자간 다툼이 치열했는데
이조년은 진퇴(進退)를 삼가고,
왕의 곁을 떠나지 않았으나 억울하게 연루되어 유배를 당했다.
유배 후 13년간은 고향에서 은거했다.
충숙왕이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심왕(瀋王) 고(暠)가 왕위를 넘보자
발분(發憤)하여 홀로 원나라에 가 왕의 정직함을 호소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충숙왕이 환국한 후 감찰장령·군부판서 등을 역임했다.
충혜왕이 원나라에 숙위(宿衛)시 방탕하게 생활하므로
경계의 말을 간곡히 올리자 왕이 담을 뛰어넘어 달아났다고 한다.
충혜왕이 왕위에 올라 정당문학예문대제학직을 내리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했다.
충혜왕의 방탕을 보고 충정으로 간했으나
듣지 않자 고향에서 은거하다가 죽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로 시작되는 시조 1수를 남겼다.
오늘날 전하는 고시조 가운데 자주 애송되는 것으로,
잠못 이루는 밤의 심정을 자연을 통해 표현한 절구(絶句)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이조년(李兆年, 1269년 ~ 1343년)은 고려의 원종-충혜왕 때의 문신·시인·문인이며
학자이다.
자는 원로(元老),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化軒)이며
시호는 문렬(文烈), 본관은 성주이다.
이장경의 아들이며 이인임, 이인복, 이인립의 할아버지이며 이제의 증조부이고,
이숭인의 종증조부이다. 경상북도 출신.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장경이며 어머니는 합천 이 씨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06년 비서랑으로 왕을 모시고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갔을 때
왕유소·송방영 등의 모함으로 충렬왕과 왕자의 사이가 나빠졌다.
이때 그는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나 화를 입고 유배되었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13년간 고향에 있다가,
1340년 충혜왕 때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그는 천성이 결백 강직했으며 특히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공민왕 때 성산후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이화에 월백하고 /이조년(李兆年 1268~1342)
梨花月白三更天 (이화월백삼경천)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啼血聲聲怨杜鵑 (제혈성성원두견) 일지 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진覺多情原是病 (진각다정원시병) 다정도 병인 양 하여
不關人事不成眠 (불관인사불성면) 잠 못 들어 하노라
이화에 월백허고 은하는 삼경인듸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허여
잠 못 이루어 병이로다.
다정가(多情歌) / 이조년(李兆年)
하얀 배꽃 밝은 달빛, 은하수는 한밤인데
아직 남은 푸른 내 맘, 소쩍새가 어찌 알까
정 많음이 병이라서,
잠 못 들고 뒤척이네.
"다정가(多情歌)"라고도 부르는 이 노래는 만인이 좋아하는 시조다.
이조년(李兆年)은 고려후기의 문신이며(1269~1343, 호는 梅雲堂)
성주(星州)李氏 의 12代孫 이장경(李長庚)의 다섯째 아들이다.
형제들의 이름이 특이(?) 해서, 여기에 소개한다.
맏형, 이백년(李百年), 둘째, 이천년(李千年), 셋째, 이만년(李萬年),
넷째, 이억년(李億年), 다섯째, 이조년(李兆年) 이다.
百年, 千年, 萬年, 億年, 兆年, 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형제투금(兄弟投金)의 일화
두 형제가 길에서 황금 두 덩이를 우연히 발견, 하나는 형이 갖고
다른 하나는 동생이 나누어 가지게 되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너던 중
느닷없이 동생이 물속으로 황금을 던져버렸다.
형이 깜짝 놀라, 왜 그랬냐고 묻자
황금을 본 순간, 형의 황금도 탐하려는 마음이 생겨서
강에 던져버렸다는 것이다.
이 말에 형도 감동하여,
형 역시 황금을 물에 던져버렸다고 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로 이조년과 그의 형 이억년이다.
형제간의 아름다운 우애를 다룬 얘기를 고교한문 교과서에 실은
"형제투금(兄弟投金)"이다.
이 형제가 황금을 던진 곳은 아직까지 남아있는데,
바로, 강서구 "두암공원"의 한 연못이라 한다.
한편, 5형제가 다 문과에 급제한 일은 역사에 드문 일이라,
그들 일가의 이름은 당대에 떨쳤다.
더욱이 백, 천, 만, 조라는 5형제의 특이한 이름으로도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고려 말에 이름을 떨쳤던 인복(仁復)ㆍ인민(仁敏)ㆍ인임(仁任)의 3형제는
이조년의 손자요, 조선개국공신에 영의정을 지낸 이목(李穆)은 인민(仁敏)의 아들이다.
星州李氏네가 자랑하는 조상 중에 ‘年’ 자 돌림의 5형제가 있습니다.
李百年, 李千年, 李萬年, 李億年, 李兆年(1269-1343).
이억년, 이조년 형제가 하루는 한강에서 큰 금덩어리 두 개를 주워
사이좋게 나눠가졌습니다.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나룻배를 탔는데 갑자기 동생 이조년이 금덩이를
풍덩 한강에 던져버리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깜짝 놀라서 형 이억년이 그 연유를 물었습니다.
“형님! 저는 형님을 진실로 사랑합니다.
그런데 금덩이를 가지고 보니 욕심이 솟고 마음이 어지럽습니다.
형님이 없었다면 두 개 금덩이를 다 가질 수 있을 터인데 하는 생각이
들어 그런 제 자신이 밉고 부끄러워 견딜 수 없습니다.
그래서 형님을 버리지 않기 위해 금덩이를 버린 것입니다.”
동생의 이야기를 다 듣고 난 형마저도 금덩이를 강물에 던졌다고 하여
서울 강서구 가양2동의 한강을 ‘投金灘’이라 한답니다.